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리뷰 반응에는 문제가 있다.

자유게시판

외국 리뷰 반응에는 문제가 있다.

1 babel2005 8 6045 21
디워에 대한 일부 외국의 리뷰들이 간혹 나오긴 하는데, 그  반응에는 좋은평가 그렇지 않은평이 존재할 것이다. 분명  나쁜평은 자기나라의 영화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방어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외국 반응은 분명 극 소수에 지나지  않는것으로 알고 있다.....
디워의 선전과 약진 미국에서의 흥행은 미국 개봉후에 경과를 보고 평가해야 할 일이며, 외국의 반응을 보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디워의 구성이나 CG의 화려함을 고려하면, 분명 흥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다..........

사람들중에 심감독의 디워 이야기  구조를 비하하는 분들이 있는데, 이는 헐리우드  방식의 이야기 전개방식과 그들의 방식에만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외국 리뷰 또한 전체적인 영화를 제대로 평가한 것은 아님에 틀림없다.... 우선 심감독의 이야기 전개방식은 영화 도입부에서, 결말로의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한 모든 사전장치가 완벽하게 셋팅된다는 독특한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심감독의 의도적인 이야기 전개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을 전문적으로 이야기하면, 모든 실마리를 미리 관객에게  주고나서, 그 실마리를  하나씩 풀어헤쳐 가면서, 화려한 결말에 이르게 하는 역순행적인 스토리  전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분명히 심감독의 의도적인  구성임에 틀림없다....이러한 역순행적인 스토리 전개방식은 오 헨리의 단편소설에서도 종종 등장하는 이야기 전개방식이다........따라서 이야기의 플롯과 구조는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짜여진 틀에 의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 같다.....주인공이 주체적인  해결방식을 보여주는 헐리우드 영화의 전개방식과는 차별성이 있게, 영화 초반의 복선에서 운명적인 구조와 틀을 부여함으로써, 주인공이 지속적으로 운명과 상호작용하면서, 자기자신의 존재를 인식해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결말부분에서 그 정체를 확연하게 드러내는 독특한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어떻든 미국의 흥행이 되기를 기원하며, 섣부른 판단은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이 영화에 상당한 기대를 하는 사람중에 한  사람이다....내 개인적인 생각은 미국에서 충분히 흥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아마 그렇게 될 것이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8 Comments
G 영구있다  
  babel2005너 심형래 맞지?
1 권동희  
  미국과 세계 시장을 목적으로 일부러 LA 까지 가서 찍었는데 그러면서도 이야기 전개방식은 헐리우드식 구조가 아니라고 하시는 것은 좀 아닌데요.  그리고 O 헨리는 막판에 반전의 쾌감을 남깁니다. 즉 . 초반에 신파적인 이야기 구조를 가지면서 시작하고 막판에 전혀 다른 <그러나 이해가는 > 결말로 반전을 줍니다.. 초반에 실마리를 주며 풀어나가는 것은 추리물에 가까운 형태지만 O헨리는 추리물구조와 전혀다르지요. 그리고 디워의 스토리는 일차원적입니다. 즉. 사건이 벌어지고 나서 이후까지 그냥 별 다른 일없이 결말까지 달려가죠.  그걸 O 헨리와 비교하시면 ..O 헨리가 불쌍하죠.
1 babel2005  
권동희님의 생각에는  어쩐지 좀....  글쎄요....어떻든 이야기 구조는 일차원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시공을 넘나드는 구조에서, 연관성을 처음부터 인과성있게 관계를 지어주는 방식은 어떤 면에서는 꼼꼼하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만.....일차원 구조라는 것은 흔히 말하는 고대 연극의 삼대요인 있쟎아요....다음과 같은 것입니다...
1. 모든 사건은 24시간안에 이루어진다.
2. 모든 이야기는 한 장소에서만 이루어진다. 혹은 그와 관련된 장소에만 국한한다.
3. 처음부터 마지막 까지 등장인물은 조금도 어떠한 변화 양상도 보이지  않는다. (등장인물의 내적인 면과 외적인 면을 모두 포함해서)....
위의 세가지를 만족하면...일차원 적이라고 할 수 있죠....디워 국내영화이면서도 솔직히 잘 만든 영화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우리 인정할 것은 인정합시다. 이 쟝르에서는 심감독이 국내 최고의 감독이라고 생각합니다만...
1 babel2005  
  리플 다신 분 중에 내가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 하시는 분이 있는것 같은데....저는 원자물리학을 전공하고 현재 원자력 환경기술원에서 연구에 전념하는 평범한 연구원입니다.....물론 영화를 매우 좋아하는 사람이구요....제 전공에서는 양자역학을 상당히 좋아하는 물리학도이기도 합니다......이 정도면 제 소개가 되었는지요.....양자역학이나 상대성이론에 대해서도 토론을 하고싶다면........누구든지 환영합니다...............
1 나무그늘  
  디워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고 봅니다... 이게 끝이라면 곤란하겠죠? ㅎㅎ<BR><BR>우리나라 CG 수준을 끌어올렸다는, 그것 자체만으로도 이미 만족스럽지 않나요?<BR><BR>차기에는 디워에서 발견된 스토리의 엉성함이라든가 미스 캐스팅 등을 보완해서<BR><BR>훨씬 더 수준 높은 영화가 나오기를 기대합니다...<BR><BR>저는 디워에서 나오는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지만<BR><BR>디워 자체의 평가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는...<BR><BR>P.S. : 저는 아직도 이 영화를 못 봤다는... DVD가 나와야 볼 수가 있다는... -_-;;
1 권동희  
  babel2005 //일차원적인 면은 점을 이야기합니다. 점선면... 은 아시죠. 그다음은 시간이고... 차원이 높을수록 그것을 이해하는 수준도 높아지지요. 이야기에 반전이 있던가요? 아니면 캐릭터의 변화가 연기력이나 대사로 커버되면서 왜 그런 행동을 해야 하는지 보여주나요? 디워는 그냥 단순하게 cg를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진 스토리죠. 디워에서 스토리의 전복이 주는 쾌감이 전혀 없죠. 그냥 시각적인 쾌감만 있을 뿐입니다. 그것을 o헨리와 연관시킨다면 그건 좀 아니죠.  뭐 그게 나쁜것은 아니죠. 디워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어떤 분 씀처럼 "sf는 스토리나 연기가 중요한게 아니라고 했으니까요"
1 쯧쯧쯧  
  심형래를 생각하면 세계에서 히트쳤으면 좋겠다.. 이건 분명하다..

