령(靈) - 김하늘의 일인 독주극

영화감상평

령(靈) - 김하늘의 일인 독주극

1 차봉준 2 2035 2
20040626_01.jpg

- 감독 : 김태경
- 출연 : 김하늘, 류진, 남상미, 신이, 빈
- 제작 : 한국, 2004
- 장르 : 공포, 미스테리, 스릴러

2004년 여름을 맞아 처음으로 본 한국 공포영화였다. 신현준이 나온 페이스는 이미 극장에서 끝나 못보고 김하늘의 이 영화를 보았다. 얼마전에 "그녀를 믿지 마세요"를 본 이후 그녀의 연기가 기억에 많이 남아 있는 상태이기도 해서...

이 영화의 포커스는 두가지이다. 스토리상에서는 "빙의"라는 요소이고 공포적인 면에서는 "음향"이다. 빙의라는 것은 사람의 몸에 다른 사람의 영혼이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사랑과 영혼"에서도 그러한 장면이 나올 만큼 동서양 모두 영혼의 존재가 다른 사람몸에 들어간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그래서 공포적인 요소로 사용이 된 듯 싶고...

이 영화에서는 그 빙의를 사용하여 지원이가 앓고 있는 "해리성 기억상실증"과 더해 반전의 반전을 보여준다. 근데 그 반전이 대강 영화를 보다가 감이 잡히는 약한 반전이라는 게 아쉽다.

음향이라는 것에서는 공포영화에서 깜짝 놀라게 하는 장치로써 상당히 중요한 데 이 영화에서는 중반까지는 그 장치가 잘 사용되었다. 그런데 그게 너무 남발해서 인지 후반에 가면서 식상해지는 느낌이 강해졌다. 갑자기 "꽝"하는 음향효과에 소름이 쭈빗하던 초반느낌이 후반에 가서는 "또야..." 하는 느낌으로...

음향으로 공포효과를 가장 잘 주었던 영화는 "주온"과 "링"이 아니었나 싶다. 이 영화에서는 그와 비슷한 연출을 볼 수가 있다.

김하늘은 이 영화에서 2가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내성적이고 순한 여자의 모습과 표독하고 삐뚤어진 여자의 연기를 했다. 현재와 과거의 서로 상반된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 이 영화에서 그녀가 보여준 연기력이었다.

사고로 기억을 잃기 전의 성격과 이후의 성격이 차이에서 오는 심리적 공포와 자신을 짖누르는 죽음의 공포를 김하늘을 잘 연기를 하다보니 다른 배우들이 그 사이에 끼어들 여지가 없었다.

전혜빈, 신이, 전희주등은 거의 들러리였다. 도저히 이들이 말하는 대사가 몇마디였는 지 한 손가락에 셀 수 있을 정도로 짦은 장면에 대사도 거의 없는... 그나마 전혜빈은 많이 나온 편이기는 하나 짦은 시간 여러번이라 그다지 많이 나왔는 지도 모를 정도.

남상미는 이전에 "그녀를 믿지 마세요"에서의 차분한 모습을 이어서 연기했다. "그녀를 모르면 간첩"에서는 발랄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왠지 남상미의 얼굴에서는 오히려 이번 영화나 "그녀를 믿지 마세요"에서 보여주었던 차분한 연기가 좋게 보이는 것은 내 혼자만의 생각인지... 그래서인지 자주 안나와 아쉬웠다. 자주 안나오는 이유는 영화를 봐야 알 수 있기에 적지 않는다.

이 영화의 광고중에 물에 대한 새로운 공포, 준비됐어? 이제 니가 죽을 차례야...등의 글들은 다 헛소리다. 그냥 일반적인 물귀신 영화이다. 나 죽었으니 너도 죽어라. 뭐 이런 간단한 내용이다. 물에 대해 새롭게 공포를 느낄 수 있는 요소는 없다. 이 영화보고 나서 샤워를 못할 정도의 물에 대한 공포는 절대 안생긴다.

PS :"빙의"하니까 생각나는 소설이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타나토노트"가 있다. 영혼의 세계를 탐험하는 내용인 이 소설에서 이 영화의 소재와 비슷한 사건을 언급한 내용이 있어서 영화를 보는 도중 기억이 났다.

4.jpg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2 Comments
1 박구남  
  포스터만봐도 재미없어보이는구만
개성이 전혀없음
  야 딴지는 아니지만 김하늘 연기 칭찬하는 평으로
유일하게 꼽히시네요....잘했나??? 너무 밋밋하던데
차라리 눈알 부리는 하지원이 훨 났지..................
김하늘도 역시나 로맨틱 이미지 벗기엔 전지현과
동급정도로 고생할꺼란 생각이드는 걸 다시 보여준
최하 연기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