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후기] '뷰티풀 마인드'를 보고

영화감상평

[감상후기] '뷰티풀 마인드'를 보고

1 애화몽 6 3767 1
안녕하세요? 애화몽 입니다..

여러 분들이 이 영화에 대한 평을 써주셨는데 제 의견은 조금 다릅니다...
물론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감정임을 먼저 밝히고 이야기를 진해하겠습니다..

다른 분들이 스토리를 올리셨으니까 전 생략하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제가 생각하는 부분들을
몇자 적겠습니다..

먼저 이 영화를 다 보고 나면 잔잔한 감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 감동은 어디서 오는걸까요?

현존하는 천재 수학자 존 내쉬.. 미치광이 천재 수학자 존 내쉬..
자폐 증세를 가지고 있으며, 환각을 보고 현실과 비현실 마저도 구분하지 못하는 천재??

우리가 알고 있는 천재와는 조금은 다른 천재 존 내쉬..
(원래 바보랑 천재는 종이 한장 차이라고 합니다.. 종이 두께는 많이 다르지만요 ^^;;)

그는 인간승리를 보여줍니다..
높은 산을 힘들게 올라가는 그런 인간승리가 아니라
자신의 현재 모습을 받아들이고 더 나은 모습을 위해 노력하는 인내심 강한 사람입니다..

뿐만 아니라 유리창에 복잡한 자신만의 수학공식을 적는 것은 자폐증세..
그러니까 자신만의 공간과 세상과의 선을 그은 행동을 나타냅니다..

이 영화에 재미를 느끼게 하는데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건 당연히 러셀 크로우의 연기력일 것입니다..

제가 정말 추천하는 장면은
존 내쉬가 정신병으로 정신병원에 입원에서 팔, 다리를 묶인 상태에서 약을 복용하고 사지를 떠는
정말 뛰어난 연기력을 보이는 장면입니다..

그 다음 장면은 존 내쉬가 78년 다시 대학에 복귀하고 가방을 꼭 안고 다니는 걸음걸이 입니다...
학생이 따라하고 웃는 장면도 나오지만 "레인맨"의 더스틴 호프만 못지 않은 연기였습니다..
자폐증세를 표현하는, 항상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잘 표현했습니다..

또 90년 후반에 모습이 나오는데 분장이 정말 놀랄만큼 잘 되어있었습니다..
여러 영화들이 분장이라는 부분을 소홀히 하는데 이 영화는 잔주름까지 잘 표현했으면
나이에 맞는 러셀 크로우의 연기 또한 일품이였습니다..

끝으로 노벨상 시상식 연설 중 대사 몇마디 적고 끝내겠습니다..
"모든 논리와 증명은 사랑이라는 신비스러운 공식안에 있었습니다. (아내를 바라보며)
 당신 때문에 여기까지 왔습니다. 당신은 내가 존재하는 이유고 모든 이유는 당신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6 Comments
1 이상민  
수학엔 노벨상이 없는데.....
 대신 아벨상이라는게 있긴 하지만요
 수학으로 받으게 아니겠지요 직접보고 확인해 봐야지.....
1 이영진  
오늘 저두 봤는데...연기 정말 잘하더군여...
1 최윤성  
내쉬는 94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입니다. 그럼 안녕히..
G 박경식  
제가 들은바로는....수학자들은 윤성님 말씀처럼 경제학상을 주로 받습니다. 수학으로 받은게 아니라는 말씀은 이상하네요....잘은 모르지만 경제학은 수학과 연결된듯 싶은데....
1 이상민  
경제학상은 경제학자가 받고 존이 받은 것은 이례적인 일입니다수상자 (선발시 격론이 있었음)
 그 이론이 경제이론의 밑받침이 되었기 때문이죠...
 방금 영화보고 나온 책을 참고 하였음
1 영화사랑  
영화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박사 논문때문에 까페에서 공부를 하지요. 그러다 한 무리의 여자들이 들어오고 그 중에서 퀸카인 금발머리 여자에게 친구들은 넋이 빠집니다. 그래서 서로 신청을 할려고 하는데 내쉬가 그러죠. 서로 도와서 균형을 이루면 다 좋게 해결이 된다고 그래서 금발머리 여자가 아닌 그녀의 친구들에게 접근을 하라는 거죠.  이 생각을 기반으로 박사논문을 작성했는데 겨우 27페이지였다네요.
 이게 요즘에 유명한 게임이론 중 하나입니다. 비협력에 따른 게임이론 (내쉬 균형) 이것으로 50년이나 지난후에 1994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하게 된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