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화질(최대 비트레이트) 질문드려요

질문과답변

동영상 화질(최대 비트레이트) 질문드려요

1 삼성SSD 7 14,963
제가 소장중인 1080p 영화는 보통 해상도가 1920x800~820 입니다.
(2.35~2.40:1 레터 박스가 생기기 때문에, 물론 16:9 비율은 1920x1080 이지만...)
 
동영상 화질과 용량에 대해 생각하다가 공식 하나를 찾게 되었습니다.
 
● 동영상 인코딩 최대 비트레이트 공식
( 가로 해상도 x 세로 해상도 x 초당프레임 x 코덱값 ) / 1024 = ~kbps
 
- 코덱값 (보통 x264를 사용하기 때문에 0.17로 잡겠습니다.)
* MPEG-2 = 0.27
* Xvid, DviX = 0.15 ~ 0.4 (MPEG-2처럼 0.27 정도 주는 게 좋음)
* H.263, H.264, x264, MPEG-4 = 0.16 ~ 0.17
 
계산 ( 1920 x 820 x 30 x 0.17 ) / 1024 = 7841.25 kbps
- 영화의 초당 프레임은 24fps 지만 30으로 계산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선호하는 릴그룹인 CHD 외 PublicHD, WiKi, ESiR ... 의  
시스템 정보 파일(nfo)을 보면 보통 비트레이트가 1만~1.5만 사이입니다.
 
최대 비트레이트인 7841.25를 넘서 비트레이트가 1만, 2만, 3만이 되
화질이 더 좋아지는 건 아니라는 말인데...
 
그래서 제가 생각한 것은 BluRay 1080p 영상도 너무 용량이 큰 것 보다
최대 비트레이트 선에서 깨끗한 화질 깔끔한 음질이면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이것에 대해서 도움이 되는 설명이나 정보를 알려주시면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1 고얀모래
인코딩이라면...
블루레이원본과 똑같은 해상도(1080p)로 리핑해도 열화현상으로 약 30% 화질저하가 생긴다고 합니다.
그래서 릴그룹이 중요한거죠.

인코딩한 경험에 의하면 비트레이트보다는 떤 프로그램으로 세팅해서 잘 뽑아냈는냐가 관건인거 같아요.
여러개 다양하게 써봤지만 용량대비화질이 '메구이(MeGUI)' 가 최고더군요.
메구이는 저용량고화질에서 깍두기현상을 막아주는 최고의 인코딩프로그램인것 같아요.
1 삼성SSD
전문적이고 오래된..릴그룹은 비트레이트가 왜 뻥튀기 되있는가? 그것이 궁금했구요...

가성비와 같이 용량대 화질을 따지면 떤게 가장 좋을까 생각 중이였거든요...

혹시 고얀모래씨는 떤 릴그룹을 주로 사용하시나요?
1 고얀모래
아 물론 맨처음 릴뜬 릴그룹을 선호합니다.
그 뒤로 나오는건 블루레이원본으로 인코딩한게 아니라 재인코딩한게 대부분이죠.

저도 CHD,WiKi,SPARKS 를 선호합니다.
1 삼성SSD
씬급 릴그룹 중 애용하던 PublicHD가 증발해서 너무 아쉬운데요~

이번 캡틴 아메리카 풀린 걸 보면 SPARKS가 엄청 빨리 뜨던데...
물론 저는 2일뒤? CHD/WiKi 풀려서 CHD로 재다운로드 하였지만요 ㅡㅜ

혹시 SPARKS 릴 영상 보셨으면 화질과 음질 떤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1 아지랑이
잘못 알고 계신 부분이 많아 견적이 좀 나오는데... 잘못된 정보들이 인터넷의 바다에 너무 많이 떠돌죠.

'최대 비트레이트 공식'이란 건 없습니다. '적정 비트레이트'란 것도 없고요. 왜냐하면 인코딩 소스별로 특성이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리퍼(ripper)'별로 추구하는 바도 다르고요. 참고로 '인코더'란 말을 인코딩 프로그램이나 장비가 선점했기에 인코딩하는 사람을 '인코더'라고 하지 않고 '리퍼'라 합니다.엄밀히 말하면 '리퍼'는 cd나 dvd, 블루레이 타이틀의 lock을 풀 파일로 만드는 사람을 뜻하는데 인코딩하는 사람을 통상 그렇게 부릅니다. '릴을 뜬다'는 말도 잘못된 말입니다. '릴(rel)'은 '배포', 또는 '배포하다'는 뜻의 'release'의 줄임말입니다. 따라서 '릴을(배포를) 뜬다'는 말은 논리적으로 안 맞습니다.

