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 Zemlya Earth 1930 알레산드르 도브첸코

자막자료실

대지 Zemlya Earth 1930 알레산드르 도브첸코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1244843
대지 Zemlya Earth 1930 알레산드르 도브첸코



"위 출처는 커뮤니티 '씨네스트'입니다. https://cineaste.co.kr 이곳에 오시면 다양한 피드백과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아울러 스크립트를 이용한 불펌을 금합니다.

그리고 타 사이트 업로더 여러분께도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저작권 문제로 삭제되더라도 가급적이면 퍼가시는 것보다는 링크로 연결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Comments

28 이야호
고맙습니다
21 앵두봉봉
감사합니다
16 해피데이
감사합니다
16 o지온o
감사합니다.
40 백마
고맙습니다^^
31 구름뫼
고맙습니다
38 보라™
수고하셨습니다^^
33 스피리투스
고맙습니다
S 인향
고맙습니다.
9 패도무영
감사합니다
22 컷과송
2019. 6. 24. 감상

단평 : 나는 과일과 함께 걸었다.

오프닝의 지평선은 땅과 하늘은 정확히 인간과 과일(꽃)으로 제시된다.
초반부 죽어가는 노인이 과일 열매 위에 누워있다면
결말부 죽은 청년의 운구 행렬은 해바라기 꽃을 스쳐간다.
전자가 대지의 나눔이라면, 후자는 대지의 축성이 된다.
본편은 인물들을 단순히 선전의 계급 투쟁의 역사에 고립시키기보다
농민의 삶이 토지와 분리불가능함을 운명론으로 강조한다.

이를 가혹하게 생산력과 생산관계로 축약함은 이론적일 수 있다.
당대의 농기계 도입에 대한 농민들의 환호가 '영화의 얼굴들'로
제시될 때 이는 혁명 이후 1920년대 러시아 형식주의의 인장이자 자신과 자존으로 읽힌다.
당대 러시아 영화가 인민의 얼굴에서 혹은 군중 집회에서 스스로를
증명하고자 했다면 본편은 여기에 인민이 곧 누구였는가에 대한
해답을 대지 안에서 과일과 꽃으로 기호화했다.

더불어 본편은 대지의 순환성을 노인-아기-여성-출산-맨살의 연쇄를 통해 직설하는데
여기에는 일종의 운명론의 서정이 겸비된다.
그 반대편에 지주 계급은 거의 필름 위에 노출되지 않고
울분에 차거나 활기찬 인민들만이 영화를 성립시킨다.
4 발타자르
노고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