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이젠 SF를 만들 수 있다! [지구를 지켜라]

영화감상평

우리도 이젠 SF를 만들 수 있다! [지구를 지켜라]

1 강병준 13 2206 3
얼마전에 우리 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장르의 영화가 한편 개봉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얼마 지나지 않아 흥행 실패와 함께 스크린을 내려와야 했습니다.
바로 '지구를 지켜라'라는 조금은 촌스러운 제목의 영화입니다.
비록 흥행 실패라는 뼈아픈 현실이 있었지만, 이 영화의 존재 가치는 큽니다.

이곳의 몇몇분들 중에는 '지구를 지켜라'를 상당히 혹평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아마도 그러한 생각의 밑바탕에는 외국의, 특히 헐리웃의 SF와의 비교가 자리하고 있을 것입니다.
저 역시 SF 영화의 상당한 팬으로 '블레이드 러너', '매트릭스', '터미네이터', '딥 임팩트' 등등...
수많은 헐리웃의 SF에 열광하고 그 영화들을 사랑하는 사람입니다만...
"지구를 지켜라"를 폄하하시는 분들의 주장만큼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저는 우리나라에도 이제서야 진정한 SF가 나왔다고 생각하고 이것이 시작이라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근래의 그 어떤 외국의 SF보다도 뛰어난 스토리와 구성, 영상을 가진 영화입니다.
헐리웃이라고 해서 언제나 뛰어나고 훌륭한 SF를 만들지는 못합니다.
아무리 헐리웃이라 해도 CG만 화려했을 뿐 내용면에서는 허접쓰레기 같은 SF도 많습니다.
그에 비하면 '지구를 지켜라'는 장준환 감독님의 뛰어난 감각과 시나리오가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우리에게도 이렇게 훌륭한 SF가 있다는 게 자랑스럽습니다.
SF는 상상력의 문제이지, 결코 화려한 컴퓨터 그래픽만으로 쳐바른다고 만들어지는건 아닙니다.
물론 CG는 SF를 좀 더 사실적이고 충실하게 만들 수 있는 도구이긴 합니다.
어쨌든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도 이젠 이렇게 제대로 된 SF를 만들 수 있을만큼의
역량을 쌓았다고 결론을 내리게 만든 영화였습니다.
또한 배우들의 연기도 완벽했고, 마지막 반전은 그야말로 압권이었습니다.

