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7 (2019)

영화감상평

1917 (2019)

2 칼도 1 382 0

1917 (2019)
https://www.imdb.com/title/tt8579674/

---
독일군 조종사가 자신을 살려주려고 하는 주인공의 친구를 죽이는 장면은 순진하고 다소 이상적인 그 친구가 결국 비극적으로 죽음을 맞게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장치인 것이 맞다는 것과 그 독일군 조종사가 악하게 그려졌다는 것은 느 한쪽이 다른 한쪽의 영화적 의미를 성립할 수 없게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 장치가 독일군 조종사를 악하게 그리는 방식으로만 가능한 것도 아니다. 따라서 '하필이면 왜 그런 방식으로?'라는 질문이 남는다. 더구나 그런 창치인 것이 맞다는 것은 동의 안하는 이들이 많을 수도 있는 해석인 반면 그 독일군 조종사가 악하게 그려졌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명백한 사실이다.

당시 영국군 중에도 그 독일군 조종사처럼 행동했을/행동했던 이들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영화는 그렇게 행동하는 독일군을 보여준다. 있었을 것이라는 역사적 개연성은 눈에 생생하게 보이지 않고 공부를 느 정도 해야 머리에 자리잡는 반면 영화는 눈에 생생하게 보인다. 반전 메시지를 담은 영화라면 전쟁 자체를 악한 것으로, 정확히는 - 지배계급과 엘리트들이 기획하고 순진한 민중들을 동원하는 - 범죄(적인 것으)로 그리는 데 초점을 맞추야 하는 것이지 조금이라도 전쟁터의 개개인들의 선악을 차별적으로 형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서는 안 되는 것이다. 실제로 개개인들 사이에 그런 차별이 있다는 사실이 영화에서 차별적으로 형상화되는 순간 영화는 프로파간다로 전락한다. 물론 이런 차별적 형상화는 전혀 우연이 아니다. 감독 샘 멘데스는 브렉시트 국민투표 1년 후인 2017년에 이미 일차세계대전에 대한 소박한 선악이분법적 인식을 과시하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애초 새 007 시리즈 몇 편을 그럴듯하게 감독한 정도의 인물한테 충분히 훌륭한 반전영화를 바라는 것 자체가 과욕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I’m afraid that the winds that were blowing before the First World War are blowing again. There was this generation of men 

fighting then for a free and unified Europe, which we would do well to remember.”

포격당하는 장면을 포함해서 전투 장면이 전혀 사실적이지 않다. 전투로 야기된 참상만이 꽤 그럴듯하게 그려졌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 Comments
17 oO지온Oo  
이 영화 분명히 봤는데 기억이 잘 안 나는 것으로 보아 그다지 인상깊게 본 영화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본문에 말씀하신 장면들은 렴풋이 기억나기는 하고 내용도 기억나지만..
이 영화에서 기억에 남는 장면은 병사들이 노래부르는 장면이었던 것 같아요.
병사들이 숲에 모두 둘러앉아 노래부르는 장면 있겠죠? ㅎㅎㅎㅎ 다른 영화와 헷갈린 걸까요?
병사들이 노래 불렀던 게 아니고 한 명의 병사가 불렀었나 싶기도 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