이중 생활 (A Double Life, 1947)

자막자료실

이중 생활 (A Double Life, 1947)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756679
    줄거리 : 아카데미 감독, 남우주연, 각본, 음악상 노미네이트되어 남우주연(로날드 콜맨), 음악상 수상.
A.Double.Life.1947.720p.BluRay.x264-GECKOS.mkv  (4.37GB  4,692,985,751)
2cd ACE자막으로 프레임변환병합,싱크.

아카데미 남우주연(로날드 콜먼), 음악상.
 

Comments

26 로카롤라
고맙습니다~
1 그냥..
고맙습니다.
못본 영화인데 한번 찾아봐야겠네요^^
S 컷과송
2020. 10. 14. 감상


단 평 : 글은 말에 승리한다.


자기반영성으로서의 영화와 프로이트의 꿈을 등식화한 지반 위에 본질의 고정성에 대한
은유적인 부정으로 뼈대를 구축한 본편은 마치 지킬 혹은 프랑켄슈타인 박사 이후의 B급 SF
혹은 호러에 대한 세익스피어적인 변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여성의 전면화를 지속했던 감독의
계보에서 본편은 <데이빗 코퍼필드 >, <어떤 휴가> 등의 남성 캐릭터와도 완연히 구별된다.
그들이 신화적 영웅상, 방문자로서의 해결사 역할에 정지했다면 본편의 인물은 비극성에 있다.

단순히 오델로적 인물로서 환상/현실의 대립과 경계 내에 매몰되었다면 헐리우드의 해피엔딩적
작법에서의 변증법적 회복이 여기에는 제시되지 않는다. 엔딩에서 인물은 환상에서 현실로
복귀하기는 하지만, 그것은 실재계로부터의 음성이 침입하는 순간이 결여될 때 예정된 바 같이
존재를 박탈당한다. 그것이 인물에게는 해방일 수 있지만, 프로이트적 치유의 효과는 아니다.
영화는 거울, 도로 표지판 등의 선명한 소도구를 통해 인물의 출구가 폐쇄되었음을 적시한다.

이같은 서사와 캐릭터의 낡음을 구원하는 것은 기이하게도 적대자이자 해결자의 위치에 있다.
연극 제작의 홍보 담당이라는 인물은 오델로적 인물이 연인이자 전 부인을 사랑한다는 설정을
맥락을 포기하고 뜬금없이 고백하는데, 여기서 일종의 로고스적 부상이 발생한다. 연극의 대사,
즉 음성의 발현이 아우라를 생성하여 관객을 현혹시키는 것보다 홍보라는 활자, 이미지 중심이
후반부를 관통할 때 본편은 전통적인 음성 우위를 넘어서 스펙타클의 전제주의를 주창한다.
홍보가 연극에서 희생당한 여성을 사랑한다는 강압적인 흐름의 광오함이 이제 공포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