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터키의 긍지 (Kentucky Pride, 1925)

자막자료실

켄터키의 긍지 (Kentucky Pride, 1925)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2109203



감독 : 존 포드 John Ford

각본 : 도로시 요스트


상업적 이용을 금하며, 다른 데로 배포하지 마세요.


작중 화자에게 너무 몰입해서 과하게 옮긴 대사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해 부탁드립니다.


2b4dcabe01ed155be5895594ad9970d5_1689686485_145.jpg


2b4dcabe01ed155be5895594ad9970d5_1689686485_4113.jpg

우리말 영화명이 없는 것 같아 땜빵했습니다.

좌표를 하사 받아 세공했습니다.

나무랄데 없는 무성 영화입니다.


작품에 나오는 말 이름은 가상의 이름이 아니라

다들 한가닥하고 은퇴한 종마이거나, 당시 잘나가던 경주마들이었어요.


닭이 나오지 않아서 조금 아쉽긴 했습니다.



"위 출처는 커뮤니티 '씨네스트'입니다. http://cineaste.co.kr 이곳에 오시면 다양한 피드백과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아울러 스크립트를 이용한 불펌을 금합니다.

그리고 타 사이트 업로더 여러분께도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저작권 문제로 삭제되더라도 가급적이면 퍼가시는 것보다는 링크로 연결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 , ,

 

Comments

13 zzazzerdamn
감사합니다
1 암풍2
존 포드의열열펜 입니다.1957년 존웨인과모린오하라와함께만든 the wings of eagles 라는 명화가 있는데, 한국 개봉명(男子의 生涯)
아직 한국어 자막이 없네요!한국어자막 간절히원합니다.부탁드립니다.
15 Harrum
그러시군요.
전 이 감독님 작품을 많이 접하지 못 해서 이번 기회에 조금씩 접하고 있습니다.
염두해두었다가 여건이 되면 한번 검토해볼게요.
너무 기대는 마시고요. ^^
28 이야호
고맙습니다
14 미스터쏸
감사합니다.
4 박동조
감사합니다
1 구슬둥자
아 이게 하스미 시게히코 평론가가 스필버그의 워호스를 호평하며 언급한 켄터키 프라이드네요.
15 Harrum
그 사실은 몰랐습니다.
덕분에 워호스 열심히 찾아봤어요 ^^
15 Harrum
댓글내용 확인
1 구슬둥자
댓글내용 확인
15 Harrum
댓글내용 확인
15 Harrum
댓글내용 확인
1 구슬둥자
댓글내용 확인
1 안규상
유튜브영상에서 어떻게 자막을 넣어서 볼수있나요?
GIVE 100 MP 13 austinb
댓글내용 확인
15 Harrum
댓글내용 확인
S 컷과송
2023. 10. 29. 감상

단 평 : 화자가 배제되는 순간들

화자가 자신의 시선을 올곧이 가지지 못하는 불일치가 통용될 수 있을 것인가에 본편의 논점이
제기된다. 물론, 여기서 화자의 者는 인간화의 유머와 만용 사이를 오가는 非인칭'이어야'한다.
근자 유럽에서의 당나귀들의 어슬렁거림'들'을 상기하자면, 그 반대편 미국의 말들은 결코
실존적 흔적이나 탈주로서 존재한 바가 드물다. 스필버그의 <워 호스>가 본편에서 확장되었다면
이는 화자와 시선의 일치라는 착각(?)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오히려 바로 이 불일치가 소중하다.

후인의 그것처럼 시대의 전장을 관통하기 위해 시선이 부여되지 않았다면, 본편에서 화자의
역할이 말 馬에게 배정될 때 요점은 그(성 性 비인칭)가 어떤 면모를 대변하는가에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그가 존 포드의 전통과 영광을 무성영화적 해피엔딩으로 등식화하기 위해 신화적
시간을 경유하고 혈통의 승리를 목도해야한다는 의무로 집결된다. 결말부에서 말은 경주장이
아닌 시선의 자리에 놓인다는 것은 본편에서 거의 유일한 시선=화자의 일치를 위한 노력이다.

화자의 한계는 혹은 시선의 장벽은 그가 듣거나 보지 못한 상황을 전달할 수 없음에 있다.
가령, 관리사 역의 남성이 웨스턴적 위치에 배정되기 위해 교통 경찰이 되어 도심의 석유-말을
정리하는 상황은 물론이고, 그가 편집의 전략으로 승진하는 단락의 삽입의 독립성은 누구도
완전하게 보거나 말해질 수 없음을 증명한다. 이것이 서사의 예의인지는 모호하지만, 프레임은
마이브리지의 말 움직임 외에도 관리사들의 자리바꿈의 리듬감을 통해 말이 아닌 인간 행위를
통해 조화를 추구한다. 엔딩에서 단발 사진기는 넘어지고 연속 카메라가 굳건한 것과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