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나온 태그들을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알려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과답변

여기에 나온 태그들을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알려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1 단풍발굽 7 1,475
제가 Aegisub태그와 YTSubConverter라는 .ass자막 변환 프로그램에서 변환 가능한 태그들을 공부하던 와중에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도저히 모르겠는 태그들이 있어서 이렇게 질문을 올리게 됐습니다.

제가 "YTSubConverter의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잘 모르겠는 태그들"은 구글 번역기로 태그설명을 번역했는지라 번역이 엉망이라서 알아보긴 어려우실거고
"Aegisub태그설명 중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잘 모르겠는 태그들"도 나무위키에서 복붙한 것을 제외하곤 마찮가지입니다.
그래서 영어를 할 수 있는 분이라면 제가 YTSubConverter와 Aegisub의 홈페이지 주소를 복붙해놨으니깐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좋겠고
나무위키에서 복붙한 것도 혹시라도 제가 여기에 적은 것 보단 홈페이지가 보기가 편할지도 모르니 홈페이지에 한번 들러 보시면 좋겠네요.

어쨌든 이 태그에 관해서 하시는 분이 있다면 알려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YTSubConverter의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잘 모르겠는 태그들
{\ytpack} - 텍스트를 하나의 전각 문자 공백으로 묶기 시작 ({\ytpack1}) 또는 중지 ({\ytpack0}). 세로 텍스트로만 PC에서 작동합니다.

{\ytchroma(color1, color2..., alpha, offsetX, offsetY, intime, outtime)} -
기본 빨강 / 녹색 / 파랑을 원하는 수의 사용자 정의 색상으로 교체
색상과 알파 값은 모두 16 진수 (& H ... &)로 지정해야합니다.

{\ytkt} - 고급 노래방 형식을 활성화합니다.

{\ytktFade} - 페이딩 노래방 (예 : 비디오)을 사용하도록 회선을 구성하십시오.

{\ytktGlitch} - 글리치 텍스트(글씨가 버그 먹은듯이 지지직 거리는 효과)가있는 노래방을 사용하도록 라인을 구성하십시오
(예 : 비디오). 라틴어, 중국어,
각 음절의 일본어 및 한국어 문자는 임의의 음절을 생성합니다.
왼쪽 정렬 텍스트 및 보이지 않는 unsung 가사 (= 완전 투명 보조 색상)에 가장 적합합니다.

{\ytkt(커서,텍스트)} - 현재 노래중인 단어 뒤에 지정된 텍스트를 배치합니다.

{\ytkt(커서,formatting(서식) 태그,텍스트)} - 위와 같지만 재정의 태그 (\t와 유사)를 사용하여 커서 모양을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ytkt(커서,간격,태그1,텍스트1,태그2,텍스트2,...)} - 각 "프레임"이 간격 (밀리 초) 동안 지속되는 애니메이션 커서를 정의합니다.

{\ytkt(L커서,텍스트)} and other variants - 커서가 현재 노래중인 단어 앞에 (왼쪽에)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커서와 같습니다.
----------------------------------------------------------------
Aegisub태그설명 중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잘 모르겠는 태그들 
Aegisub설명서 주소 : http://docs.aegisub.org/3.2/ASS_Tags/

( 나무위키에서 복붙함 )
Soft line break 약한 줄바꿈
\n
\q를 통한 wrapping mode 2 일때 한해서 줄을 바꾼다. 그 외의 경우엔 띄어쓰기로 출력

( Aegisub설명서에서 복붙함 )
Wrap style 랩 스타일
\q<스타일>
자막 줄에 줄 바꿈을 적용하는 방법을 결정합니다. 다음과 같은 _style_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0: 스마트 줄 바꿈으로 각 줄을 대략 동일하게 만들지 만 같은 너비가 불가능할 경우 맨 위 줄을 넓힙니다.
    \N 만 줄 바꿈을합니다.

1: 줄 바꿈, 가능한 한 줄에 많은 텍스트를 채우고 다음 줄로 나눕니다. \N 만 줄 바꿈을합니다.

2: 줄 바꿈 없음, 넓은 선은 화면의 가장자리를 확장합니다. \n 및 \N 강제 줄 바꿈.

3: 스타일 0과 유사한 스마트 줄 바꿈이지만 결론은 넓어집니다.

