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 규칙에 대하여~~(1)

자유게시판

탁구 규칙에 대하여~~(1)

VfIR7p0.gif

제가 쓴 한줄톡톡에 본시리즈님이 탁구 동영상으로 질문하신 내용이 있는데 대부분 잘 못 알고 계시는 거 같아 여기 옮겨 게시합니다.

 

네트는 탁구대 위에 쳐져 있지만 상대방 코트에 넘기는 건 네트가 기준이 아닙니다. 
탁구의 기본은 내 코트에 원바운드된 후의 공을 쳐서 상대방 코트에 맞는겁니다. 즉 테니스같이 발리는 없죠. 
위 영상보시면 상대방이 친 공이 네트를 맞고 이쪽 코트에 원바운드된 후 상대방 코트에 다시 맞았으므로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즉 네트위로 넘어 가는 게 가장 일반적이긴 하지만 네트를 우회해서 가도 상관없고, 꼭 공이 위에서 아래로 치라는 법 없기 때문에 
저 랠리는 유효합니다. 과장해서 얘기하자면(아주 가끔 일어납니다) 상대방이 친공이 네트를 넘어와서 후퇴회전이 걸려 치려고 하는데 
다시 넘어 가는 경우 그걸 치기 위해서 상대방 코트까지 쫓아가서 쳐도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응용 예제로 자기가 서비스하거나 친 공이 상대방 코트에 맞고 상대방이 치기 전에 후퇴회전이 걸려 그냥 자기 코트로 넘어오는 경우에는?

 

당연히 치지 못한 상대방의 실점입니다. 이 경우 서비스나 칠 경우 본인의 코트에 정상적으로 원바운드되어 상대방 코트로 넘어 간 후에

상대방의 코트에 원바운드된 후에 다시 역회전이 걸려 상대방이 치기전에 다시 넘어 오는 거를 말합니다.

이때 이 쪽에선 정상적으로 공을 원바운드 시킨 후 공을 쳐서 상대방 코트에 원바운드 되었기 때문에 상대방은 그 공을 쳐서 다시 넘겨야만 합니다.

하지만 자기 코트로 넘어와서 원바운된 공을 치지 못하고 다시 상대방 코트로 넘어 갔기 때문에 치지못한 상대방의 당연한 실점입니다.

 

보통 짧은 공이 역회전이 걸려서 그런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먼저 몸이 들어가면서 쳐야만 처리가 가능합니다. 아주 가끔 공이 뜨는 경우에는

시간만 된다면 탁구대 옆쪽으로 상대방 코트까지 달려가서 다시 상대방 코트로 넘어간 공이 공중에 떠있을 때 쳐서 상대방 코트에 넣으면 득점이 가능합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2 Comments
29 써니04™  
즉 네트를 안 넘어도 영상에서와 같이 상대방의 코트에만 닿으면 되는 거군요.
설명 감사드립니다.
16 핑팡치우  
네 맞습니다~~
42 심야시인  
말이 너무 길어서 한번에 잘 이해가 안되네요..ㅎㅎ
몇 단어씩 요약해주심 좋겠는데요..ㅎㅎ
1. 서비스 할때...
2. 리시버 할때...
16 핑팡치우  
간단히 말하면 동영상 저건 빨간옷이 실점입니다.
탁구는 원바운드된 후 쳐서 상대방 코트에 넘기면 된다

더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42 심야시인  
헐...스포츠 규칙중 공크기 만큼이나 가장 간단한거 같네요.
41 나무꾼선배  
배구는 깃대 기준이 있던데요. 다른가 보네요.
16 핑팡치우  
네 탁구는 네트가 있기는 하지만 반드시 그리로 넘길 필요는 없습니다. 즉 우회가 가능하고 위,아래,옆으라도 이 쪽 코트 원바운드 다음 저 쪽 코트 원바운드
이것만 지키면 됩니다.
41 나무꾼선배  
그리고요. 그 서브의 기준이 손에서 얼마정도 띄워서 치는거 아닌가요?
동네 탁구 치다보면 짜증나는 인간들이 탁구공을 탁구채에 던져서 쎄게 때리고 그렇게 하는게 맞다고 우기니...
16 핑팡치우  
규정상으로는 손바닥을 완전히 편채로 그 위에 공을 놓고 16센티이상 수직으로 띠워야 합니다.
동네에서는 규정을 따를 것이냐 안따라도 봐줄것이냐는 알아서 판단하셔야 합니다.
너무 규정만 얘기하다보면 괜히 분위기 안좋아지고 쪼잔한 사람으로 몰릴 수도 있습니다.
41 나무꾼선배  
16센티 던져서 치는 게 맞는 거군요.
S 마카  
그렇군요~저두 오늘 알았네요~배우고 갑니다.
16 핑팡치우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