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하고 자막을 찾으며 의문점이 있어서 질문을 좀 드릴께요

자유게시판

가입하고 자막을 찾으며 의문점이 있어서 질문을 좀 드릴께요

8 아사 11 977 0
네 전 사실 오늘에야 가입을 하고 지금 오래된 영화들을 정리하며 자막들이 싱크가 안맞아서 자막들을 찾는중인데요
왜 같은 1080p 블루레이 파일들인데 릴에 따라서 용량의 차이가 심하게 날까요??

아쿠아맨을 예로들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게 18기가... 지금 교체한게 2.1기가 인데 말이죠

재생정보를 보면 똑같은데 단순한 더미 파일이라고 생각하기에도 과해서 어떠한 경로로 이런 용량의 차이가 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1 Comments
36 Wikid  
한문장으로 말하자면 원본 영상/음성 파일을 어떤 알고리즘으로 압축해서 결과 영상/음성 파일을 만들었는지에 따라 결과물의 크기가 확연히 달라집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보세요
https://namu.wiki/w/코덱
https://namu.wiki/w/손실%20압축%20포맷
8 아사  
네 정말 감사합니다
사실 막눈이라 뭘 봐도 상관없다였지만 이제는 정말 조금씩 의식을 하게 되어서요
주신 정보는 정말 감사히 정독 하겠습니다^^
8 아사  
아 그리고 질문과 답변 게시판을 이제야 보았습니다
오늘 이제 막 가입을 하여 아직 서투르네요
다음부터는 검색 후 질문을 드릴께요
13 제이순  
18기가와 2기가... / 엄청난 차이인데 재생정보가 똑같을 리가 없습니다
이 정도의 차이라면 압축 종류의 차이를 넘어 무언가 있다고 봐야죠

단순히 해상도나 프레임만 비교하지 마시고
영상의 초당 "비트레이트" 수치를 비교해 보세요
이게 용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니까요

그리고 오디오 관련 요소들도 은근히 용량에 영향력이 큽니다
8 아사  
오오 그렇군요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8 Minor  
저도 막눈 막귀라 잘 구분은 가지 않습니다만 2기가 파일과 10기가 파일 정도 차이가 나야 레터박스와 화질 구분이 조금정도는 되더군요. 다만 모니터가 32인치를 넘어갔을때 한정이기도 하고요

사실 일반적으로는 2~4기가 파일만 되어도 모르고 잘들 보더라고요
8 아사  
저도 명작이라 생각지 않고 소장만하자는 생각이들면 이젠 저용량으로 가려구요 ㅎㅎ
8 Minor  
4기가정도로 권해드립니다, 8기가는 좀 묵직해요
사실 H265 4기가면 6~7기가에 맞먹는 파일들이니 마냥 저화질이라고도 할 수 없지요
다만 아직 저사양 컴퓨터에선 잘 돌아가나 의문입니다. 제 컴이야 상관없다지만...
8 아사  
아 정말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그정도로 모으고 있습니다^^
그런데 죄하로 한다고 하여도 마지노선으로라면 어느정도가 좋을까요??
8 Minor  
저용량 기준이면 H264 4기가정도가 무난하지 싶습니다
근데 요새 웹립을 제외하면 그런 릴이 잘 안보이는거같습니다
H265 재생에 문제없는 환경이면 H265 3~4기가 정도도 괜찮겠죠 (호환성을 좀 탄다고는 합니다)

Rarbg 릴이 h264 3기가 언더로 코딩을 많이 하는데 이건 좀 낮지 않나 생각이 되네요
8 아사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