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센트의 의문 ? 촉각 이나 후각의 문제? 스포 조금

영화감상평

디센트의 의문 ? 촉각 이나 후각의 문제? 스포 조금

G 이학수 16 2631 1
그 안에 사는 괴물이... 인간에게 접촉하고 냄새를 맡지만 알아차리지

못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 감독은 아마 초반부터  박쥐라는 포유 동물을 이 나오는 씬을 만들어서

어느정도 이영화의 적을 암시해준것 아닐까?  일단 박쥐는 어둠속에 살기 때문에

놀라운 청각.. 초음파 수준의 청각능력을 갖고 있다. 반대로 후각 이나 촉각에는 약한

특성을 갖고있는 것이 박쥐 이다.  이 괴물들 역시 박쥐와 같은 능력을 부여한것 같다.

이렇게 박쥐의 능력을 알아보고..  그장면을 다시 본다면.. 그 사람을 알아채지 못해도

이상할것은 없다.  저의 개인적 생각 이였습니다 ^^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6 Comments
1 mario  
  어둠속에 나홀로 있다보면 눈이 필요 없을 수 있으므로(또는 눈을 사용하는 빈도가 매우 적어져서) 세대를 거치면서 해당 기관이 퇴화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얘들도 먹구 살려면  다른 외부 자극, 예를들어 미각,후각,청각,촉각, 6th sense,열감지능력(-_-;)등은 극도로 민감해질 수 밖에 없겠졉.
골룸이 주인공 머리를 밟고서도 몰르고 지나치는 장면은 말도 안되는 에라 되겠숨다.
1 조원석  
  어차피 B급 영화인데 너무 따질필요 있나요.ㅎㅎ 헛점이 꽤 많긴 하죠~
1 테드 번디  
  골룸이 사람 머리 밟고서 꼭 알아채야 하는법도 없죠..
막말로 널린게 시체고..시체 밟을때마다 일일히 확인할리가 없잖아요
1 밤의불나방  
  제가 밑에 다른분의 글에 단 덧글을 보신 거라면...?
잘못 이해 하신듯 싶내요.
꼭 따지려는것 같아 쓰긴 싫지만, 다시 써야 겠내요.
밑에서 얘기 했듯이 말도 안되지만, 후각까지 잃었다 치고,
촉각도 딱딱한 동굴 천장(이것도 너무한 부분.사람과 같은 손으로 스파이더맨 처럼 천정을 기어 다니는 것도 이상함)기어다니느라 잃었다 쳐도요.
진화 되오도록 생활해온 곳에서의 공간지각 능력을 말 하는 겁니다.
그리고 왜 공간지각 능력은 뛰어나게 진화되야만 하는지는 박쥐처럼 초음파를 발산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당연히 캄캄한 동굴.볼수도 없고,들을수도,느낄수도 없다면,진화되온 시간만큼 동굴 내부 작은 돌멩이에 위치 까지도 머리속에 저장 되어 있어야 한다는 거죠.그리고,대단한 초음파와 뛰어난 청각을 가진 박쥐도 아주 약하게나마 빛을 느낄수 있습니다.반면 골룸은 얼굴에 후레쉬 들이데도 모르고...ㅡㅡ;
암튼 제말은 골룸 같이 생긴 존재의 나약함이 나중에는 오히려 긴장감을 무너트리고 말아서 해본 말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치아도 사람과 별차이 없는것도 그렇구요.
어차피 인간을 무섭게 진화시켜 공포감을 주려 했다면, 좀더 설득력있게 그렸어야 했다는 거죠.
더욱 강하고 징그런 괴물이 나왔으면 좋았을텐데...
1 밤의불나방  
  그리고 하나더!
박쥐에 대해서 알고 본다면...
골룸의 행태는 더욱 이해할수 없다는것을 말씀드리고 싶내요.
(사람의 귀로 들을수 없는 것을 초음파라고 하고요.박쥐는 코나 입으로 발산해서 주변 지형이나 먹이감을 알아냅니다.또한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하지요.이런 능력이 있는 박쥐도 자주 다니는 통로나 익숙한 지형에서는 주변 지형을 기억하고 있어 초음파를 발산 않고도 날아 다닌 답니다.천장에 맨날 매달려 있지만,촉각도 있고요.) 골룸은 이해 못할 진화 입니다. ㅡㅡ;
1 박종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냥 즐겼으면..."

