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선은 달무리 얼룩진 금잔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The Effect of Gamma Rays on Man-in-the-Moon Marigolds, 1972)

자막자료실

감마선은 달무리 얼룩진 금잔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The Effect of Gamma Rays on Man-in-the-Moon Marigolds, 1972)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2121275
42331138ebbdd94c1f6dc4b55fcdd46f_1695426406_857.jpg

42331138ebbdd94c1f6dc4b55fcdd46f_1695426406_963.jpg

42331138ebbdd94c1f6dc4b55fcdd46f_1695426407_0498.jpg

42331138ebbdd94c1f6dc4b55fcdd46f_1695426407_1298.jpg

42331138ebbdd94c1f6dc4b55fcdd46f_1695426407_1881.jpg

42331138ebbdd94c1f6dc4b55fcdd46f_1695426407_2787.jpg


오늘부터 예고해 드린 대로 매주 토요일 고전영화 자막 1편씩 올라갑니다.


그 첫 작품으로 폴 뉴만 감독의 '감마선은 달무리 얼룩진 금잔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입니다.

굉장히 긴 제목이지요. 줄여서 '감마선이 금잔화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사용되는 곳도 있는데

저는 이미 정해진 제목을 임의로 바꾸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우리나라 미개봉작이고 미출시작인데 정해진 제목이 뭔가 의아하실 수 있는데

이 작품은 영화보다 연극으로 더 유명한 작품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여러차례 공연되었어요.

80년대에만 최소 5차례 공연될 만큼 꽤 유명한 연극입니다. 그 때 공연된 제목이 바로

'감마선은 달무리 얼룩진 금잔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입니다.


영화에 대한 정보는 꽤 오래전, 학창시절에 이미 들어서 오래전부터 보고 싶었던 작품입니다.

하지만 미인 배우도 안 나오고, 액션 오락적인 요소도 없고 더구나 대사까지 방대한 국내 미개봉작에 대해

과연 누가 관심을 가질까요?


이 영화에 관련되어 가장 유명한 인물은 폴 뉴만인데 영화계의 톱 스타인 그는 이 영화에서 배우가 아닌 연출을 하고 있습니다.

배우 폴 뉴만은 할리우드의 대표적 상업배우지만 감독으로서 그는 그런 욕심이 없고 작품성에 집착한 느낌입니다.

많은 연출은 아니었지만 그가 감독한 6편은 오락적 요소가 강한 작품들이 아닙니다. 상당수는 아내인 조안 우드워드 주연이고요.


아카데미에서 지독스럽게 부당한 차별을 받았던 폴 뉴만인데 반면 아내인 조안 우드워드는 일찌감치 상복이 있었습니다.

이미 1957년 출연한 '이브의 세 얼굴'에서 아카데미 주연상을 받았고 '감마선...'에서는 칸 영화제 주연상을 받았습니다.


1930년생인 조안 우드워드는 비슷한 연배의 배우들이 활동하던 50년대 오드리 헵번, 엘리자베스 테일러, 마릴린 먼로, 그레이스 켈리 등

당대의 미모의 톱 스타들이 빡세게 경쟁하던 시대라서 별로 외모가 두드러지지 않았던 조안 우드워드가 치고 들어갈 틈이 별로 없었지요.

그래서 50년대 그다지 인기가 있던 배우는 아니었고 대신 연기파 배우로 살아남은 것이죠.


'감마선은 달무리 얼룩진 금잔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라는 다소 철학적 제목의 이 영화에서 조안 우드워드는 남편과 사별하고 두 딸을 키우는

중년여인을 연기하며 일생일대의 열연을 펼칩니다. 남편인 폴 뉴만은 자기 아내를 전혀 아름답게 묘사한 게 아니라 정말 답없는 막막한 중년여인,

다소 덜떨어졌고 생계 자체가 막막하며 무책임하고 술과 담배에 쩔은 한심한 인생의 여자로 묘사합니다. 


영화의 중요한 핵심 요소인 '감마선이 금잔화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한 둘째 딸 역은 실제 폴 뉴만과 조안 우드워드의 친딸이라고 합니다.

즉 가족이 모여 만든 영화지요.


연극으로 더 유명한 폴 진델 원작, 폴 뉴만 감독, 모리스 자르 음악, 조안 우드워드의 칸 영화제 주연상

대체 이 대사가 중요하고 철학적인 요소의 희곡을 감히 번역할 생각을 한 것은 그만큼 수십 년 오랜 세월 기다렸지만

어느 누구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은 영화이기 때문입니다. 아마츄어 번역가인 제가 손 댈 작품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감히 엄두를 못 냈었지만

결국 과감히 도전하게 되었지요. 대사도 많고 내용도 딱딱해서 오래 걸렸지만 결국은 끝나게 되더군요.


영화가 영화이니만큼 대사 위주의 드라마 장르의 희곡이다 보니 단어나 문장 구성 등에서 제법 신중히 고민하고 만든 작품입니다.

전문 번역가가 해야 할 작품을 대신 한다는 생각에 부담이 큰 작품이었죠. 완성하고 나니 스스로 대견하더군요.


70년대 영화인데 지금 우리나라의 답 없이 막막한 가정들도 많을 테니 많이 현실과 부합되는 영화일 겁니다.

'그리고 그들은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라고 끝나는 판타지 동화와는 전혀 거리가 먼 작품이지요.


영상, 자막 함께 공유합니다. 영상 공유기간은 정해지지 않았고 제 맘대로입니다.







 


"위 출처는 커뮤니티 '씨네스트'입니다. http://cineaste.co.kr 이곳에 오시면 다양한 피드백과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아울러 스크립트를 이용한 불펌을 금합니다.

그리고 타 사이트 업로더 여러분께도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저작권 문제로 삭제되더라도 가급적이면 퍼가시는 것보다는 링크로 연결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Comments

35 점마어떻던
고맙습니다.
20 pupu
감사합니다
18 바앙패
수고 하셨습니다~
GIVE 50 MP S 궁금맨
고맙습니다.
28 이야호
고맙습니다
3 디자인방
감사합니다
10 넘조아
고맙습니다.
S dreammaker
감사드립니다.
S Sens720
수고하셨습니다. ^^
S 인향
고맙습니다.
5 wsparrow
감사합니다~^^
14 푸른눈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14 Darktemplar
고맙습니다.
40 Daaak
감사합니다.
S 줄리아노
자연스런 조앤 연기력 폭발 입니다.
그녀의 말투, 눈빛, 걸음걸이 까지 맘에 드네요.
불안정한 역할을 아슬아슬 멋지게 소화해 낸
그녀에게 큰 박수를! 님께는 큰 감사를!!
잘 보았습니다!!^^
S 토마스모어
조앤 우드워드가 일생일대의 명연기를 보여주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