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숙인 (The Lodger: A Story of the London Fog, 1927) Bluray

자막자료실

하숙인 (The Lodger: A Story of the London Fog, 1927) Bluray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766848
1927년에 제작된 히치콕 감독의 무성 영화입니다.
김병완님이 번역하신 자막으로 Bluray 원본(1:30:44 24fps)에 맞도록 씽크 전면 수정하였습니다.

하숙인 (Alfred Hitchcock's The Lodger: A Story of the London Fog)
6.64 (참여 11명)
범죄, 스릴러, 드라마 | 영국 | 83분 | 1927
감독 : 알프레드 히치콕
출연 : 아이버 노벨로, 마리 올트, 아서 체스니, 준, 말콤 킨

 

Comments

26 로카롤라
고맙습니다~
5 karl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바로 히치콕을 느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 브론슨
전면수정, 수고하셨습니다~
18 redondo
감사합니다~~
17 앤마리

감사합니다!

17 실룩이
87년이 지난 영화네요.. 히치콕 영화중에 무성영화도 있었다니 ...
자막 잘 받아갑니다. 감사합니다^^
11 방콕맨
감사합니다~.
19 주디스
감사합니다
ㅊ감사합니다!
4 쏘쿨남
감사합니다!
1 VILE
진짜 왠만해선 아마추어 자막에 이런 말 안하는데 이거 번역이 너무 개판이에요. 고등학생 영어만 아는 사람이라도 차라리 영어자막을 보는게 더 이해하기 쉬울듯
S 컷과송
2020. 1. 30. 감상

단평 : 영화와 현실이라는 근친상간

본편에 대한 기존의 논증과 평문의 반복은 알프레드 히치콕이라는 이름 하에 무의미하다.
가령, 본편이 첫번재 '히치콕적인 영화'라거나, 금발 여인, 오인된 남자 등이 이에 속한다.
굳이 더하자면, 트뤼포-히치콕 대담에서 언급된 본편의 몇몇 이질적인 촬영과 노골적인
종교적 미장센 등이 언급될 수 있겠지만, 그것 역시 재론의 일회성을 벗어나지 못한다.

대중의 관음증이라는 영화적 속성을 경유한 이후에 고전적인 시선으로 영화-현실의
변증법적 쾌감으로 선회한다면 본편은 그에 합당한 대입요소를 수회 던져주고 있다.
하숙인이라는 방문자-이방인의 지위가 주인집의 반지하와 대조적으로 위층이라는
주거적 위치와 부르조아라는 그의 계급적 위치가 현실 바깥의 환타지로서 영화를 지정한다.

이는 그가 오인된 남자로서 대중의 관음적 대상이면서 동시에 수갑찬 인물로서 죄악의
대속적 인물로 종교화될 때 한층 강화된다. 본편이 결코 보복자의 사유와 정체성을
현상화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종국화함에 있어 은근히 영화는 하숙인을 종종 남근 결핍의
가해자의 위치에 지정하는 것을 첨언하는 것은 이를 반증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하숙인이 근친상간적 지위와 국가=다른 남성과 연애중인 여성과의 탈취적 연애가 오히려
그를 치유한다는 기이한 해법에 있을 것이다. 말하자면, 살인이라는 현실은 이방인/영화의
침입으로 인해 해결되었다는 외피를 둘러싸고 실질적으로는 모호한 봉합을 성취한다.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