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OverBurning 도대체 왜하지?

질문과답변

[잡담?]OverBurning 도대체 왜하지?

1 이유신 16 2,860
잦은 리딩에 의한 검색 실패, 정해진 트랙을 넘어서는 무리한 행위..
RW의 한 유저로서 현재 이지시디 플래티넘 버젼을 최초로 사용하였져..
그리곤 느꼈죠. 듀플러, 윈온시디, 네로 버닝롬등등 별별 프로그램이 있지만
쓸필요를 못느낀다고...
RW산지 보름이 채 안된거 같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지원이 700메가(80Min)가
기본이고, 그 이상의 용량은 현재 보유하고 있지도 않고... 650메가를 넘어선 영화는
700메가 짜리 공시디에 넣으면 되고 그 이상되는 영화는 본적이 없져..
또한 뻑난다, 에러난다 별별 문제가 나오던데 현재까지 20장 조금 넘게 구워봤지만
한번도 뻑이 안났습니다. 사실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었져....
rw를 사기전 사전정보도 많이 알고 샀지만 단순 백업정도이기에 국산을 사용하게
되었구요. 엘지 12*8*32를 살려고 하였으나 모든 상점에 재고가 없어 삼성제품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한번 산다 마음먹으면 그냥 암거나 삽니다 ㅡㅡ;;)
한가지 묻고 싶은게 있습니다. 대체 뻑은 왜 나져..?
멀티태스킹작업에 의한 시스템 리소스 부족?
도대체 무엇이얌...
일종의 질문형식으로 글을 써보았습니다.. (본뜻은 자랑인가바여 ㅡㅡ;;)
심심 하시면 한번 자유롭게(?) 댓글 달아보시져..?
이상 rw한 유저로서 즐거운(?) 비명이었어여..
즐감 하세여..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1 박동진
저는 100장정도 구울때까지 뻑한번도 안났더랬습니다. 저도 님처럼 뻑이 도대체 뭘까~ 그거 구경이나해보자~ 라고 생각도 했었드랬습니다. 그런데 쓰던시디를 바꾸고 나서 첨으로 뻑이란걸 경험했져.. 그 공시디가 제 rw랑 별로 안친한눔이었져. 한 10번정도 연속 뻑이나서뤼 rw랑 친한눔으로 교환을 해소.. 잘 됩디다.. 그 이후론 역시 뻑을 경험한적이 업죠~ 모 공시디를 rw랑 친한눔으로 데려다가 쓰면 뻑은 없을듯..
1 박동진
글구 우리 연뵨에손 700넘는 영화 만씀다~ ㅎㅎ
1 이유신
네^^그세 댓글이 올라왔네여..혹시 참고하실분 참고하세여.. 저와 같은 삼성RW유저는 태양유전, 리코, 미쯔이, TDK, 소니, 코닥, 미쯔비시, 선경, 야마하, 막셀, 삼성물산, 파이오니아, 후지필름을 CD-R용으로 권장하네여..
1 김석현
쿠 저처럼 오버버닝 지원안되서 700넘는 파일들 하드에 놔두기만 해야하는 CDR 4배속 유저는 피눈물납니다.....ㅠㅠ
1 이유신
옛말에 시디도 짝이 있다구 했잖아여..ㅎㅎ..
1 이유신
4배속? 저는 700메가 한장 구으면 6분남짓걸리는데 얼마나 걸리는걸까....혹시 이지 시디 플래티넘 필요하신분 팝폴더 아뒤 cf1673074 제꺼 아니예염.ㅡㅡ;; pass에서 빼왔어염. (Cf. 700메가까지 기본임다)
1 김석현
그냥 평균 20분 잡고 딴짓하고 놉니다....-_-;; 요새는 주로 드캐로 크택2에 매진중.....
1 타기
저 4배속쓸땐 700메가 구웠는데....ㅡ.ㅡ;;; 지금은 맛이 갔지만...불쌍한 레코더... 일년을 못 버티다니....꺼이꺼이
1 타기
글구 뻑 쉽게 나느법은 레코딩중에 리셋키를..... 퍽!! @.@
1 문경완
저도 삼성꺼쓰는데(408b) 싸구려 400원짜리만80장 정도 구었는데 아직까지 뻑은 안났어여^^;;;오버버닝도 10장정도 했구여...저는 이것저것 돌아가면서 공시디를 써봤는데 아직까지는 잘 호환돼네여
1 문경완
8종류의 공시디를 썼는데 앞으로 2종류만 더써볼랍니다^^;;;
1 정지훈
저두 연속 100장정도 해서 노뻑..아 한번..어제 오버버닝 처음 하다가 ==;; 결국엔 얍삽이 써서 용량 살짝 줄인후 집어넣었져..^^ 쿠스코 이거여..(741메가인데 724메가로 줄인후 구웟슴다.)
1 김석현
레코딩 중에 아무 작업도 하지 않으면 정말 레코더기 이상이 아닌한 절대로 뻑날 가능성은 없다고 봐요...전 레코딩할때 rzjoin으로 파일 병합할때가 있는데 이때는 뻑이 나더라구요...하드 리딩에 무리한 작업을 맡기면 역시.....ㅠㅠ 다른 압축들은 이상없는데 rzjoin만...리소스를 많이 먹어서 그런가 -_-a
1 조재열
네로가 이지보단 낫죠..적어도 초보가 아니라면...그리고 오래 구우신 분들은 CDRwin 즐겨찾습니다..전 플렉스터 12*10*32 씁니다.. 기기가 좋아서 그런지 현재까지 480여장 구울때까지 뻑 단 한장 났습니다..그리고 그 CD회사껀 절대쓰지 않았습니다. CD 미디어와 RW의 조합만이 뻑을 피해가는 길이 아닐까 합니다..다른 이유라면 라이터기가 후진거겠죠...삼성은 비추천입니다..
1 조재열
물론 굽는 과정에서 CPU와 하드웨어를 너무 혹사시키면 안될 것입니다..제 친구놈들 중 같은 제품을 가지고 있는 놈이 있습니다만..무식한 놈인지라..라이팅하면서 이것저것 다 돌리는 놈입니다...결국 그놈은 저처럼 좋은 기기를 가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뻑난 시디를 분지르며 울분을 토했다고 술자리에서 자주 얘기합니다...라이팅중엔 간단한 인터넷 탐색이나 음악 청취 정도는 이상없이 잘 되더군요...
1 이유신
집과 대형슈퍼와의 거리는 대략 600m, 요거트, 맥주, 이것저것.. 임무완수 하기 위해 시티백을 탈것이냐, 아님 슈퍼바이크를 탈것이냐... 생각나는 몇가지? 가격대비 성능, 보통의 데이타? 또 무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