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 하마구치 류스케의 '사랑' 탐색

영화감상평

<해피 아워>(2015) - 하마구치 류스케의 '사랑' 탐색

4 엑스트라 1 379 0

efedebb2fe9b5f40674fba10e7cc796e_1683301996_2021.jpg

 

만약 '사랑'이란 단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얼마나 편할까? 

왜 굳이 인간은 '사랑'이란 단를 만들서는 그것에 속박당하는 것일까? 

결혼은 또 떤가? 그 제도를 만들고 스스로 걸가서는 왜 그토록 고통과 인내를 감수해야 하는 것일까?


지금은 일약 국제적인 탑클래스 반열에 오른 감독으로 평가받고 있는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데뷔작이라고 할 수 있는 5시간짜리 영화 <해피 아워>를 감상하는 일은 결코 Happy하지 않다. 

일종의 반법이라고 할 것이다. 

30대 중반을 넘선 4명의 여성이 겪는 사랑과 결혼 관계를 거의 다큐멘터리에 가깝게 늘 뺀다

(이 영화를 만들기 전에 류스케 감독은 몇 편의 다큐멘터리만을 만들었을 뿐이다). 

이 영화를 굳이 '사랑'하려면 그 사랑에 핵심 요소로 포함된 '인내'를 기꺼이 감수해야만 한다. 

첫 부분에 등장하는 30~40분짜리 엉뚱한 워크숍 장면을 보면서는 이 영화를 계속 보아야 할지 말아야 할지를 고민해야만 했다.


그러나 5시간이라는 러닝타임을 완주하고 나면 그 시간이 결코 아깝지 않다는 고백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그 누구도 행복하지 않다. 

고등학생 손자의 '피임' 교육을 염려하는 신세대 감각의 할머니요, 

"결혼은 앞으로 가도 지옥이요, 뒤로 가도 지옥이니, 그냥 앞으로 가는 것이 낫다"는 

도사 같은 명언을 하는 시머니만큼만은 찌 보면 행복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4명의 여성 그리고 그 주변 인물들을 탐색해 들가면 들갈수록 

그들이 '사랑'이라고 명명한 감정, 그리고 그 부산물인 '결혼'으로 인해 꼬이고 꼬인 실타래에 직면하여 난감할 수밖에 없다.


느 시대, 느 민족에게도 '사랑'이라는 단는 있다. 

대부분 황홀한 아름다움이요, 지고지순한 그 무엇이요, 인간관계의 최고 정점으로 묘사된다. 

아마도 그 단가 없이는 묘사될 수 없는 인간의 떤 본질적인 감정 혹은 관계가 있기에 그 단가 만들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실은 그 단 속에는 성적인 관계(젊서는 황홀이지만 나이가 들면 주체할 수 없는 짐이 되버리는), 

독점적인 소유욕, 사회적 책임감, 그리고 집착, 미움, 인내, 지속적인 관심, 질투, 배려, 공감, 이해 등 

온갖 잡다구리한 감정들이 쓸 담기게 된다. 

그러고는 이 영화의 주인공들처럼 그 소용돌이에 휘말려 대부분 길을 잃고 만다. 

종국에는 사랑이 '공허함'으로 남겨지기 때문에 겪야 하는 사랑의 저주에 직면해야만 한다.


류스케 감독의 또 다른 영화 <아사코>는 20대의 사랑에 포함된 그 왕성한 호르몬으로 인해 달달하다. 

비록 그 왕성함으로 인해 여러 갈레의 길이 신기루처럼 보이고 

긋남으로 인해 아픔을 겪야만 하지만 찌 되었든 20대의 사랑은 그저 명쾌하다. 

<해피 아워>는 일종의 반전이다. 

마치 리처드 링클레이터 감독의 <비포 센셋>(2004)에서 <비포 미드나잇>(2013)으로의 반전만큼.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 Comments
23 zzang76  
처음 보는 영화인데...반전영화나 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