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침몰 vs 괴물..

영화감상평

일본침몰 vs 괴물..

1 김현덕 8 2853 10

이글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괴물 일본침몰 둘다 잼없습니다..

그게 그렇게 대작이라고 말하기 그렇군요..

괴물 cg 허술합니다 반지의 제왕 cg 담당이 극찬을 했다는데..

머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나무괴물보다 못하고 그냥 한강다리

우리가 마니 보았던 한국 그것도 서울..

누구나 한번쯤 가봤던 한강에 괴물이 나온다는 이유하나만으로 흥행을 한 영화입니다.

작품성으로 따지자면 각설탕에게 점수를 더 높게 주고싶군요..

일본침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 일본에서는 일본 자기나라가 가라안는다니..

그리고 사실적으로 일본은 조금씩 가라안고있고요..

그래서 일본에서 흥행한 영화입니다

둘다 비슷한건 그렇게 천만 이천만 할정도로 잼있는 영화가 아니라는겁니다..

매트릭스를 기억하십니까? 3번보고 4번봐도 안질리는 이런 영화가 대작입니다

반지의제왕 이런 영화가 진정한 대작입니다..

백튜더 퓨쳐.. 인디아나존스 이런것들이 기발한 상상력을 가진 영화들입니다..

괴물보다는 엽기적인 그녀가 훨씬 잼있다고 생각됩니다..

정말 대작인 헐리우드 영화가 한국에 들어오면 500만도 못보는데..

한국사람이 만들었다는 이유만으로 최고의 흥행을 하는

몇몇의 영화는 배우만 조으면 1000만까지는 보장해주는.. 그런 나라에서 사니..

우리나라 영화가 헐리우드를 따라갈수없습니다..

일본을 무시하고 욕하는 사람많은데..

일본드라마 한번 보시고 욕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 드라마처럼 질질 내용 끌지도 않고..

매일 똑가튼 신데렐라 아님 진부한 스토리도 아닌..

한편의 영화가튼 반전 드라마도 많이 있습니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일억개의별 이런 드라마 한번 보시고..

쪽발이들 허접하다 말하시길 바랍니다..

또 일본 옹호했다고 다구리 당할꺼 각오하겠습니다

괴물이 헐리우드 영화였음 어떨까요?

우리나라 사람 100만명도 안봤을껍니다..

괴물보다는 에일리언이 ,, 아니면 플레데터가... 아님 킹콩이 더잼있습니다..

예전에 태풍하고 킹콩하고 개봉한게 생각나는군요..

태풍이 킹콩을 아주 우세적으로 이기더군요.. 너도나도 태풍 태풍,..

솔찍히 잼없었습니다 장동건이란 이름하나로 성공한 영화죠..

예고편이 다였죠..

왜 괴물이 일본에서 우리나라 처럼 흥행을 못할까요?

한국영화란 이유만입니다..

왜 일본침몰이 우리나라에서 욕을 먹나요?

일본영화란 이유만입니다..

헐리우드 수많은 재앙영화 지구 종말하는건 하나도 없습니다..

다 마지막에는 지켜내죠..

더코어.. 역시 땅파서 지켜냅니다

아마게돈.. 역시 브르스윌리스가 지켜내죠

인디펜던스데이.. 역시 지켜냅니다

볼케이노.. 역시 막아내죠..

단테스 파크 .. 역시 막아냅니다..

일본침몰 역시 안가라안는다고 욕할필요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 영화랑 헐리우드 영화랑 비교하면 안되듯이...

일본영화도 헐리우드 재앙영화가 낳다 이런말 할필요가 없습니다..

비교가 되는걸 비교하시기 바랍니다..

괴물하고 킹콩하고 비교하면 인간적으로 괴물이 더 낳다고 생각하십니까?

개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일본을 욕하던 말던은 자유입니다.. 허나 일본을 욕하면서..

일본 영화 하나나오면 엄청난 테클을 걸면서..

일본이 우리나라 영화가지고 테클건거에 화내신다면..

정말 할말이 없습니다...

화살은 돌아옵니다.. 우리나라 영화도 이제 일본에 많이 수출될꺼고..

일본영화도 많이 수입됩니다..

