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눈(Eye of the Devil, 1967)

자막자료실

악마의 눈(Eye of the Devil, 1967)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1325407

영국 스릴럽니다, 주제는 이단 내지는 이교도 풍습이고요. 

데보라 카의 열연이 돋보입니다만,

이 영화로 데뷰한 Sharon Tate 사진만 잔뜩 있네요, 구글링 하면요.

하기사 영화 자체가 샤론 테이트를 띄우기 위한 거였답니다.

데보라 카 역은 원래 킴 노박이 했는데, 낙마 하는 바람에 

데보라 카가 다 다시 찍었답니다.(이상 IMDB)


데이비드 헤밍스도 나옵니다,

아주 미소년 스타일인데 너무 일찍 할배가 된 배우죠.^^


불교가 한반도에 들어온 게 4세기인데도

지금까지 무속 전통이 사라지지 않고

불교나 유교, 심지어 기독교에도 스며들어 있는 걸 보면

유럽인이 기독교 이전부터 갖고 있던 신앙이

이 영화처럼 사라지지 않는 것이 이해못할 일도 아닙니다.


게다가 불교와는 달리 기독교는 유난히 이단 논쟁이 많았지요.

그에 따라 숙청과 파문, 박해가 만연했고요.

카톨릭이 조금이라도 자기들 체제와 교리해석이 다른 생각을

용납하지 못했던 건 가장 큰 이유가 아마도 '돈'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교회의 일사불란한 체제 안에서 움직여야 

헌금이 들어오고, 사제의 위상이 확립되는데

개인의 성찰과 신과의 직접적인 교통을 중시하는 집단은

매우 성가시고 도움이 안 되겠지요.


이 영화에 나오는 인용구, "춤추는 자는 미래를 모른다"는

외경에 속하는 Acts of John 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기독교 초기에 경전이 수도 없이 많았지만,

교회가 인정하는 것 외에는 모두 이단서로 몰렸지요.

살아남은 것들 중 하나인듯 합니다.


사실 신약 중에 가장 인기있는(?) 경전이 요한복음이지요.

상당히 신비주의적이고 영지주의적 경향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이 외경인 Acts of John도 그런 맥락이 아닐까 싶군요.


이 영화에서 뿌리깊은 민간신앙이란 게 얼마나 무서운 건지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모든 신앙의 궁극점은 '먹고사니즘'입니다.^^

(어쩌면 당연한 거지요)


카메라 워크가 무척 돋보이고, 음악도 좋습니다.

과장이 없어서 전 영국 스릴러를 좋아합니다.


영화에 나오는 고성은 찾아보니까

프랑스의 Chateau de Hautefort, Dordognes네요.

프랑스 남쪽입니다.


토마스모어님의 요청작이었습니다.



"위 출처는 커뮤니티 '씨네스트'입니다. https://cineaste.co.kr 이곳에 오시면 다양한 피드백과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아울러 스크립트를 이용한 불펌을 금합니다.

그리고 타 사이트 업로더 여러분께도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저작권 문제로 삭제되더라도 가급적이면 퍼가시는 것보다는 링크로 연결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Comments

고맙습니다!!!
10 넘조아
고맙습니다.
1 선물줄께
이단으로 찍은건 돈과는 상관없습니다.권위와 연결 짓는게 맞아요.이단의 특징은 전통의 권위에서 일탈함이 특징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