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시대 (Age of Gold, L\'age d\'or, 1930) Luis Bunuel

자막자료실

황금 시대 (Age of Gold, L'age d'or, 1930) Luis Bunuel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1818123

일부러는 아니고

루이스 부뉴엘을 따라 가다가

모인 작업들을 포스팅 합니다.

(자료실을 너무 소란스럽게 하는게 아닌지...)


언제나 매우 깊고 심오한 통찰력에

스타일리쉬한 매력을 갖춘 그의 영화 중에서

황당한 안달루시아 다음 해의 조금 덜 황당한 초현실주의 판타지!


루이스 부뉴엘 감독의


황금 시대 입니다.


(L'age d'or  라주 도르, 이 영화가 왜 "황금 시대" 인지 아시는 분?

제가 자막을 만든 "절멸의 천사" 때와 같은 질문 이군요... 모르겠습니다. ㅠㅠ)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797_4986.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2661_8819.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4120_1834.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977_4509.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977_2749.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977_1097.jpg


 

이 영화도 안달루시아와 다를바 없이

연결도 맥락도 없이 아무나 물어뜯는 사냥개 같은 모습이네요.

에피소드들도 특별한 의미 없이 이어지는 듯하고, 다만

1년전 16분 보다 길어져, 러닝타임이 1시간을 넘겼습니다.

(구태여 의미를 찾자면... 그게 속는 거래요)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783_6798.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753_3958.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796_9478.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4084_9934.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827_5186.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798_2776.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752_9284.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783_0954.jpg



마요르카 성직자들 부터 공격 개시!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4003_9887.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892_1644.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956_7969.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851_6146.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4041_8241.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4064_469.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4065_4485.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4064_9038.jpg

또 다시 등장한 예수, 이번엔

소돔에서의 120일 블랑쥐(Blangis) 공작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4119_0827.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955_9543.jpg 


솔직히, 난 언론에 대한 공포에도

약 10년에 한 번씩은 무덤에서 일어나

신문 좀 사러가고 싶다.


그러시고 계신지 모르겠네요.

내가 무론자인 걸 께 감사한다.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3852_3943.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4119_8653.jpg




585cff87f1e74916871d510494ee2f21_1632324118_9819.jpg
 


PS:

전 그의 안달루시아의 댕댕이를

참으로 못 마땅하게 보았습니다.

살바도르의 늘어진 그림들도 맘에 안들지만

(파블로의 깨어진 그림들도...)

소위, 이게 뭐하는 짓거린지...

뭐, 이 영화도 마지막 엔딩만 빼고는

별반 다를 게 없네요. 하지만, 그 후

"절멸의 천사"와 "사막의 시몬"은 달랐죠!^^ 


릴은 블루레이 720p 2.19 GB mkv 이며

Sendy 로 9일 링크 하오니

이해가 안되시더라도, 부뉴엘의 이후 걸작들을 위한

습작이었다고 자위하며 즐감하시기 바랍니다!^^


(댓글은 정말 관심있는 3편에만 부탁 드립니다.

어느 영화가 가장 인기 있는지 알수 있도록...)



"위 출처는 커뮤니티 '씨네스트'입니다. http://cineaste.co.kr 이곳에 오시면 다양한 피드백과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아울러 스크립트를 이용한 불펌을 금합니다.

그리고 타 사이트 업로더 여러분께도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저작권 문제로 삭제되더라도 가급적이면 퍼가시는 것보다는 링크로 연결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Comments

18 바앙패
기괴해 보이네요
GIVE 5 MP 3 밤간
수고많으셨습니다
<황금시대>의 제목에 대해 궁금해 하시니 억지로 대답을 해 보겠습니다. 원래 이 영화의 제목은 '안달루시아의 짐승', 또는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의 1장에 나오는 '이기적 타산이라는 물 속에 익사시켰다' 중에 하나로 하려다 최종적으로는 '황금시대'로 했다고 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루이스 브뉘엘 영문판 자서전 <My Last Sigh>에도 이 제목을 택한 이유를 적어놓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추측컨대 브뉘엘은 현실의 환영성을 공격하는데 주안점을 둔 작가입니다. 따라서 '황금시대'라는 말은 제목과 달리 사실 찬란하지 못하지만 위장되어 있는 현실을 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영화 말미에 <소돔 120일>에 등장하는 블랑쥐 공작을 예수처럼 묘사한 것도 선과 악을 동일시하는 것으로 제목의 사용과 유사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초현실주의 작가 앙드레 브로통은 <황금시대>라는 제목을 유치하게 안심시키는 제목이라고 해서 아쉬워 했다는 후문이 있습니다.
아무튼 어마어마 한 작업을 하셨네요. 잘 간직하겠습니다.
S 줄리아노
정말 감사한 답변이십니다!
말씀해주신 내용은 너무나 필요하고 너무나 소중하군요.
마지막 "은하수"도 매우 많은 숨겨지지 않은 이론과 사건들로 채워져 있지만
제 짧은 능력으론 소화불량 이네요. 그 영화에 대한 님의 고견도 꼭 듣고 싶습니다!!^^
3 참나무
감사합니다
10 넘조아
고맙습니다.
10 klaus1229
감사합니다
GIVE 20 MP S 궁금맨
고맙습니다.
23 다솜땅
감사합니다.^^
5 nebosuke
감사합니다
19 큐담
수고하셨습니다.
29 언제나
고맙습니다.
5 Cinephile
정말 감사합니다~~
29 불량아이
감사드립니다. 잘보겠습니다.^^
40 Daaak
감사합니다.
15 Harrum
작품도 대단하지만 그런 용기는 어디서 나왔을까 생각해봅니다.
간만에 집중해서 감명 깊게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