메구이로 x264 코덱을 사용할 경우 Bits/(Pixel*Frame)이 0.05 이상이면 괜찮은 화질이 나옵니다. 여기서 Bits/(Pixel*Frame)는 하나의 정지 화면에 뿌려진 정보의 양을 뜻합니다. 예를 들 비트레이트가 2500 Kbps이고 해상도가 1920x1080, 프레임 레이트가 24면 2500x1000/(1920x1080x24)≒0.05023. 2500에 1000을 곱해주는 이유는 Kbps를 bps로 만들주기 위함입니다. 숫자로 설명하니까 이해가 려울 텐데 4시간짜리 영화도 음향 비트레이트만 320 Kbps 정도로 낮춰주면 dvd5 용량에 들가게 만들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더 쉽게 풀이하면 영상 비트레이트가 2000 이상이면 볼만한 화질이 가능하다는 뜻.

비트레이트가 높을수록 화질이 좋아야 하지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는 게 함정이죠. 인코딩엔 설정 변수가 너무나 많거든요. 극단적으로 설명하면 40기가짜리 블루레이 원본을 인코딩해서 용량을 1/10로 줄여도 원본과 거의 동일한 화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인코딩이란 게 손실 압축이지만 인간의 눈과 귀로 그 차이를 알아채긴 힘들요.

블루레이 초창기만 해도 2시간 남짓 영화는 dvd5 용량, 그 이상이면 dvd9 용량 이내였는데 느 날 갑자기 용량들이 부쩍 늘났습니다. 차세대 음향을 넣다 보니 그런 면도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영상 비트레이트가 화질의 전부인 양 착각하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인데 동영상의 화질과 음질은 용량으로만 따지지 말고 직접 보거나 듣고 판단해야 합니다. 특히 화질은요.

저번 글에서 dts가 ac3보다 음질이 더 좋은 걸로 알고 계시던데 블라인드 테스트를 해봤는데 전문가들도 그 차이를 모른다고 합니다. 이건 21세기 초에 이미 종결된 논쟁입니다.

질문과 상관없는 얘기 하나. UHD가 아직은 활성화가 안 됐지만 곧 대세로 자리잡을 겁니다. 그것도 궁극적으로는 해상도가 FHD의 4배인 4K UHD가 아니라 16배인 8K UHD가요. 4K UHD 대비 가로, 세로 해상도를 각각 2배씩 늘려주면 되니까 이건 기술적으로 그리 려운 게 아닌데 관건은 카메라 등의 고가의 장비와 방송 표준, 영상 표준, 그리고 디스플레이 등의 뒷받침입니다. 8K UHD는 아마 2020년 이전에 실용화될 겁니다. h265를 넘서는 영상 코덱도 나올 것이고 저장 장치 용량도 늘 것이고 인터넷 속도도 빨라질 것이니 다른 건 걱정이 안 되는데 문제는 디스플레이 놓을 공간.
1 삼성SSD
잘못된 정보에 대한 체크와 정확한 설명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저번 REMUX 글 설명에 이 이렇게 장문으로 설명해 주시니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막상 찾아보려고 해도 원하는 답을 얻기가 너무 힘들었는데...
아지랑이씨의 답변을 보고 나니 조금씩 이해가 되서 매우 기분이 좋습니다.

- 리퍼와 릴에 대한 개념과 정의
- Bits/(Pixel*Frame)
- 인간의 눈과 귀의 한계
- 영상의 화질과 음질은 용량으로 따지는 것이 아닌, 직접 보고 듣고 판단해야 한다!

저는 가성비의 개념으로 잘못 생각하고 있었는데 용량으로 따지는 것이 아니라
직접 보고 듣는 것이 필요하다는 걸 다시 한번 느끼게 되네요~

이런 정보들을 디서 공부하셨는지 궁금하네요 ㅎㅎ
나중에 궁금한 점은 다시 질문하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10 flydragon
아지랑이님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비트레이트 대비 효율성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었는데 느정도 해결되었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