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영화에대하여 한 자 쓰리다...

자유게시판

우리나라영화에대하여 한 자 쓰리다...

1 김누리 11 5188 4
한 3~4년전만하더라도 난 한국영화는 영화 취급을 하지 않앗다.
그리 오래 산건아니지만 영화를 무척조아해서 그동안 만이 봤다.
우리나라 영화의 큰 전환점이 된것은 [친구]라고 생각한다.
그 전의 영화들도 물론 나쁜것은 아니지만 친구로 인해
그 이후의 영화들이 주목을 받기 시작햇따. 울나라 영화를
극장에서 보던것은 연중행사 이던 네가 친구를 계기로
한국영화를 무척이나 봤다.
번지점플하다 엽기적인그녀 조폭마누라 두사부일체 달마야놀자 인정사점 볼것없다. 무사
어깨형님을 주제로한영화가 만이 나왓따. 그리고나서 인류의 영원한
테마 사랑. 난 조폭마누라를 극장서 보기는 햇지만
그리 재미잇지 안앗따. 화려한 액션 끝! 이엇다. 개그도 2류급이엇다.
때리고 욕하는 개 재미야 있지만 대중들은 우리나라 영화에 좀더 멋진걸 요구하는듯
하다. 우리나라영화에는 판타지와 추리가 부족하다고 본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추리영화하면 생각나는건 제목도 기억나지았는
배끼끼영화중3류중3류 한석규 심은하주연의 영화엿따. 그외엔비디오샵구석에서 먼지와 함께 살듯
그리고 판타지물... 퇴마록? ㅋㅋ 판지물은 진짜로 없다.
머리에 박혀잇따 이런장면은 서양이 해야 겟다.이런생각 용가리에서도
외국사람들이 주인공이다. 우리나라나 아시아계를 무대로 찍엇다면
상상이 가질않는다. 그런생각은 버려야한다.
머라는건지 머리아파서 한자 쓰려다 망했네...지성함다 여까지 읽어 주신분 감사 하고요
담에 정리점 해서 제생각을 말해볼께요..ㅡㅡ;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1 Comments
1 비트문  
제 생각엔 한국영화의 전환점은 김성수감독의 비트가 아닐지..(개인적인 생각)...그리고 자카르타 보셨나요? 그거 정말 괜찮던데....한국영화..뒤져보면 좋은거 많답니다.
1 정성윤  
결론적으로 말해서 소재의 빈곤현상이죠. 뭐 한개가 떳다 그러면 우루루~ 몰려가서 개나소나 다 한개의 소재로 뜯어먹는 국내영화판의 현실.. 왜 울나라는 '몬스터 주식회사'나 '슈렉' '메멘토'같은 정말 기발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영화가 없는것일까요.. 만약 울나라의 어떤 사람이 '얘들의 비명소리를 에너지원으로 삼아서 생활하는 몬스터의 이야기를 영화화 하면 어떨까?'라고 말한다면 그넘은 X친넘 소리 들을겁니다.. 니미.. 이게 현실입니다. 자유로운 상상력과 끝없는 창조성도없이 그저 남의 것 배끼기에만 열을 올리다가는 언젠가는 다시 헐리우드의 지배를 받게 될게 불보듯 뻔합니다. 글타고 미국껄 배끼라는 말이 아니고 울나라 정서에 맞는 다양한 소재의 발굴만이 한국영화의 성장에 있어서 가장큰 변수가 아닐까생각되어지네요
1 톰 크루즈  
단적비연수가 최초의 환타지라고 나왔었는데 신무예 판타지
1 구노  
몰라서 그렇게 쓴건 아니겠지만...저로서는 보기가 넘 힘드네요...맞춤법좀 잘 고쳐서 씁시다.....요즘 인터넷으로..어린것들이...보고 배웁니다....
1 blue  
자카르타는 그다지 좋은영화같진 않네여 전환점은 장군의 아들이 아닐런지..........화려한액션과 흥행성적두 좋잖아여 상상력 좋은 영화들도 많져 김기덕감독님의 영화들 그리고 조폭마누라 같은거 욕할필요가 없는거같아여 솔직히 영화들이 흥행을해야 투자하는 돈과 관심도 많아지지않을까여? 영화에 관심이 많아졌기때문에 생활의 발견이라든지 나쁜남자같은 작품들도 흥행을 했던거같구여 그런영화들이 사람들을 영화에 관심을가지게 한다는건 부인할수없을거같네여 그러다보면 영화를 보는 수준도 높아지겠져 프랑스처럼
1 대희  
프랑스가 영화수준이 높나여? 거의 애국수준으로 보던데.. 자존심덩어리들...^^
1 blue  
애국심이 있으니까 좋은작품도 나오겠지여^^ 좋은작품 많긴해여 좀 지루한것들이 많아서 그렇지
1 이재학  
쉬리는 한국판 '더록' 자카르타는 한국판 '와일드 씽' 비밀은 한국판 '프라이멀 피어' 우리나라는 베끼기천국
1 권경욱  
<a href=http://www.cineast.co.kr/zboard/view.php?id=free2&no=627 target=_blank>http://www.cineast.co.kr/zboard/view.php?id=free2&no=627</a>
1 정인하  
우리나라 영화가 그렇게 수준이 없다뇨.... 임권택등 실력있는 감독들 많은데 요새는 작품성있는 작품들도 많이 나오구있구
1 김누리  
  우리나라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면. 딴 나라 사람들이 우리나라도
프랑스 같은 나라라고 생각 할껄요. 애국 덩어리가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나라 영화 좋아하는걸 머라구 할수는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