그러나.. 이런식으로 나가단.. 서로 상처만 입겠죠...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8 Comments
2 j4life  
태풍도 400만~500만 정도 밖에 못찍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킹콩보다 약간 우세한 수준이죠.
괴물이 흥행 신기록을 달성한건 한국에서 만든 영화라는 이유 뿐만이 아니라 헐리웃 괴수영화에선 볼수 없는 우리 정서를 담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게다가 글쓰신 분께서 에일리언, 프레데터, 킹콩이 더 재밌다는건 지극히 주관적인 감정일 뿐입니다. 물론 '괴물'의 흥행이 마케팅의 성공이라는 요소 역시 배제할순 없지만, 그런식으로 따지자면 '태풍' 역시 '괴물' 못지않은 마케팅비용을 들였지만, 결과는 위에 말씀드린 것과 같습니다
일본 침몰에 대해서 욕을 하는 이유는 일본이 가라앉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뛰어난 CG에도 불구하고 빈약한 스토리라인이 영화적 재미를 받춰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금 글쓰신 분께서 쓰신 글에 대해 반감을 가지는 이유는 일본영화 편을 들기 때문에 반감을 가지는게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 감정과 생각만으로 모든 한국 영화와 영화 팬을 무시하는 듯한 태도에 반감을 가지는 것 뿐입니다.
헐리웃 블록버스터가 주는 재미가 있고, 우리식의 블록버스터가 주는 재미 역시 무시할수 없습니다. 수준 낮은 영화도 많이 나오지만, 그에 못지않게 정말 재밌고, 좋은 영화도 많이 나옵니다. 너무 우리 영화 무시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1 전중원  
일침을 놓으시지만 맞춤법도 신경쓰셔야..

그리고 한마디만요~

관객수에 선입견이 따르는건 현실이고 자국 영화란 이유면에서 흥행한다는걸
비판하기전에 애국심 조금이라도 챙겨주셨음합니다.
누구나 생각하듯이 한국영화 헐리우드에 뒤지는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헐리우드가 영화계의 끝이라곤 보지않습니다.)
일본도 마찬가지로 자국영화도 스펙터클한 장면을 찍으면서
거대한 블럭버스터를 제작할 수 있다는 자부심에 있지않을까요?
소재,연출력이 뛰어난 실미도를 앞서 태극기휘날리며도 동치로 봐도되겠죠

마지막에 써주신거 공감합니다^^ 선입견에 말려 태클거시는 분들을 볼때
단순 재미이상으로 하시는분들은 철없어 보이던데요
1 아디오스  
헐리우드에서 성공한 얘기들영화들중 솔직히말해서
단테스피크나 몇몇영화도 괴물이나 그런영화비슷합니다
솔직히 배우빨로 성공한영화들도 있죠
1 머루  
친숙한 환경,친숙한 배우.....그게 우리영화의 장점이 아닐런지.....
괴물정도면 정말 재밌게 잘만든 작품입니다.
물론 태풍같은 국방부홍보영화따위가 킹콩과 맞먹으려드는건 어불성설이긴하지만서도.....
26 Alexi Laiho  
마지막에 세줄 요약 해주지
1 쯧쯧쯧  
다 필요 없은 이말이 히트임...

p2p로 보는 불법 영화들..

"한국영화는 극장에서 봅시다."

-_- 애국 사랑 굳~

우리나라는 뭐 흔히 말하는 헐리웃 대작 같은것들을 만들어도 어색함..

엽기적인 그녀나.. 공공의 적 이런것들이 솔직히 더 재미있음.
1 원령공주  
헐리우드식 블록버스터 영화는 볼거리는 풍성할 지 몰라도

영웅주의식 스토리전개에는 식상할대로 식상함..

마치 홍콩 액션영화가 그랬던 것처럼..플롯이 정해진 재방송 수준..

그리고 미국인들만이 세계를 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하는 그 뻔뻔스러움과 오만함이 몰입도를 반감시킴..

그래서 아무리 대작이라 하더래도 500만 이상 봐줄 사람이 없음..

우리도 영화 한편당 2000억정도 쳐바르면 그정도는 만들 수 있음..

괴물은 고작 100억 남짓 들이고도 그정도의 감동을 주었는데..할말 다 했음

애초에 헐리우드 블록버스터영화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임..

헐리우드가 처음부터 블록버스터에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붓지는 않았음

스틸버그가 죠스라는 영화를 만들어 뜻밖의 대박을 터트리자 그 대박을

쫒는 무리들이 영화산업에 천문학적이 돈을 투자하기 시작했음..

괴물처럼 1000만관객을 동원할 수 있는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성공은

투자자들로부터 더 많은 돈을 영화산업에 끌어들일 수 있는 찬스를 제공해줌..

블록버스터의 탄생은 어느날 갑자기 뚝딱 이루어질 수 없는 고도의 인적,기술적 인프라의

집적과 자본의 축적 없이는 불가능함

때문에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성공으로 충무로는 더 많은 자본을 축적하고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하여 또 다른 성공을 낳고 다시 투자로 이어져 시장의 팽창을 가져오게 하는 시발점이라
할 수 있음..

괴물의 성공이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는 측면에서 크나큰 의의를 가짐..

갠적으로 한국영화가 할리우드의 오만한 콧대를 꺾어 줄 날이 오기를 학수고대함..

일본영화는 결코 우리의 경쟁상대가 아님..이점은 주지의 사실임.. 뭐 CG라는 단편적인

파트에서 앞섰다고 하나 여타 영화산업 전반의 환경이나 분위기 면에 있어서는 일본은

우리의 상대가 안됨..일본을 무시해서가 아니라 객관적인 팩트가 그러함..
1 김현덕  
윗분은 가정교육을 덜받았나.. 아님 한국사람이 아닌가 말이 짧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