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질문)매트록스 g450 tv아웃에 관해

질문과답변

[re] (질문)매트록스 g450 tv아웃에 관해

1 최수산 0 2,501
안녕하세요?
답글이 늦게 올라와서 님이 이글을 볼 수 있을지 모르겠군요.
잘 아는 바는 없지만 님의 환경이 저와 비슷한것 같아서 답변 적어봅니다.
이론적 지식은 없지만 경험에 의한 바로는요 미디어 플레이어의 캡션 기능으로 자막을 보면 dvd max기능시 자막이 뿌려지질 않죠. 그래서 사사미를 쓰는 것인데 사사미사용시 버벅되서 보기 힘들다면 미디어 플레이어를 사용하면서 dvd max시 자막을 입혀주는 필터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 코덱이 존재하고요. divxg400이라는 필터인데 여기 유틸 자료실에도 있습니다. 이것을 설치하고 설정을 하면 일단 미디어 플레이어로 재생하면서 dvd max시 자막까지 입혀지게 됩니다. 그러나 단점은 이렇게 하여 입혀지는 자막의 품질이 사사미에서의 자막의 품질보다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개인적으로 사사미가 dvd max시 자막입히는 용도로는 최강이라고 생각하는데요, 편리한 자막 설정값 조절도 그렇고 반투명 상태(alt + f7)로 해놓고 자막이 입혀지는 모습을 보면 아주 그럴듯 하더군요. 꽤 만족스럽지만 님 사양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통한 재생이 느리다니 안타깝군요.
 정리하자면 한정된 사항에서 dvd max시 자막을 입혀 보려면 divxg400이라는 필터를 사용하시면 될 듯 합니다. 그러나 사사미의 자막 품질이 많이 아쉬워 질듯도 하군요.
 제 사양도 님과 비슷(?) 해서 셀433에 128램, g450 sdr 16m인데요 미디어 플레이어(6.4)에서는 거의 풀프레임이 나오지만 사사미에서는 끊기더군요. 일단은 필터를 이용해 미디어 플레이어로 재생하며 자막을 입혀 보는건 가능하지만 사사미의 꽤 괜찮은 자막 품질이 아쉬운 바입니다. 오버를 해서 해결될 문제인지도 모르겠고 그리고 님은 g450중에 상위 제품을 산듯 한데 16m sdr은 divx재생에서 윈도우의 해상도와 색상제한이 있더군요.
 한글 g450한글 드라이버와 프로그램은 자료실 등에서 구하시고 세팅을 해줘도 cpu사양때문에 느려지는 사사미는 어쩔 수 없을듯 합니다. tv-out시 복제가 아닌 dvd max를 사용하는 것은 당연하고요, 그리고 혹시 dvd max시 tv에 표현되는 화면의 색상이나 색농도 밝기, 명암등이 다르게 나타난다 싶으면 divx필터설정을 해주면 거의 퍼팩트하게 조정이 됨을 경험했습니다. 물론 모니터에서는 필터값을 조절한 대로 이상하게 표현이 되겠지만(여전히 tv와는 다르게 나타나겠지만) 영화는 tv로 보는 것이니까요.(tv에서의 색상등의 왜곡은 제 경우이니 님이라면 그렇지 않을수도 있겠죠)
 
 님 컴퓨터와의 사양도 큰 차이 날바가 없고 요즘 알아보는 것들이 님과 비슷한것 같아 경험을 중심으로 아는것에 한해서 답변글을 남겨봅니다.
 유용한 답변 되었으면 하는군요.
 
 그럼.
>
> 디빅랜드 고수님 들 어제 저 날샜슴다
>제가 디빅으로 티비에서 볼요량으로 29인치 lg티비사고 매트록스 g450 사서 컴터에 장착하여
>여기에 올라온 글을 밤새 검색해서 출력을 시켰는데 처음에는 듀얼멀티 플레이어로 하니까 화질도 안좋구 해서 dvd쪽으로 설정해서 실행하니까 출력은 어느정도 해결한것 같은데 자막이 안나오네여
>참고로 제컴 사양이 셀466에  rem256 인데 미디어플레이어는 안끈기고 잘나오는데 사사미는 버벅되더라구여 그래서 사사미로 실행해보니까 자막은 나오는데 버벅 되서리 미디어 플레이로 실행해서 보려고 함니다 미디어는 버벅안되더라구여 근데 자막이 안나와여 참고로 컴에서는 나오거든여
>님들 해결좀 해줘영 미치갔슴다 어찌하면 좋을지 아..... 그리구 또한가지여
>제가 영문 g450 ddr32메가 임다 한글버젼있으신분 메뉴얼좀 올려줘영 구하기가 힘드네영
>올려주시기 힘드시다면 최적의 세팅갑좀 갈차 줘영 부탁임다
>수고 하시구여 속시원 한 답이 올라오기를 기다릴께영
>                                                      그럼 즐팅하세영.......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