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실미도는 누군가에 의해 다시 만들어져야 할것 같습니다

영화감상평

아무래도 실미도는 누군가에 의해 다시 만들어져야 할것 같습니다

G 이헌규 17 2122 0
아무리 돈이 좋아도 그렇지 강우석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는데 겁도없이 영화계 파워로 밀어붙여 한국영화사의 치욕적인 기록(최다관객동원)을 남기고 말았습니다. 기존에 알려진 실미도를 왜곡한것도 모자라 추가로 밝혀지는 사실에 의해 완전 허구의 영화가 되어버렸더군요. 한편을 코미디가 되어버렸스니다. 말죽거리던 태극기던 하루빨리 현재의 기록을 갱신했으면 합니다
-------------------------------------------------------------------------
김중권씨 "실미도부대에 범죄자 없었다"


당시 공군 감찰관 '그것이 알고 싶다'서 증언

    (서울=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 북파 공작원 실미도부대의 훈련병들이 지금까지 세간에 알려진 대로 사형수나 무기수 등 범죄자가 아니라 일반인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1971년 실미도부대 난동사건의 수사를 맡았던 김중권 당시 공군 감찰관(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7일 오후 방송된 SBS TV '그것이 알고 싶다'에 출연해  "훈련병  중 범죄자는 하나도 없었다"고 증언했다.

    공군 정보부대 모집관으로 일했던 사람도 "이들이 범죄자로 알려진 것은 국가의 의도적인 조작"이라고 털어놓았으며, 최근 실미도 훈련병으로 확인된 충북 옥천  실종자의 가족들도 "'매달 200만원씩 받게 됐다'거나 '돈을 많이 벌어오겠다'고  말한 뒤 정체불명의 남자들을 따라나섰다"고 주장했다.

    강우석 감독의 영화 '실미도'와 백동호의 동명 원작소설에서는 주요 등장인물이 형 집행을 면해주는 조건으로 모병에 응한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부대 창설 당시 국무총리였던 김종필 자민련 총재도 "사형수나 무기수들을 모집해 훈련을 시킨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것이 알고 싶다'의 '죽음의 섬 실미도-8ㆍ23 군특수범 난동사건의 진실'  편은 자폭 후 살아남은 훈련병들이 1심 사형선고 후 항소를 포기한 까닭,  훈련병들의 시체가 유가족에게 인수되지 않은 비밀, 공군과 중앙정보부가 서로 책임을 떠미루는 배경, 훈련병들이 난동을 일으킨 이유 등을 추적하며 정부 당국에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프로그램 방영 후 SBS의 인터넷 게시판에는 그동안 진실을 은폐해온 권력자들을 성토하고 희생자와 유가족을 위로하는 의견이 주류를 이뤘으며 "영화에 속은 느낌이 든다"는 의견도 눈에 띄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7 Comments
1 김환인  
  영화 나오기전엔 밝히려 노력한적도 없는걸로 아는데 영화나오기전에
좋은정보나 일찍 주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요?
영화찍을때 나름으로 다 찾아다닌걸로 아는데 그때 나서서 실미도에 대해 자세히 밝혀주었으면 좋았을것을
이제와서 영화에 대해 사실과다르다고 비판하는것은 좋아보이지 않네요
1 김은희  
  헛!! 그것이 알고싶다 어제 봤는데 .. 범죄자 있었다고 했는데요..일반인은 40%정도라고 얼핏 들었는데?.. 내가 잘못 들은건가?@@
1 이선영  
  그러게요..
영화는 영화일 뿐..
사실에 근거한 영화라 하더라도..
다큐멘터리나 역사실록은 아니쟎아요?
더구나 우리 역사를 되돌아보게 해준 계기를 만들어준 영화인데..
코미디라니..좀 심하시네요 =_=
1 ★염장⑦♂☆  
  기록이 별로 없다보니 백동호의 소설이 거의 거시기했다던뎅.;ㅋ
1 정홍선  
  영화는 영화일 뿐 과거의 기록이 될 수 없지 않을까요?
1 빌리  
  국가의 필요에 의해 꼬득임을 당한 끝에 청춘을 고스란히 헌사하고 죽음을 당한....그것도 모자라 그러한 사실이 은폐되기까지...
그들과 유가족들의 아픔을 생각한다면 실미도에 대한 다시금 불거져 나오는 진지한 비판들은 마땅합니다.
사실로서의 역사를 소재로 했던 영화라면,
감독의 말처럼 비극적인 역사를 돌이켜보고 모두가 아픔을 함께 하기위한 영화였다라고 말한다면...
문제가 있습니다.
사전에 정확성에 근거를 두지않고 흥행성만을 고려한 결과 그들에게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기고 관객들에게 심한 배신감까지 안기게까지 되었으니 말이죠.
못보신 분들 한번 보십시오.
어제 '그것이 알고싶다' 죽음의 섬 실미도편을...
할 말 참 많아질 겁니다.
실미도 영화를 봤건 보지않았건 못했건 간에 국민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꼭 보고 느꼈어야할 방영분이라 생각되네요.
지금에 와서야 가족들이 실미도훈련병이었다는 사실과 사망했다는 소식을 알게되고
실미도현장에서 울부짖는 유가족들의 모습을 생각하면..아직도 씁쓸하군요.
1 권대훈  
  흠.. 전 지금 말한 그들도 믿지 못하겠습니다 -_-
솔직히 아무도 모르는거 아닙니까??
윗대가리 들이.. 훈련병들에게 무슨 꿍수를 뒀는지 알게 뭡니까 --;
32 ScsiC  
  "지금에 와서야 가족들이 실미도훈련병이었다는 사실과 사망했다는 소식을 알게되고 "
이것만으로도...실미도 영화를..다시 평가 할만하지여...
영화시작(끝)에..이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이말이 없는한.. 영화는 영화로 끝나야지여.. 단지 숨겨졌던 사실이 이 영화로 인해 국민의 관심사가되고..사실이 밝혀졌다면..그 것만으로도 가치 있는 영화 아닐까요??
巳足 - 우리는사극 드라마 보면서도...역사공부하는 우수한 국민들이지요...

