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푸샤 (Papusza, Doll, 2013)

자막자료실

파푸샤 (Papusza, Doll, 2013)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1635675


감독 : 요안나 코스-크라우제, 크시슈토프 크라우제

감독 :   Joanna Kos-Krauze, Krzysztof Krauze



1910년(혹은 다른 기록에 의하면 1908년)에 태어나 1987년에 생을 마감한 브로니스와바 바이스, ‘파푸샤’는 폴란드의 롬족(집시족) 최초의 여성 시인이다. 

그러나 영화에서도 파푸샤의 입을 통해 언급되듯, ‘어제’와 ‘내일’을 같은 단어로 표현하는 롬족은 ‘기억(memory)이 없는’ 민족이다. 

고유의 관습을 구어로 전승해온 이들에게 문자나 기록은 불필요하며, 더욱이 롬족의 여성들은 읽고 쓰는 것은 금지당했다. 

그래서 그녀의 빛나는 문학과 ‘최초’라는 수식어는 영광과 명예이기보다 오히려 고통과 질곡의 이름이었다. 

공동체에서 축출당했을 때 그녀는 억압적인 공동체를 원망하는 대신 자신이 저주받았다며, 악마가 들렸다며 재능을 저주한다. 

개인으로서 정체성보다 롬족 공동체 일원으로서 소속감과 정체성이 그녀에게 더 중요하다. 

어린 파푸샤가 공동체에서 홀로 떨어져 나와 있는 장면이 많은 반면, 성인 파푸샤가 대체로 가족이나 공동체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공동체가 마차를 타고 이동하는 모습도 장대한 자연으로 하여 자주 삽입된다. 

그러나 폭력적인 공동체를 탈출하기보다 그 안에서 소속감과 인정받기를 추구하는 욕망은 다층적인 약자 위치에 처한 이들의 당연한 딜레마이기도 하다. 

그 결과, 영화는 천재 개인의 불행한 비극으로 단순화되는 대신, 파푸샤의 몸과 정신을 교차했던 다양한 층위의 비극과 억압이, 

그리고 이에 맞서 때로 승리하고 자주 패배했던 그녀의 평생의 투쟁이 더욱 풍성하게 제시된다. 

그 위로 그녀가 남긴 빛나는 시구들이 흐른다. 

이 서글픈 아름다움을 ‘제대로’ 표현해낼 말을, 나는 도저히 찾을 수가 없다.


[출처] 김숙현/서울아트시네마, 서울국제여성영화제, SIWFF





c204e62beadcb1edece87ac0ff2e1cd1_1612848593_0531.jpg

c204e62beadcb1edece87ac0ff2e1cd1_1612848592_5467.jpg



"위 출처는 커뮤니티 '씨네스트'입니다. https://cineaste.co.kr 이곳에 오시면 다양한 피드백과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아울러 스크립트를 이용한 불펌을 금합니다.

그리고 타 사이트 업로더 여러분께도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저작권 문제로 삭제되더라도 가급적이면 퍼가시는 것보다는 링크로 연결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 , , , , ,

 

Comments

GIVE 3 MP S 푸른강산하
감사합니다.^^*
34 금과옥
수고하셨습니다
20 pupukim
감사합니다.
13 라소
감사합니다
40 백마
고맙습니다^^
4 파인데이
감사합니다
22 bkslump
좋은 작품 감사합니다
18 슈샤드
항상 좋은 작품 소개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추카추카 18 Lucky Point!

48 CaMillo
감사합니다.^^*

추카추카 5 Lucky Point!

7 비우리
감사합니다.

추카추카 16 Lucky Point!

21 holyshit
수고많네요.
S mars
감사합니다
23 다솜땅
감사합니다..*^^*.
26 얼기설기
감사합니다
15 가쟁
감사합니다
26 장곡
수고하셨습니다.

추카추카 6 Lucky Point!

16 mora
고밉습니디
37 Rookie
감사합니다
29 언제나
고맙습니다.
19 큐담
수고하셨습니다.
5 허드슨
감사합니다.
38 보라™
수고하셨습니다^^
28 이야호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33 스피리투스
고맙습니다.
1 Brunoboom
고맙습니다.

추카추카 10 Lucky Point!

S dreammaker
감사드립니다.
16 이제다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