캣우먼. 할 베리 몸매가 아깝다.

영화감상평

캣우먼. 할 베리 몸매가 아깝다.

1 가륵왕검 2 2597 1
[배트맨 2]에 등장해서 펭권맨만큼이나 깊은 인상을 남겼던 캐릭터 캣우먼. 그녀는 현대여성들이 꿈꾸는 일탈과 나른한 욕망의 끝에 있는 존재다.

평범한 직장여성이었던 셀리나가 죽음에서 부활하는 과정은 남성들이 지배하는 일상성에서 탈출을 의미한다.

우울한 히어로의 자기극복기였던 팀버튼의 (배트맨)에서 셀리나에게 주어진 것 역시 일종의 정체성 확인이었다.

그녀는 남성중심의 비틀린 사회에 복수하려하지만 종국에 발견한 것은 자신의 억눌린 욕망과 남들과 구분되기 바라는 가여운 바램이다.

하지만 섹시한 복장과 채찍을 휘두르는 모습은 그녀의 내적고민이 뭐던 남성들의 성적환상에 충실한 한계 역시 가지고 있었다. 

아무튼 캣우먼은 (배트맨) 시리즈가 팀버튼의 손을 떠난 뒤 멍청한 히어로물로 전락하기 전에 남겨진 가장 매력적인 케릭터였다.

그리고 2004년. 미셀파이퍼가 분했던 [캣우먼]은 할 베리를 통해 재탄생되었다.

이번 작품은 [배트맨]과 전혀 관련없는 독립적인 배경에서 만들어졌으며 등장인물들 역시 무관하다.

다만 자신이 일하는 회사의 비리에 의해 희생당하고 부활을 한다는 기본 플롯은 동일하며 주인공의 성격 또한 비슷하다.

하지만 이번에 만들어진 (캣우먼)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배트맨 2)와는 사뭇 다르며 그다지 성공적이지도 못한 듯 하다.

먼저 드러난 단점은 이 영화가 지향하는 목적의 어정쩡함이다.

미셸 파이퍼의 캣우먼이 비인간적인 사회구조에 비판적이었다면 이번 작품은 여성들 본연의 욕망과 질투에 뿌리를 두고 있다.

캣우먼과 대치하는 로렐 해데어(샤론 스톤 분)를 통해 그러한 여성들의 원론적인 욕구를 악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기업윤리나 도덕성의 측면에서 피부를 괴사시키는 노화방지 제품은 당연히 막아야하는 문제다.

하지만 이를 가능케 하는 요인이 로렐 해데어가 메인모델에서 밀려났다는 질투에서 기인한다면 꼭 제거되어야 할 악인지 의문이 생긴다.

물론 그녀의 행동은 정당성을 얻을 수 없지만 단편적 선악구도가 아닌 영화가 내리는 정의로 보기에는 수긍하기 힘들다.

캣우먼이나 로렐 해데어 어느 쪽이든 사적인 이유가 우선이며 사회적 의무는 적게 부여되는, 일반적 히어로물도 아니고 (크로우)나 (다크맨)류의 다크히어로물도 아닌 어정쩡함이 단점인 것이다.

아울러 자신이 가진 힘을 타인을 위해 써야하는 히어로물의 흐름을 꼭 따를 필요는 없지만 그보다 연애담에 더 치중한 것 역시 단점일 듯 하다.

형사 론과의 데이트 과정이 멋있다거나 특별한 긴장감을 유발한다거나 하지 않기에 더욱 그렇다.

그리고 캣우먼의 특수능력은 고양이의 신체능력과 같으며 시각,후각,촉각의 월등한 발달과 뛰어난 균형능력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액션연출은 아니올시다다.

기껏해야 악당 부하 몇 놈 패는데 쓰이는 카포에라 비슷한 동작과 빌딩들을 건너뛰는 모습이 액션의 전부라고 할 수 있는데 그나마 후자는 CG 티가 많이 난다.

여러모로 할 베리의 잘빠진 몸매에만 눈길을 가게 하는, 스파이더맨의 공중활강에 눈이 한껏 높아졌다면 더더욱 점수를 주기 힘든 모습이다.

어쨌든 많은 자본이 투자된 최초의 여성 히어로물이랄 수 있는 영화인데 완성도에서 큰 차별점을 가지고 있지는 못한 듯 하다.

속편이 나올 것은 뻔한 일이겠지만 2편에서는 좀 (캣우먼)만의 독창적이고 신선한 액션과 스토리가 조화된 작품이 되길 기대해 본다.

* 샤론 스톤.. 아직까지 팜므파탈의 이미지와 섹시함을 유지하는게 참 대단해 보인다. 하지만 원초적 본능 2를 찍는 것은 말리고 싶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2 Comments
1 황준하  
  잘 읽었습니다.^^ 레포트쓰시듯 사회학 용어를 첨부하시다보니 짐짓 조심스럽게 읽게되네요.^^ 글 잘 쓰시는데 부러워요~~
1 이진  
  배트맨에서 캣우먼의 캐릭터가 마음에 들었는데... 기대를 하고 봤는데 결론은 실망입니다. 역활 또한 미셀파이퍼 만큼 소화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복장 디자인도 배트맨에서의 복장이 더 멋있어 보입니다. 여기서는 조금이래도 섹시하게 보일려고 그랬는지... 맨살을 강조 할려고 그랬는지는 몰라도 좀 촌스러워 보이더군요 캣우먼의 복장은 배트맨에서 복장이 헐씬 더 섹시해 보입니다. (음... 복장 이야기만 했군요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