1 데이비드베켐  
        그냥 만들지말지
1 임철  
  영화는 영화일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내가 선택한 그 영화를 2시간이 다되는 시간동안 그안에서 즐거움과 실망 배신감 감동등등을 느끼고 생각했으면 그게 답니다.
당시 사람들의 증언과 물증으로 실화를 바탕으로 영화를 만들었다고 해도 당시의 다른 사람을 만나서 이야기해보면 또다른 이야기나 물증이 나올도 있는겁니다. 그만큼 역사란것은 한번 지나고 나면 사람에 따라 재해석될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재현하기 힘든 작업이란 말이지요.
 제가 고등학교때 한 선생님으로부터 노량진쪽에 있는(우리동네가 노량진에서 가까움)유한양행앞에서 있었던 사건에 대해 듣게 되었습니다. 그때는 그냥 아무런 감흥없이 재미있게 그런가보다하고 들었던 그 사건이 바로 실미도 사건이었더군요.
(영화와 신문의 내용을 보고 그때의 기억이 살아나서 알게 되었습니다.)
그당시 선생님의 말을 기억해보면 영화의 장면과는 많이 달랐습니다.
그런것입니다.
그냥 영화는 영화일뿐 너무 심각하게 심오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1 오재순  
  영화는 영화일 뿐이라는 말은 좀 그렇군요, 그렇다면 유가족들에게도 영화는 영화일뿐이니 진정하세요 라고 말해야 되나요?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한유가족이 영화를 보면서 속으로 이렇게 외치고 싶다고 한 말이 생각나는군요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는 말  대중의 재미를 위해 소수 그것도 힘없는 자들의 명예와 그 가족들이 희생되어야 한다는 건
좀 그렇습니다.
1 한 상준  
  그래도 영화로써 그정도의 진실에 접근하고,모든 국민의 관심을 갖게 한것에 만족할 수 있는 영화죠....조금 사실이 왜곡 되었을지라도..큰 이미지를 어느정도 표현할수 있었다는것에 만족합니다...우리나라에 많은 역사들이 왜곡된것이 많다고 ~어디선가 들었읍니다..영화로든 어떤 것으로든 관심을 갖고,바로 잡아 나간다면 ,우리나라에 많은 발전이 있을겁니다..의식적으로도....
1 JOE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이 합당한가에 대한 문제 귀결되는군요..
과연 글쓴분들이 소수라면...;;;
1 장기훈  
  영화는 영화일뿐이라.......
2시간 즐겼으면 끝이군요 그게 누구의 일이던 간에
3 정웅록  
  "지금에 와서야 가족들이 실미도훈련병이었다는 사실과 사망했다는 소식을 알게되고 "
이것만으로도...실미도 영화를..다시 평가 할만하지여...

라고 ScsiC님이 적어주셨는데 영화가 아닌 그것이 알고싶다를 통해
알게된거거든요. sbs보신 분들은 아실겁니다. 이제서야 알게된 유족들이 영화를 본후 영화는 거짓말이다 범죄자가 아니다라며 우시더군요.
영화는 어쨌든 유족들에게 2번의 상처를 남긴듯...
1 보라미  
  영화 다 좋은데 ...
마지막에 검은 화면에 실미도 전우여러분께 바칩니다 였던가요..? ..
그부분은 좀 걸리네요...
1 비트문  
  정말 걸리네요. 폼잡는거야 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