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맨(The Family Man) 수정자막

자막자료실

패밀리맨(The Family Man) 수정자막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557606
오랜만에 글 올리는군요. ^^
외국사이트에서 영문자막 구해서 보니 3줄짜리 자막이 너무 많아서
가능한한 2줄로 보이도록 수정했습니다.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는 요즈음에 보면
참 좋을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들 좋은 감상하시길 바라구요.
여러분들의 영어공부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들 좋은 겨울 보내세요. ^^


                                                                    from ... rainsky
                                                              ( inmyrain@hanmail.net )


[영화소개]

장르 : 드라마>로맨틱코미디
감독 : 브렛 래트너   
주연 : 니콜라스 케이지  테아 레오니   
러닝타임 : 124분

[줄거리]

사랑하는  연인  케이트와  공항  대합실에서  슬픈  이별을  나누는  잭  캠벨.  케이트는  일과  자신의  미래를  위해  한동안  자신을  떠나  있을  잭을  이대로  떠나보내면  왠지  안될  것  같은  불길한  예감에  휩싸인다.  하여  그냥  곁에  있어달라  그를  붙잡지만  잭은  곧  돌아오겠다며  비행기를  타고  떠나버린다. 
그리고  13년  후,  잭은  월  스트리트의  알아주는  투자전문  기업의  사장이자  일밖에  모르는  사나이가  되어  있다.  뉴욕  맨하탄의  고급  빌딩에서  살며,  페라리와  최고급  양복,  미녀들에  둘러싸인  그는  성공한  자만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것을  누리며  부족함  없이  살아간다.  그  옛날  사랑하던  여인  케이트는?  글쎄,  그저  이미  오래전의  추억으로만  남아있을  뿐. 
크리스마스  날  마저  전  사원을  출근시킬  정도로  일에만  매달려  있던  잭은  눈  내리던  크리스마스  이브,  귀가길에  잠깐  들른  편의점에서  이상한  일을  경험한다.  복권을  현금으로  바꾸러온  흑인  한사람이  가짜라며  이를  거부하는  점원과  실랑이를  벌이다가  총을  뽑아드는  장면을  목격한  것이다.  순간  일이  커지는  걸  무마하기  위해  잭은  자신이  그  복권을  사겠다고  나서고,  흑인은  이상한  말을  남긴  채  유유히  사라진다. 
다음  날  잠에서  깨어난  그는  소스라치게  놀라고  만다.  자신의  침대  위에  누군가가  함께  누워  있는  데,  그가  바로  13년  전  헤어진  옛  애인  케이트였던  것이다. 

[감상포인트]
 
때때로  한  순간의  선택으로  인해  많은  것들은  변화되고만다.  만약  그  순간에  내가  이렇게,  혹은  저렇게  행동했다면  내  삶은  얼마나  달라져  있을까.  누구나  한번쯤  상상해보곤  하는  이런  일들이  크리스마스의  기적처럼  우리들의  일상을  찾아든다. 
<광란의  사랑>에서  로라  던에게  ‘Love  Me  Tender’를  불러주던  로맨틱한  청년  니콜라스  케이지가  사랑하는  아내의  생일을  맞아  ‘La  La  Means  I  Love  You’라는  달콤한  노래와  뿅가는  키스를  선사하는  부드러운  남편으로  등장한다.  그와  함께  아네트  베닝을  연상시키는  사랑스러운  미소를  가진  여자  티아  레오니의  우아한  모습도  매력적이다. 
동화  같고  환상적인  음악들로  관객을  즐겁게  했던  대니  앨프먼이  음악을  맡았으며  <머니  토크>  <러시아워>를  통해  이름을  알린  브렛  래트너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출처 : 비디오 코리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