그러나 영화나 디워를 본 우리나라 속칭 디빠넘들 생각을 하면..

쫄딱 망했으면 좋겠다..

영화 자체로 보면 분명 평가할 가치가 없다..
헐리웃에서 개봉했다면 바로 비디오로 나왔겠지..

그리고 전문 지식없이 너도나도 따라하고.. 어설픈 애국심을 남발하는 디빠넘들..

아마 디워가 세계에서 뜨면 자기들 말이 맞다며 난리 부르스를 추겠지..

진중권이 그랬다.. 지금 디워를 어설픈 애국심으로 감싸주는건..

심감독에게 득이되는게 아니라 독이 된다는걸..

디워는 분명 시작이지 끝이 아니다..

뭐든 시작이 중요하다..

지금 이런 정도의 영화에.. 이만한 이슈는..

정말 아니다.. 디워는 좋지만 디빠는 싫다..
1 babel2005  
  권동희님 너무 단순하게 생각하지 마세요...일차원은 점이라고 하셨는데, 점은 영차원입니다. 그리고 점으로 생각하는것이 사실은 함축된 10차원의 공간일수도 있습니다......물리학의 이론중에 통일장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중에 초끈이론이라는게 있습니다........예를 들어서, 우주현상을 설명하는데, 몇가지의 차원이 필요합니다....물론 물리량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그기에는 분명 현상으로는 10차원의 변수가 필요한데, 나타나는 현상은 마치 3차원 내지는 4차원의 형태로 나타나는 물리현상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보이지 않는 차원은 대부분 점과 같은 형태로 압축되어서, 좌표축상에는 나타나지 않는것들이 간혹 존재합니다........그렇게 점의 형태라고 해서 반드시 영차원인 것은 아닙니다.......다른 예로 우주의 진화와 탄생을 완벽하게 설명하고 있는 빅뱅이론은 우주는 플랑크 시간동안 점의 형태로 존재하다가 양자 퍼텐셜을 이기고, 갑자기 폭발하면서, 우주가 생겨 났습니다......그때의 점에도 사실은 영차원이나 일차원은 아니죠.......무한히 압축된 물질에너지의 덩어리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점 선 면 과 같은 단순한 논리는 그러한 이야기에 통 할 수 없습니다.........심감독의 영화에는 동양적인 철학이 심오하게 깔려 있는 영화입니다..........그렇게 무지하게 얘기하는 권동희님의 의도를 모르겠군요.....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