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자막을 다시 만들고 있는데..

자막제작자포럼

요즘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자막을 다시 만들고 있는데..

17 oO지온Oo 5 96 0

분노의 도로 자막에 아쉬운 곳이 조금씩 보이는 듯 하더군요.

영화 볼 때는 영상에 그냥 나오는 자막으로 봤던 것이고..

극장에서 무려 3번을 봤는데도 해당 부분의 번역이 어떻게 되어있었는지 기억나지 않습니다. ㅋㅋㅋㅋ


그리고 이후 집에서 영상을 보기 위해 웹상에 올라와 있는 분노의 도로 자막을 살펴본 결과..

총 네 분 정도가 번역을 한 것으로 보여요.


네 분이 번역을 한 거면 꽤 많은 분이 번역을 하신 것으로 보이는데..

자막을 만들어서 공유를 해 놓으셨더라구요.


그런데 4분 모두 스플렌디드를 사람 이름으로 생각하셨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냥 스플렌디드~ 라고 번역을 하셨던데..

스플렌디드는 다른 영화에서도 꽤나 자주 나오는 말이고..

그래서 자막 만들다가 조금 놀랐습니다.


스플렌디드는 매우 멋지다 화려하다 훌륭하다 정도의 의미로 알고 있는데..


Fang It ........... 이라는 대사의 번역도 그렇고..

Fang It 의 경우는 웹상의 번역을 하신 네 분 모두 비교를 해보지는 않았습니다.


[Fang It] 을 한 분은 [공격해!] 라고 번역하셨더군요.

다른 세 분은 어떻게 번역하셨는지 확인하지 않았어요.


최대 속도로 가속하거나 빨리 움직이라는 뜻인데 어쨌든, 하나하나 영어 자막을 살펴보면서 대부분은 기존의 번역을 사용하고 있고

저의 마음에 걸리는 부분만 새로 번역을 하고 있지만서도..

역시나 영어 잼병이라서 자막을 다 만들어도 오역은 다분히 있을 것이기 때문에 자막을 만들면서도 아쉽네요.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는 명작이라고 생각하는데 황석희 님이 번역하지 않으셨나봅니다. ㅎㅎ


어쨌든, 해당 부분은 아래처럼 바꿨어요.


우선 스플렌디드 부분..  임모탄 조가 아끼는 임산부 이름이 앙하라드......... 인 듯 하고..


8364269be81ecfa299895d277f874dc2_1719384833_5492.jpg

8364269be81ecfa299895d277f874dc2_1719384833_6503.jpg


Fang It 의 경우, [공격해!] 라고 번역되어 있던 부분을 아래와 같이 바꿨습니다.

8364269be81ecfa299895d277f874dc2_1719384902_8427.jpg

8364269be81ecfa299895d277f874dc2_1719387858_1196.jpg

8364269be81ecfa299895d277f874dc2_1719387858_2225.jpg

그래서 현재 진행 약 35분 정도까지 되었습니다.


8364269be81ecfa299895d277f874dc2_1719387937_7619.jpg

전부 다시 번역하는 것도 아니라서 금방 될 줄 알았는데..

싱크 다시 찍는 것도 정말 일이긴 일이에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친.. 시간 개 많이 걸립니다.



그래서 이딴 쓸데없는 글을 왜 쓰고 자빠졌냐 물으신다면.....................

혹시나 매드맥스 - 분노의 도로 작품 중에서 번역이 잘못되어 있는 듯 하다 싶은 곳을 알고 계신다면 알려주세요.


어차피 자막 다 만들어 놓고 물어보든, 자막 다 만들기 전에 물어보든 상관없이

답변이 없으신 것은 동일해서 그냥 물어봅니다.


빨리 만들고 싶어서 안달나 있는 상태도 아니고 제가 급할 이유 또한 전혀 없기에..

하루에 작품 재생시간 10분 내지 15분 정도씩만 만들고 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5 Comments
14 Harrum  
댓글내용 확인
그런가요?  오역이 될 뻔했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역시나 물어보는 편이 안 물어보고 진행하는 것보다 건설적이군요.
7 쮸리  
올리신 스샷을 봤는데 제작하시는 자막 도구가 어떻게 되는지요?
저는 Subtitle Edit만 주로 사용하고 있어서 손에 익었는데 저것도 좋아 보이네요.
사용해 보시니까 장점이라든가 소감도 듣고 싶어요.
앞으로 자막 만드는 도구도 이것 저것 다양하게 사용해 볼까 합니다.
srt 또는 smi 자막 만드시는 분들은 Subtitle Edit 사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ass 자막을 만들기 때문에 Subtitle Edit로 만드는 자막들과는 자막 만드는 목적 자체가 다릅니다.

ass 자막을 만드는 이유는 자신의 자막을 화면의 어떤 곳에도 위치시킬 수 있고 글꼴 표현 이펙트도 다양한 편입니다.
스크린샷을 보시면 영상 화면 위로 십자 표시에 좌표가 표시되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화면상의 어떤 곳이라도 자막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런 것들은 모두 ass 자막 관련 태그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ass 자막 관련 태그로 뭐뭐가 있는지 따로 익히셔야 하죠.

smi 자막에도 < > 로 싸여있는 태그를 볼 수 있죠. <font.......... > 같은 것들 말입니다.
하지만, 그 종류가 다양하지 않아요.

그에 비해서 ass 자막의 태그들은 자막이 이동하게 만들 수도 있고 그림을 넣을 수도 있으며 가라오케형 자막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srt 또는 smi 자막의 장점 또한 확실한 것이죠.  텍스트 자막을 아주 간결하게 표현해 줍니다.
따라서 자막을 만드는 목적이 전혀 다르다고 할 수 있겠어요.

쮸리 님이 어떤 목적으로 자막을 만드시는지 생각해 보시고
자막에 좀 더 많은 이펙트를 적용하고 싶으시다면 ass 자막을 만드는 Aegisub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되겠고
자막 본연의 목적에 충실한 것을 원하신다면 srt / smi 자막을 만드는 Subtitle Edit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7 쮸리  
아하...ass 형식의 자막을 저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것이었군요.
십자 표시도 신기했는데 자막 위치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니 정말 편리해 보입니다.
자세하고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