'지구를 지켜라'는 물론 순수한 의미의 SF라고 하기에는 좀 복잡하게 장르가 섞여 있는 영화이고, 조금은 황당한 설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면도 있습니다.
하지만 SF는 무조건 현실적이고 검증되고 타당성이 있는 내용으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닙니다.
SF는 오히려 환타지에 가까운 장르로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상상력을
최대한으로 마음껏 펼치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 인간에 대한 성찰과 교훈이 있는 것이죠.
부디 우리 나라 영화에서는 SF는 만들지 말아야 할 것처럼 말씀하시는 분들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두고 보십쇼.
이제 곧 우리영화에도 서양을 능가하는 SF가 나올 겁니다.
저는 확신하고 있습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3 Comments
1 휘슬스탑  
  지구를 지켜라를 보고... 저도 정말 기분이 좋았답니다.
이렇게 좋은 영화 만드는 사람들도 있구나... 정말 좋은 시도의 영화였습니다.
1 나쁜천사  
  장준환..감독님이었나요,장준한 감독이었나요;;;하여튼..그 분은..서태지를 남모르게 좋아하신답니다..^^;  농담이구요;;; 저도 영화 재밌게 봤어요^^;;;;;
1 강병준  
  이 영화에는 재미있는 오마쥬가 몇개 있습니다.
제가 찾은 건, '2001년 스페이스 오디세이'와 '블레이드 러너'입니다.
또 찾으신 분 없으신지요? ^^
1 이종경  
  영화예고를 첨을 봤을때 결말을 알아버린 영화 너무 뻔한영화였는데...(개인생각이였습니다(__)
1 정재원  
  지구를 지켜라  간만에 보는 쌍큼한영화였습니다~ ㅋㅋ 
1 머루  
  정말이지 너무나도 간만에 보는 끝내주는 영화였습니다.
돈쳐바른 cg가 난무하는 텅빈영화보다 백배천배 훨씬 낳습니다.
이런 영화가 있다는게 자랑스럽기까지 합니다.
재미......물론 재미가 우선였습니다.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마지막 외계인분장과 우선등의씬에서 많은 분들이 유치찬란하다며 혹평들을 하시는데 그건 더 산뜻한 느낌을 주기위한 감독의 의도인듯합니다.
그래서 영화가 더 빛나는듯했습니다.
1 김종석  
  저도 마지막 장면은 일부러 허접하게 만든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1 독사과  
  원숭이 나오는 장면은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의 오마쥬인 건 알겠는데, '블레이드 러너'의 오마쥬는 어떤 장면인지요....
앗, 참! '유주얼 서스펙트'와 비슷한 부분도 눈에 띄더군요.
'강만식'이 위기를 벗어나고자 '병구'한테 장황하게 설명한 내용이 여기저기 눈에 띄는 것들을 짜집기 한 것임을 암시하는 부분...
'유주얼 서스펙트'에서 '케빈 스페이시'가 여기저기서 짜집기한 절묘한 거짓말로 형사를 속이는 것처럼요...
1 강병준  
  네,' 블레이드 러너'의 오마쥬 장면은 서커스 출신의 순이가 병구를 구하기 위해서 서커스 도중에 돌아온 장면입니다. 병구가 김형사에게 거의 잡힐 뻔 했는데, 순이가 재주를 넘으면서 김형사에게 덤빕니다. 그리곤 그의 머리를 허벅지 사이에 끼워서 제압하죠. 바로 '블레이드 러너'에서 프리스가 데커드와 싸우던 장면의 오마쥬입니다. 아마도 기억나실 껍니다.
1 solaris  
  이 영화는 패로디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우선 병구와 순이가 입은 의상은 미이케 다케시의 이찌 더 킬러에 나온 의상이고요. 전기 고문과 몇 씬은 샘 레이미의 크라임 웨이브, 이야기의 착상, 구조와 설정은 K-pax, 시고니 위버의 진실,  결말의 반전은 리포맨. 나머지 것들은 세븐과 윗분들이 말씀하신 블레이드 러너, 스페이스 오딧세이, 유주얼 서스펙트 이외에도 수많은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은 패로디가 있었습니다. 기본 정서는 미이케 다케시의 잔혹코미디의 정서를 가지고 있지만 대중에서 먹히는 정서라기 보다는 매니아 층에 혹하기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었고 찬반논쟁이 있는 것이겠죠. 혹평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중의 평가는 정확했다고 할 영화입니다. 다수 대중에게 환영받을 영화는 결코 아닙니다. 오히려 지나친 호평과 잘못된 광고컨셉으로 흥행실패로 이어졌죠. 감독이 영화광인건 인정합니다만 아직은 미완입니다. 지나친 지지와 호평도 부담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다음 작품에선 자신만의 이야기를 들고 나왔으면 하네요. 잘 어우러진 패로디 보다는 독창성도 기대해봅니다.
G 시스타즈  
  대중의 평가가 정확했다는건 이상하군요. 그 적은 관객수에 무슨 평가를 내릴 대중이라도 있었는지요. 영화 포스터나 광고가 유치해보여서 안봤다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보고나서 광고에 속았다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즉 님이 말하신 '대중의 평가'란 영화를 보기도 전에 내린 '평가'지 영화를 보고나서의 '평가'가 아닙니다. 처음엔 그 호평이 미미했지만 -본사람이 적으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둠의 루트든 디비디든 비디오든 심심풀이로 접해본 사람을이 많아짐으로서 그 진가를 안 사람들이 많아진것 뿐입니다. 절대 지나친 지지와 호평도 아니지요. 제가 볼때 님은 이영화를 약간은 안좋게 봄으로서 혹평을 하기 위해 돌려 말씀하신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G 시스타즈  
  그리고 이 영화에 가해진 호평이 못마땅한 이유가 무분별한 패러디 사용이라 보시나요? 그렇게 생각하시는건 자유지만 쩝..전 왠지 납득이 되지 않네요. 우선 패러디란게 무조건 독창성이 없다고 평가하신거 자체부터 말입니다. 아무리 패러디를 남발하였기로서니 그 기본 뼈대까지 같겠습니까? 영화의 특성이나 개성등이 모조리 모방일까요? 사실 패러디도 어떻게 잘 버무리고 영화속에 앙증맞게 자리 잡았냐에 따라 수준이 다른겁니다. 즉, 하나의 독창적인 영화제작문화라 봐야지요. 그런점에서 지구를 지켜라는 수많은 패러디가 있음에도 어색하지 않고 영화속에 잘 버무려져 있습니다. 그로 인해 자칭 영화광이란 사람에겐 웃음을, 대부분의 사람에겐 패러디된 영화를 찾아보는 재미를 주는것이죠. 인식을 전환하면 뭐든 않좋겠습니까
1 solaris  
  지나친 호평이라고 말한 것은 영화 개봉 전에 언론매체가 보낸 전폭적인 찬사를 말한 거였습니다. 그 찬사는 영화자체에 대한 것도 있었지만 위기가 도는 한 제작사를 구원하기 위한 것도 있었습니다. 혹시 의심나시면 검색해보십시오. 패로디란 것은 무수한 담론이 있지만 (예전에는 좀더 명확한 잣대가 있었습니다) 창작자로서 어떻게 취해야 하는 선택과 자신의 것으로 어떻게 변주해야 하는 고민이 남게됩니다. 오마주라고 대충 얼버무리는 창작자도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패로디는 창작에서는 독과도 같습니다. 이 영화는 그 해독을 조롱으로(나쁜 의미가 아닙니다) 변주해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미완입니다. 왜 그런지는 제가 열거한 비교적 잘 안 알려진 작품들을 다시 보시고 이 영화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곱씹어 보십시오. 앞서 말씀드린대로 무조건적인 찬사보다는 명확한 비판이 담긴 지지가, 오독보다는 더욱 좋은 성원이 될 수 있습니다. 윗글을 액면 그대로 보지 못하시고 혹평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은 님의 자유입니다만, 냉정하게 평가할 것은 평가해야 합니다. 우리 영화의 새로운 시도라고 평가받기보다는 영화 자체로 평가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리고 저는 이 영화에 찬성을 보낸 사람중 하나입니다. 못마땅했다면 대놓고 혹평을 하고 말죠. 이 영화에 대해서 정말 혹평을 하나 한다면 제작비 집행에서 커다란 실패를 했습니다. 그 몫은 감독 자신과 영화계 종사자들의 짐으로 남습니다. 이 영화는 훨씬 저예산으로 만들어졌어야 합니다. 충분히 가능했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