( 나무위키에서 복붙함 )
Rotation origin 중심점 지정
\org(x,y) - 이 태그는 \t와 같이 사용하는 방법위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왼쪽의 버튼으로 작동가능
필요 없을 거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상당히 유용하게 쓰이는 태그이다.
\t 태그를 쓰게 될 때 쓰게 될 것이다.(물론 안 쓰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활용법은 \frz와 \t를 활용하며 "크게 회전 시키고 싶다"를 표현하고 싶다면
\org로 중심점을 잡아주고 \org0(\t(0,5000,\frz360)를 써보면 된다.
아니면 문장 중심에 중심점을 지정해두고 하면 위치를 최대한 벗어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
예시 : {\org(320,240)}, {\org(10000,0)}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14 Harrum
\n의 기본 속성은 띄어쓰기, 그런데 '\q2'일 경우  줄바꿈 태그로 사용됨
(싱크 안에서 직접 \q태그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통은
Aegisub이나 Subtitle Edit 프로그램의 파일 > 속성에서 \q 속성을 미리 정해놓고 작성함)

대사 한 줄이 화면을 넘어가는 경우를 처리하는 태그가 \q입니다.
(\q2만 대사가 자동으로 줄바꿈되지 않고, \n이 줄바꿈 속성을 갖습니다)
(스타일 0, 1, 3에서는 \n은 본래 속성인 띄어쓰기로 출력됩니다)

아래 예시 출력해보시면 압니다

{\q0}텍스트의 행을 \n자동적으로 개행하여 문서의 페이지 여백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q1}텍스트의 행을 \n자동적으로 개행하여 문서의 페이지 여백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q2}텍스트의 행을 \n자동적으로 개행하여 문서의 페이지 여백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q3}텍스트의 행을 \n자동적으로 개행하여 문서의 페이지 여백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q 스타일]

0: Smart wrapping, top line is wider
대사 자동 줄바꿈
\n는 띄어쓰기

1: End-of-line word wrapping, only \N breaks
마지막 단어만 줄바꿈
줄바꿈은 \N, 띄어쓰기는 \n

2: No word wrapping, both \n and \N break
대사 자동줄바꿈 없음
\n, \N 모두 줄바꿈

3: Smart wrapping, bottom line is wider
대사 자동 줄바꿈, 1과 반대 형태
\n는 띄어쓰기
3 histranger
문득 LaTex 생각이 납니다. Marked Language가 이렇게 널리 쓰일 줄은 당시엔 몰랐을 거에요,
1 단풍발굽
확실히 태그들로 스타일을 만드는 것이니 만큼 시간이 오래 걸리긴 해도 다방면으로 활용하기 좋으며
컴퓨터 용량차지가 적으니 매우 잘 돌아가고 고퀄리티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는 등 여럼으로 좋으니 만큼
도널드 크누스님 만세! 입니다^-^
3 histranger
사람들이 자신이 쓰는 스타일은 거의 비슷하고 전문분야도 늘 거기이니 자신에게 필요한 태그만 외우고있으면 편집에 시간 뺏길 필요없이 에디터에서 그냥 주욱 써내려가면 문서가 완성된다는 점이 제겐 가장 큰 매력이었어요. 덕분에 xml을 통해  디비와 기타 다른 모듈과의 연계도 가능하게 된다던지 하는 부분은 괜히 덤으로 얻은 느낌이랄까요. ^^
1 단풍발굽
아 그렇겠네요 확실히 자기가 자주 사용하는 태그들만 잘 왜워둬도 시간이 확 줄 수 있겠네요
histranger님이 적어주신 댓글 덕분에 이렇게 새로운 사실을 알겠되어서 넘 좋구요.
그리고 답글 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14 Harrum
\org는 회전 기준점 태그 (간단한 명령어입니다)
\frz는 회전을 얼만큼 하라는 태그. (\frz20, \frz-50, \frz360, \frz600 등 회전각도를 써주면 됩니다)

중요한 태그는 \t입니다.
http://docs.aegisub.org/3.2/ASS_Tags/ 의 "Animated transform"를 먼저 익히시면 됩니다.


[예시]

{\t(0,7000,\frz720)}그래서 둘은 결혼했습니다
:싱크 시작하지마자 7초 지점까지 구간 대사를
720도(2바퀴) 회전
기준점은 대사 중간

{\org(140,350)}{\t(500,7000,\frz720)}그래서 둘은 결혼했습니다
:싱크 시작하고 0.5초 지점~7초 지점 구간
\org가 지정한 기준점을 회전축으로 해서
대사를 720도(2바퀴) 회전

{\t(\frz720)}그래서 둘은 결혼했습니다
:싱크구간 전체가 회전

{\t(10,\frz720)}그래서 둘은 결혼했습니다
:뒤로 갈수록 회전속도가 빨라짐
{\t(0.1,\frz720)}그래서 둘은 결혼했습니다
:뒤로 갈수록 회전속도가 느려짐
(숫자가 어디까지 가능한지는 잘 모름)
1 단풍발굽
이렇게나 설명을 자세하게 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Harrum님이 해주신 설명들을 보고 또 예시들을 Aegisub으로 출력해 보면서
제가 몰랐던 태그들이 무슨 역할을 하는 태그이며 또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시한번 정말 감사드리고 언제나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