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서 자신하는 코덱 (Codex) 완벽설치법

질문과답변

혼자서 자신하는 코덱 (Codex) 완벽설치법

1 번개날림 1 3,636
좋은 영화 보고 계시나요?

요즘 'Divx'라고 알려진 영화 파일을 쉽게 접할 수 있고

쉽게 구할 수 잇게 되었지요? 시간을 투자해서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덱에 관해서는 여전히 어려움이 남아있지요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말하기 꺼려합니다.

코덱이라는 부분이 '이것이 정답이다..' 라고 말하기 힘들며

또한 컴퓨터라는 기계는 상당히 다혈질(?)이라

정확한 궁합을 맞추기가 어렵습니다.

이에 저는 개인적으로 익힌 코덱의 설치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100% 정확한 또는 신뢰할만한 내용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문제의 발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단지 개인적인 환경에 맞추어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

코덱의 기본적인 구분

1. 영상 ( DivX.3.01 / DivX.5 / XivD )
2. 음성 ( AC3 / DTS & DD )
3. 자막 (DivX400 / Vobsub )
4. 플래이어
5. 정리 사설 1
6. 정리 사설 2

===========================================================


1. 영상 ---------------------------------------------

기본적으로 DivX.3.01 / DivX.5 / Xvid 라는 3개의 영상 코덱으로

모든 영화를 감상하고 있습니다

(이곳 사이트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 자료실에도 3가지 코덱은 많이 올라와 있습니다.)

되도록이면 윈도 포멧의 상태에서 아니면 코덱의 완전 소멸 상태 (어렵겠지만..)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위의 3가지 코덱을 설치했음에도 영상이 나오지 않는다면 '파일 자체의 결함'

또는 '기타의 영상코덱'이라고 보여집니다.

파일의 실행시 "코덱의 오류입니다"라는 메세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영상은 나오는데 소리가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음성코덱의 설치, 확인이 필요하나

후자의 경우는 영상코덱이 무난히 설치되었다고 여겨도 좋습니다.

가끔 전체 화면 사용시 오른쪽에 세로 줄무늬(대게 이렇게 표현함)가 나온다고

물으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은

그래픽카드의 호환성 문제라고 여겨집니다.

영화파일의 정보를 보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오른쪽 세로 줄무늬'가

나오는 영화들은 화면의 비율이 '800 x XXX'입니다.

'700/7004/640 x XXX'등등의 영화에서는 이러한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는 그래픽 카드가  '800 x XXX'라는 화면의 비율을

구현해 주지 못한다고 여겨집니다

2. 음성 -----------------------------------------------

요즘(2004.02.05 기준)은 거의 모든 릴 그룹들이 AC3로 하고 있습니다.

가끔씩 DTS 라는 음성코덱을 이용하기도 하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AC3 음성코덱은 이 곳 사이트에 올려진 'ACE Filter' 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당연히 다른 사이트의 자료실에도 올라와 있습니다

AC3 코덱을 설치하셨다면 거의 모든 영화가 재생이 될 것입니다.

만약 재생이 되지 않는다면 이곳에 올려진 '상수'라는 단어가 들어간

DTS 코덱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제목 또는 파일의 이름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ㅡㅡ;;)

그래도 재생이 되지 않는다면 '파일 자체이 결함'이거나

'다른 여타의 코덱'입니다

양자 모두의 경우 교체를 요구되며

후자의 경우 아깝겠지만 과감히 버리실것을 권합니다

재생은 될 수 있습니다. 허나 화질의 현저한 차이를 경험하게 될 것이며

그나마 느낄수 있는 영화의 느낌을 앗아가 버릴 것입니다

3. 자막 --------------------------------------------

저의 경우 'DivX400' 을 설치해서 보고 있습니다.

'Vobsub'라는 자막 코덱을 이용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는 개인적인 취향입니다.

저의 경우 'DivX400'을 이용하며 'Vobsub'는 sub파일의 변환을 위해 사용합니다.