구지 따지고 그러면 괜히 재미만 반감되니

그냥 그렇구나 하면서 보면... -ㅅ-;

개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
1 밤의불나방  
  저도 같은 생각 입니다.
말 하다 보니 그런 거구요.
다만 조금 달리 했으면 완벽 할것 같은데...
라는 아쉬움에 한 말일 뿐입니다
G 고운모래  
  아이고, 왜들 그리 복잡하게 생각들을 하시는지... ㅎㅎㅎ
간단하게 생각하면 결함 골룸이 꼭 필요한 이유는 매우 충분합니다.

1. 골룸들이 제대로된 양품들이라면, 영화가 계획된 런닝 타임
    절반만에 끝나버립니다. ( 순식간에 연약한 Girl 들 전멸 )
2. 인간의 형태를 하고 인간을 먹어치우고도, 저주의 결함이 없다면
  우리 인간들이 너무 서글픕니다.

1번이 제일 중요한 이유입니다. 영화가 만약 전반부만으로 싱겁게 끝난다면 그런 영화를 볼 관객이 어디 있겠습니까 ? ㅎㅎㅎ
1 테드 번디  
  이유는 골룸이기 때문입니다..

착한 골룸일땐 여자들한테 맞아 죽습니다..
나쁜 골룸일땐 힘이 세져서 여자들을 죽입니다..

그냥 제 헛소리였슴다 -_-;
1 Cinest  
  이따위로 따지면서 에너지 낭비하면 볼 수 있는 영화가 없습니다. -_-
1 SAW2  
  TV에서 본 건데 미국에서는 맹인이 자전거와 스케이트보드를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타고 있습니다./ 이유는 입으로 먼저 가고자 하는 방향에 소리를 낸뒤 장애물이 잇는지 살피고 없으면 전진 하는 방식입니다. 꼭 박쥐와 같이 하는거죠. 맨처음에는 힘들지만 숙달되면 잘 할수 있다고 하더군요.
1 neonike  
  박쥐가 빛을 느낀다고 일명 골룸도 느껴야해야하는 이유는 없습니다.
그러니 완전퇴화로 생각할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초음파를 쓰는지 안쓰는지에 대한 언급도 없습니다.

따라서 초음파를 안써서 공각지각이 발달해야한다는건 좀 이상한 가정같군요. 또한 일명 골룸을 인간의 범주에 넣어서 이야기하셨는데(초음파같이) 현대인류의 기능을 다 가지고 있는지 불분명합니다.

만약 벽화와 불에 대해서도 놀라지 않는다는 것을 볼때 구석인이라 가정 다른 진화를 거쳤다면 얼추 억지설명도 가능할 것이지만 그런것들은 별로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디센트의 주인공들도 그 괴물의 정체가 무엇이었는지 잘 모르니까요. 그냥 즐기시면 될것 같습니다만.
1 garima  
  허허..다들 논문 쓰셔도 되겠어여~ㅋ
영화가 좀더 짜임새 있고..설득력 있으면 좋겠다는..그런 생각은 이해가
가지만..
솔직히 이런류의 영화치고..말돼는 그런 영화가 흔하겠습니까??
전 그런거 안따지고 봐서..그런지 긴장감있고 잼있던데요??
그리고..해피앤딩이 아닌것도 맘에 들고요..ㅋㅋ
1 푸른피  
  디센트에 스미골들이 나왓으면어땟을까...좀더 친숙햇을텐데 ㅡ.ㅡ
1 푸른피  
  제가 이영화를보면서 잘몬본거일수도잇는데.. 골룸들무리중
머리카락이 나잇는 놈이잇엇어요.. 보신분들잇으시나.. 아님ㅋ 어두워서
내가 잘몬본건가..
1 방랑고양이  
  별 재미두 없던데..뭘 이리 논쟁들을 하시는지..훔..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