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파일전송에 관한 질문입니다

질문과답변

[질문] 파일전송에 관한 질문입니다

G 이남석 19 2,786
컴초보가 고수님들께 질문드립니다.
노트북에서 데스크탑으로 파일전송을 할때, 노트북에 랜카드를 2개 사용, 크로스오버 케이블로 데스크탑과 연결하여 파일을 전송합니다. 그런데 데스크탑에 있는 랜카드(대만산, 리얼텍)는 10/100 겸용인데, 노트북에 있는 랜카드는 2개 모두 10m 입니다. 전송할때는 삼성에서 제공한 애니링크라는 프로그램을 쓰는데 속도가 250k 나오더군요.
혹시 크로스오버케이블을 사용하는 랜카드를 10/100m으로 바꾸면 속도가 빨라지는지요? 이론상 수치인 100까지는 안나오더라도 반정도(50m)만 나와도 지금보다 몇배는 빠른것 같네요. 그리고 애니링크라는 삼성에서 제공한 프로그램보다 윈98 자체에 있는 연결공유를 사용하는 것이 더 빠른지요?
노트북용 랜카드를 사려면 꼭 3com 으로 살 필요는 없겠죠?(현재 노트북에 있는 2개중 하나는 쓰리콤이고 하나는 대만산 30000원 짜리입니다. 3com은 케이블 모뎀과 연결되어 인터넷을 사용하고, 대만산은 파일전송할때만 사용합니다.) 어떤 것을 사야하는지 고수님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단지 파일전송에만 사용할 것입니다. 성능차이가 크지 않다면 대만산으로 구입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크로스오버 케이블의 길이가 길면 속도가 느려지나요?(30m정도의 길이입니다)

