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론가들처럼 영화보는법

질문과답변

평론가들처럼 영화보는법

1 wggegrerg 9 2,040

영화좋아하는 고3입니다

학교에서는 본횟수로는 탑순위에들구요

여기선 밥이지만...ㅋㅋ

처음에영화볼때는 그냥 봤는대 학교선생님에게 영화는 숨은뜻이있다 장면마다 해석해주시고

이영화의 숨은 의미가 뭔지알려주시더군요

 

어재 아이다호를 봤는대요 어려운영화라 제대로못보고 해석도 잘못햇습니다

아직초보라 명작영화를 그냥남들처럼 본것도많습니다 정말아깝다생각합니다

영화재대로보는 방법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현재 650편봤고 이번년안으로 1000편찍을생각입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Author

Lv.1 1 wggegrerg  실버(2등급)
0 (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28 GodElsa
저도 고3이고 저도 영화를 님만큼 많이 봤지만 영화 해석하는 건 좀 어렵죠.
그래도 조금씩 해석해보고자 저는 감독이 이끌어나가는 스토리에 중점을 두고 왜 이런 소재로 줄거리를 이끌어나갔고 왜 이런 설정을 했고 그러한 설정으로 인해서 이끌어내고자 하는 효과는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생각하면서 영화를 감상하는데요.
영화 내에서의 설정이란게 다양하잖아요. 어떨 때는 장소, 인물의 성격, 감정 등등 같이 영화에서 주로 돋보이는 설정을 중심으로 영화를 해석해가고 거기다가 저의 개인적 평가를 섞는 게 저의 방식입니다. 물론 개인적 평가는 단순히 재밌다, 재미없다로 하진 않죠. 어쩌면 님께서 그렇게 하시고 있으신 것 같은데 공감이라도 해보고자 올립니다.
1 黑香
세 번 정도 보면 되지 않을까요
그러기 위해서 자막을 만듭니다
그러면 저절로 세 번 보게 됩니다
한 번을 보더라도 디테일하게 볼 수 있습니다
2 유카츠
많이 보는게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나 이해를 했느냐가 중요한 것 같아요. 단순히 줄거리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들의 관점에서 영화 속 상황을 바라보는 시각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같은 상황을 두고도 각자 판단하고 실행하는 것은 모두 다르니까요. 사실 제일 중요한 건 쓰는거에요. 영화가 좋다 나쁘다라는 간단한 글도 괜찮고 기억나는 한 두 장면을 쓰는 것도, 위에서 말한 것처럼 남자 주인공은 이렇게 행동했는데 여자 주인공 혹은 친구나 가족들은 다르게 받아들여 오해를 했다면 왜 그랬는지 본인이 그 입장이 되보는 거죠. 글로 써보고 생각하면서. 저는 다른 평론가들의 글은 잘 안봐요 원래 추천도 잘 안받는 편이고 제가 좋으면 만족하는 스타일이라 남의 글을 보면 제 감상마저 흔들리는 기분이 들더군요. 평론가들의 글은 감상적인 부분보다 영화의 배경지식(설정이나 감독 특유의 연출 스타일)을 콕 찝어주는 부분만 캐치하세요. 아무래도 전문적으로 영화를 보는 사람들이 아니다보니 다 알지 못하죠.  해석은 본인의 몫이에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같은 경우도 메멘토에 결말에 대해 여러 말들이 오갈때 자신은 더 이상 왈가왈부 하지 않겠다고 말했죠. 관객들의 이해에 맡기겠다면서요. 주제의식이 뚜렷한 영화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영화도 많아요. wggegrerg님 처럼 영화를 보다보면 영화를 보는 것이 과제를 하는 것과 같은 의무감만 남게 될 수 있죠.
좋아서 영화 보는 거 아닌가요? 명작같은 걸 떠나서 우선 보고 싶은 영화를 먼저 보시고 그 후에 좋아하는 장르나 관심가는 감독, 배우들의 영화를 찬찬히 살펴보세요. 우연히 발견한 좋은 영화가 더 오래 기억에 남는 법이죠. 장황한 글이었네요.;; 주절거렸는데 도움이 되셨는진 모르겠네요
1 kh6643
저도 아틀리에를 한 세번정도 보고나서야 거의 이해가 되더라고요
명영화는 정말 10번을 넘게봐도 명영화인 것 같아요^^
1 고얀모래
영화는 오락입니다.
해석할 필요가 없어요.
보고 즐기면 됩니다.
사색하는걸 좋아하면 책을 봐야죠.
댓글내용 확인
12 amorosoboy
댓글내용 확인
3 vivaldi
아이다호라는 영화는 깊이도 깊이고 상황 및 스토리가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성인이라도 이해 하기 힘든 부분이 적지 않게 있기 때문에 감상후 좋다 또는 나쁘다 또는 먹먹하다 등등 느낌을 받기 어렵다고 생각이 드네요

이후 영화를 많이 보시겠지만 스토리가 무겁거나 서정적인 영화는 감상후 시네스트나 영화카페 같은데서 정보를 더 얻으시면 도움이 될까 싶네요

좋은 하루 마무리 하세요~
1 MOLO
영화를 좋아하게 된 이유가 뭔가요? 평론가처럼 이해하고 해석하고 멋드러진 평을 쓰고... 그런걸 위해서 영화를 본다면 처음의 순수한 의도가 변질됐다고 생각해요.
가끔보면 영화를 즐기려고 보는게 아니라 다른 분들 말씀처럼 과제나 숙제같이 의무감으로 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짧은 한줄평에도 고심하고 남들의 관심을 바라야 하는 사람들은 평론가들이잖아요. 직업 삼을 게 아니라면 영화는 영화답게 즐깁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