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 탄생 A Star Is Born 1937

자막자료실

스타 탄생 A Star Is Born 1937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746229
밑에 ~1, ~2가 원본.
두 자막 합쳐서 다른 것 손대지 않고 싱크만 대충 짜맞췄습니다.
종료 싱크 너무 긴 것도 있던데 아직 안 봐서 모르겠고, 대충 보기에는 무리 없을 겁니다.

1시간 51분 1hr 51mn / 23.976fps





 

Comments

9 공처가
잘보겠습니다.
S 컷과송
2019. 7. 24. 재감상

단평 : 시나리오는 시나리오다.

오프닝 타이틀 이전 첫 화면은 데이빗 O. 셀즈닉 제작사라는 구조물이 먼저 등장하고
제작진이 소개된 이후 본편의 'Screen Play'가 화면 중앙에 놓이며
제목 아래 'FINAL SHOOTING SCRIPT'라는 도장 문구가 찍힌다.

브레히트의 소격이 관습화되기 전에 혹은 매체의 자기반영성이
영화의 정치성으로 기입되는 초기에 할리우드의 상품은 그 반대편에서
자신만만하게 스스로 영화임을 자술하고 그 안으로 초대한다.
관객은 영화임을 알면서도 거리두기가 아닌 환타지의 동일시에 순응한다.
그러므로, 종결 이후에도 시나리오 마지막 한 장이 보여질 수 있는 것이다.
뒤집자면, 본편은 영화가 환타지의 통일성 밖으로 나가야할 사유 자체를 고려하지 않는다.
그것은 결국 정치적인 영화가 아닌 영화가 정치적이어야할 이유를 배제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럼에도 혹은 그렇기 때문에 영화는 오히려 정치적,
정확히 말하자면 당대 지배 구조의 이데올로기 장치로서 작용하게된다.
이데올로기로서 본편을 지배하는 가장 강력하고 선명한 지점은
당대 할리우드, 즉 상업영화에 대한 자부심인데, 본편은 이에 대해
영화가 꿈이자, 성취, 연인, 동반자, 지인의 역할을 모두 수행함을 당당하게 진술한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서민들간의 인간애 등이 코믹하게 첨가되어있다.
환타지로서의 삶 전체의 구현이야말로 본편의 할리우드적 지배력이다.
본편이 다른 할리우드와 구별되는 점은 이를 당당히 선언함에 있다.

이와 관련, 본편의 태도는 웨스턴적 신화로서의 개척 정신을
후새대에게 승계하고, 그 중간의 공황 세대를 거의 부재화시킨다.
전간기, 뉴딜 정책과 대공황의 잔재들이 혼종되는 시기에 본편은
표피적으로는 여성의 성공 신화를 웨스턴화하지만, 실제로는
여성이 여전히 가부장제 하에 종속되어야함을 선언하고
실패한 가부장을 제거하고 그에게 어떤 자손도 허락하지 않는다.
관객은 명확히 여성의 배우로서의 능력을 확증할 영화 내 영화를 관람할 수 없다.
허가된 것은 단지 예고편이나 광고판 뿐이고 본편은 상영되지 않는다.

이는 남성 인물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시작부터 그는 알콜 중독과 난장판 그리고 영화적으로 퇴조하는 인물로 좌표화되는데,
이는 이미 그가 관객과의 동일시를 확보할 수 없는 인물임을 진술한다.
그는 진정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순응자인 여성과의 신혼에서도
감옥이 보이는 자리, 혹은 기울어진 캠핑카, 좁은 샤워실 등으로
이미 배제될 운명을 반복 예증한다. 그는 '그릇을 깨는' 인물이다.

그의 반대편에 제작자와 홍보 담당자 그리고 4;조용히 해4;를 외치는 무성적인 거구의 남성들이 있다.
혹은 웨스턴적 인물의 귀환으로서 개척민 1세대 조모가 있다.
물론, 본편은 희생 로맨스 장르를 벗어나지 않음으로서 도무지 왜
타자가 불구적인가와 더불어 여성이 왜 신파적인 위치 밖으로
이탈하지 않는가에 대해 결코 진술하지 않는다.
불구적 남근은 자멸되고 이후 승리하는 것은 제작자와 그 외 남성들이다.
말하자면, 할리우드는 끊임없이 체제에 순응하는 이들의 순종과
더불어 양가적으로 가부장의 지위를 위협하지 않는 이데올로기를
지속함에 있어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이를 공표한다.
S BJCool
감사합니다
3 Tera129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