정리하면, 데스크탑과 연결할 노트북의 랜카드를 10/100m를 사용하면 속도가 빨라지는지 여부입니다.(데스크탑 랜카드 = 10/100m) 빨라진다면 하나 구입하고자 하는데, 3com으로 사야하는지 하는 것입니다.(케이블모뎀과 연결되어 있는 랜카드의 속도는 상관없는거겠죠?)
그리고, 랜카드를 보면 카드버스가 16비트가 있고, 32비트가 있는데, 무슨 차이인지요?
내용이 산만하고 길어 죄송합니다.
고수님들의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좋은 말씀 감사드리구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G 포도시
랜카드를 100Mbps 지원하는 패스트이더넷 랜카드 교체하면 당연히 기존의 10Mbps보단 전송속도가 빨라집니다. 그리고 IBM서버 메인보드에 내장된 Intel랜과 100Mbps지원 스위칭허브에 대만산 리얼텍(8139-100Mbps)과 작업용 클라이언트의 리얼텍을 사용하는데 윈도우 네트워크 연결로는 대충 3-4MB 정도 나오고 CPU점유율은 80-90% 나와서 이건 사용하지 않고 PC 에니웨어를 사용 파일 전송을 하고 있습니다. CPU 점유은 윈도우도다 반도 안되고 전송속도는 평균 5MB 정도 나옵니다.
G 포도시
여기에서 꼭 이해 해야할 내요은 랜카드가 100Mbps(약 9.7MB/sec)이더라도 이건 대역폭을 의미하는거지 실제 데이터 전송속도와 동일한 것이 아닙니다. 그동안 갖은 방법으로 시도해봤지만 PC 에니웨어에서 평균 5MB/sec 전송속도가 나오지 기타 프로그램이나 윈도우 네트워크 연결에서는 이에 훨씬 못미치는 속도가 나옵니다. 그러니까 최상의 전송속도는 50%정도밖에 안되더군요...
G 포도시
랜카드는 개인용도로는 역시 저렴한 리얼텍칩이 가격대성능대비가 좋습니다. 전송속도는 거의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케이블모뎀과의 연결은 랜카드와는 속도 무관입니다. 케이블모뎀자체가 10Mbps 이상은 수용못합니다.
G 포도시
PCMCIA 랜카드(노트북용)은 쉽게 말하면 16bit는 10Mbps 이고 32bit는 100Mbps를 지원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G 이남석
포도시님 친절하고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드립니다. 근데 한가지 더 궁금한 것은, 현재는 크로스오버 연결의 속도가 너무 느린것 같아 전에 쓰던 노트북하드를 외장케이스를 이용(usb)하여 파일(동영상)을 전송하고 있습니다. 700메가를 전송하는데 10분정도 걸리는것 같더군요. 우습게도 저는 100m랜이면 전송속도가 초당 100메가인줄 알았는데 포도시님의 말씀을 들어보니 초당 9.7mb군요. 그렇다면 100m랜카드를 이용하는 것보다 지금처럼 외장형하드를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다는 얘기군요. usb는 최대 초당 12메가라고 나와있네요. 물론 노트북에서 외장하드로, 다시 데스크탑으로 옮겨야하는 두번의 작업을 해야하지만 100m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그리 많은 시간이 차이나지는 않겠군요.
G 이남석
IEEE1394가 있으면 빠르겠지만 노트, 데스크탑모두 없거든요.
G 이남석
죄송하지만 한가지만 더 질문드리겠습니다. 이론상으로 보이는 것처럼 USB를 사용하여 외장케이스로 파일을 전송하는게 더 빠른 겁니까? 그런데 노트북에서 외장하드로 옮길때는 10분정도 소요되는데 외장하드에서 데스크탑으로 옮길때는 20분정도가 걸리더군요. 참고로 노트북은 펜-3 128메가(윈2000) 20기가 하드를 사용하고, 데스크탑은 셀-766 256메가램에 30기가 하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1 문종찬
외장하드가 약간 느립니다.. 역시 외장하드도 12M라고 그거 역시 다 나오는게 아니거든요.. 그리고 어떤외장케이스냐에 따라서도 속도가 약간 틀리게 나온다는점..(전송방식이겟죠.. 아마) 저희 아버지께서 컴을 좀 많이쓰시는지라.. 외장하드가 각각 다른회사꺼의 2개가 잇습니다.. 하나는 새로텍과 또하나는 포키라는 아주 작은 하드케이스입니다..(새로텍 3.5" 포키 2.5") 세로텍이야 많이 알려진회사죠.. 여하튼 세로텍것과 포키와 비교를 해봣는데요.. 포키것이 약간 빠르게 나왓습니다.. 세로텍것이 구형인지는 몰라도요... 에구구.. 요지가 빗나갓군요.. 제가 말씀드리는 요지는 USB는 더욱 속도가 안나온다 이말씁입니다.. 그리고 이더넷고 IEEE계열로 알고잇습니다만.. 맞는지..?
G 이남석
문종찬님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번에 질문했을때도 답해주시더니 또 답변을 해주셨네요. 외장하드는 새로텍(2.5")쓰고 있어요. 님 말씀대로 랜이 더 빠르다면 두번 옮겨야 하는 외장하드보다는 랜을 사용하는데 빠르겠네요.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님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1 문종찬
^^; 뭘요
G 포도시
지금 사용하고 있는건 USB 1.1규격인가 봅니다. 이건 12Mbps/sec 이고 패스트이더넷은 100Mbps/sec 이니 랜카드가 스펙상으로 8배가 빠릅니다. 예를 들면 저의 경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700MB 동영상 전송시 약 3-4분 걸립니다. 윈도우의 문제인지 몰라도 대용량 파일 1개 전송시는 소용량 파일 전송시보다 10-20% 정도 시간이 많이 걸리더군요.
G 포도시
참고로 IEEE1394는 400Mbps 고, 최근에 나온 USB 2.0은 480Mbps 입니다.
G 이남석
노트북과 데스크탑 모두 usb1.1입니다. 100Mbps를 패스트이더넷이라고 하는건지요? 포도시님 말씀대로 스펙상 8배가
G 포도시
패스트이더넷의 100Mbps/sec 전송속도를 약 12MB/sec로 수정합니다. 그냥 글쓰면서 잘못 환산해서 엉터리로 적었네요..  죄송~~
G 포도시
bps(bit per second) 이고 이걸 Byte로 환산하면 8bit 가 1Byte 입니다.  초고속인터넷 홍보 초기에 최고 10M가 나온다고 과대광고 했다가 지금은 이런 용어 안쓰죠..
G 이남석
그렇다면 문종찬님 말씀대로 usb로 연결한 외장하드보다 약간 빠른 정도이겠군요. 그래도 포도시님의 경우 700메가 전송하는데 3-4분정도 걸리신다니 저는 얼마나 걸릴까요? 노트북은 펜-3 450에 128메가, 데스크탑은 셀766에 256메가 입니다. 5분정도 걸린다면 랜카드를 이용하는게 빠를듯 하네요. 근데 노트북용 랜카드에 리얼텍은 없는 듯 합니다. 3com아니면 대만산이 있더군요. 싼걸로 사야겠네요. 어차피 케이블모뎀과 연결된 것은 3com이니까요. 포도시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1 jibiobba
음..포도씨 말씀대로 가격대 성능비로..리얼텍 쓰세요! IEEE 1394쓰면 좋겠지만...속도는..제가 크로스로 사용하는데 700메가 전송하는데 시간은...48배속 시디롬으로 하드에 카피하는 정도(?) 나오는 군요!
G 이남석
포도시님도 그렇고,  jibiobba님 또한 리얼텍을 추천하시는 군요. 근데 제가 알기론 노트북용 랜카드는 리얼텍 것이 없는 듯 한데요. 3com은 거의 10만원은 줘야 하고, 대만산은 3-4만원이면 100m살 수 있더군요.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건가요? 다나와를 뒤져봐도 노트북용 랜카드에 리얼텍은 없던데요. 저가로는 대만산이나 태국산이 있더군요. 이런거 쓸만한지요?(3com도 싼거는 7-8만원대도 있더군요. 근데 이 가격에 사려니 좀 그렇네요.) 님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답변해주신 포도시님, 문종찬님, jibiobba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1 문종찬
리얼텍은 없고 리얼텍칩쓴 대만산카드가 약 3~4만원대애 팔리고 잇습니다 ^^; 확실히는 모르지만 저희 아버지 고물 노트북에 쓰던 PCMCIA랜카드 뒷면에 자그마케 Realtek라는 문구를 본적이 잇는듯하거든요..(확실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