주의 할 것은, 주로 애니메이션의 경우에 있어

'Duel'이라는 방식(?)으로 릴이 되곤 합니다

'일어/한국어'의 2개 언어로 코딩이 되는 것인데

이러한 작품들을 정확하고 원하는데로... 감상하려면

'MMSwitch'코덱과 'mss'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요구됩니다

전자의 경우 코덱의 확보 & 간단한 마우스 클릭이 요구되며

후자의 경우 간단한 'txt'파일의 조작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약간의 조사(?).. 이면 2가지의 조건을 확인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4. 플레이어 ------------------------------------

과감히 말씀드리건데..

위의 '영상/음성/자막'이라는 3종의 코덱을 모두 정확히 설치하셨다면

두둥~~~

어떠한 플레이어를 이용하셔도 모든 파일의 영화를 감상하실수 있다고

감히 자신합니다.

곰플레이어를 잠시 사용해본 적이 있음에 곰플레이어는 코덱의 설치가

필요없다고 말을 합니다. 허나 프로그램의 설치시에 약간의 선택이

요구됩니다.

사사미(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듯...)의 경우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와

구분될만한 확연한 'Merit'(미쳤구나.. 영어를 남발하다니..)를

느낄수 없었습니다

아드레날린의 경우 플레이어의 여러 기능들 중에 영화화면의 캡쳐기능을

꼽고 싶습니다. 자신의 원하는 또는 기억하고 싶은 장면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은 큰 매력이 아닐 수 없습니다.

(흠.. 다른 플레이어들에도 있나... 사용해 보지 않아서...ㅡㅡ;;)

허나 아드레날린의 삭제시 코덱이 엉킬 소지가 다분함을 말씀드립니다


기본적으로 말씀드리고 싶은것은... 흠.. 뭐랄까..

건물을 지음에 있어서 초석이 잘 다져져야 튼실한 건물이 생기는 것과

같다고 생각됩니다.

코덱이 잘 설치 된다면 어떤 플레이어를 사용하셔도 좋다는게

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5. 정리 사설 1 -----------------------------------------------

저 역시 많은 자료실에 올라와 있는

'통합코덱', '한방에..','필수코덱모음..'등의 제목을 가진

코덱들을 설치 실험(?)해 보았습니다만..

가끔씩 아프다고 울어대는 컴퓨터를 달랠 수 없는 경우가 있었으며

위험하다고 경고(?)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레지스트리의 삭제를 해보았고

최후의 경우 포멧도 해 보았습니다.

과정에서 익힌.. 필요 코덱만을 설치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때문에 지금은 정말 필수로 여겨지는(?) 위의 코덱만을 설치하고

당연히 모든 영화들을 즐기고 있습니다.

위의 경우에도 제대로 재생이 되지 않는다면

감히 & 과감히

파일의 교체나 또는 삭제를 권합니다

재생이 되더라고 화질의 현저한 차이를 느낄것이며

소장하시는 분들께 있어서 시일이 지난후에 밀려오는 후회를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고 싶습니다.


6. 정리 사설 2 ----------------------------------------------

마지막으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위의 사항들은 순전히 저의 경험담이며

100% 정답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모든 사람들의 생각이 같을 수 없듯이

모든 컴퓨터의 조건이 같지 않고 또한 요구사항이 같지 않음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정말 마지막으로...

돈 많이 벌어서 애인과 극장에 자주.. 정말 자주..

가고 싶습니다. 아무리 화질이 좋고 음성이 좋와도

극장에서 느낄수 있는 즐거움보다 크지 않습니다.. 아흑..)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1 이정증
  저의 의견한가지

플레이어어에 따라서 음질의 차이가 있습니다.

제일좋은건 미디어플레이어클래식을 이용해서 보는거죠

왜냐면 YUV12지원하구 음질도 깨끗하죠

미디어플레이어에서 플레이하는 AC3음질과
곰플레이어나 아드레날린에서 듣는 AC3음질은 약간의 차이가있습니다

제개인적인 생각으론 미디어플레이어쪽이 좀더 시원하다고할까요

하지만 미디어플레이어는 자막이 문제조 설정도그렇고

그래서전 사사미를쓰고있습니다^^

지금나오는 새로운버전들의 프로그램에비하면 별로 좋은점은 없지만
미디어플레이어만큼 시원한소리를 들려주고 기능도 버전업은 안되고잇지만 만족하거든요...

단지오류가 좀많지만요^^ 리소스 좀 잡아먹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