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 분류와 검색 조건에 대한 제안 및 의견

자유게시판

형태 분류와 검색 조건에 대한 제안 및 의견

1 고운모래 10 6241 0

 


아래와 같이 한번 디자인해 보았습니다.


 



· 자막형태 :


신규제작 수정자막 Sub변환 기타  · 제작년도 : 

2007년
2006년
2005년
2004년
2003년
2002년
2001년
2000년
1999년
1998년
1997년
1996년
1995년
1994년
1993년
1992년
1991년
1990년
1989년
1988년
1987년
1986년
1985년
1984년
1983년
1982년
1981년
1980년
1979년
1978년
1977년
1976년
1975년
1974년
1973년
1972년
1971년
1970년
1969년
1968년
1967년
1966년
1965년
1964년
1963년
1962년
1961년
1960년
1959년
1958년
1957년
1956년
1955년
1954년
1953년
1952년
1951년
1950년
1949년
1948년
1947년
1946년
1945년
1944년
1943년
1942년
1941년
1940년
1939년
1938년
1937년
1936년
1935년
1934년
1933년
1932년
1931년
1930년
1929년
1928년
1927년
1926년
1925년
1924년
1923년
1922년
1921년
1920년
1919년
1918년
1917년
1916년
1915년
1914년
1913년
1912년
1911년
1910년
1909년
1908년
1907년
1906년
1905년
1904년
1903년
1902년
1901년

 

* 신규제작 - 직접 제작이건 타인 제작이건 번역물로서, 본 자료실에 최초 신작 게시되는 자막


   수정자막 - 번역이나 싱크에서 20% 이상이 수작업으로 전면 재작업이 된 자막 (양심에 맡깁니다.^^)


    Sub변환 - DVD로 부터 추출된 섭자막이 smi로 변환된 자막


    기타 - 네티즌 제작 영문, sub자막, 교정자막 (자막 전체에 걸친 맞춤법 수정, 두줄나누기, 색깔넣기 등의 서비스)


    미입력 - 위의 4가지 분류 외의 모든 자막 (예: 릴 맞춤 싱크 수정 후 재배포 자막)


 


 


--------------------------------------------------------------------------------------------------------------


 


필드 제목이 너무 길면 안되니까, 위와 같이 짧게 하고, 대신 발생될 아이콘 색깔과 같은 색깔로 필드 바로 밑에 당구 표시하여 위와 같이 주석을 답니다. 멕사이버님이 지적하셨듯이, 그에 따라 발생되는 아이콘 바탕색과 내용도 같이 통일합니다.


 


신규, 수정, Sub변환, 기타 이렇게요.  (물론, 미입력은 no icon)


 


--------------------------------------------------------------------------------------------------------------


 


 


추가사리:


 


1. 연도 검색도 되면 좋겠어요.


2. 맥사이버님 의견대로, 릴 명과 CD 장수 필드는 빼도 좋을 듯 합니다. (어차피 입력들을 잘 안하시는 것 같고요.) 


3. 부하와 편리성을 따지자면, 다단계 형태 분류 검색이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4. 리플 달려도, 적어도 필드는 수정 가능하게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0 Comments
S MacCyber  
좋은 것 같습니다. 문제는 설명이 달려있다면 (물론 페이지 구성상 설명을
넣으면 되겠죠. ) 구분을 하겠지만 그냥 선택 메뉴만 있다면 다소 혼란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설명이 없다면 ;

신규는 번역을 뜻하지만 외국에서 srt를 가져와 처음 올리면서 신규라고
생각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또는 시네스트에 최초로 올리는 어떤 자막이라도)
어떤 식으로든 '한글로 번역한 최초 자막'이라는 의미가 확실한 말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수정은 교정과 구별을 하지 않으면 (제작자분들이 가장 민감하게 생각하셨던
부분이라) 릴변환 부터 맞춤법 교정 자막들을 다 수정으로 체크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입니다. 설명을 단다면 수정(재번역)은 신규제작으로(사실상 새로 만든
자막이긴 하니까요.) 분류된다는 쪽으로 하면 어떨까합니다.
그러면 조금 고친 걸 가지고 '신규제작'으로 올릴 만큼 대담한 분들(?)은
거의 없는 효과도 있지 않을까요? ^^;

SUB변환이야 혼동은 없겠지만 한번 smi로 변환한 최초 자막과 그 자막이
돌고돌면서 다른 릴로 바뀌었을 때에도 여전히 SUB 변환 자막이 되는 것이라는
원칙이 있다면 문제는 없겠죠.

그런데 릴변환이 없으면 (사실 자료실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최초 이후의 자막들을
포함하겠죠. ) 릴변환해서 올리면서 '수정' 카테고리에 넣게될 공산이 커 보입니다.
설명으로 지적해주지 않는다면 '기타'에 넣지는 않을테니까요. 미입력이 자동이긴
한데 사람들은 체크하게 되어있으면 뭐 하나라도 고르려는 심리가 작용할 것
같아서요. ^^;

이미 필드추가가 불가능하다면 4개의 이름에 대해 잘 생각해봐야 할 것 같고
가능하다면 '릴변환' 정도를 추가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S MacCyber  
게시글 수정 안되는 건 아마 관리자가 각종 권한을 설정하는 방식일텐데
일일이 다 보시지를 못해서 발견되는대로 수정해가야 할 것 같습니다. ^^
지금 쪽지보내기나 로긴 안 하면 댓글 안보이는 것 등 기존의 시네스트
운영 원칙으로 조정해야할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1 고운모래  
제 생각에는... 수정은 수정이고 재번역은 재번역이라고 보는데요. "또다른 번역"이나 "재번역"은 그냥 신규죠. 수정의 의미가 없습니다. 같은 작품 가지고도, 여러 번역물이 나올 수도 있으니까요. 시점상, 처음 나왔다 하여 꼭 그 다음 번역물은 수정이라 함은 옳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런 예는 매우 많습니다.)
1 고운모래  
수정과 교정의 차이에 대해서는 위 주석에 충분히 설명이 되어있으니 걱정할 필요 없다 봅니다.
1 고운모래  
릴변환에 대한 걱정이 크다면, "기타" --> "릴변환 및 기타" 으로 바꾸고

릴변환 및 기타 - 릴 맞춤 싱크 수정 후 재배포 자막, 네티즌 제작 영문, sub자막, 교정자막 (자막 전체에 걸친 맞춤법 수정, 두줄나누기, 색깔넣기 등의 서비스) 등등

대신, 그 분류는 "no icon" 처리합니다. (아이콘 너무 많으면 정신없어요. 빨리 찾기도 쉽지 않고, 눈에도 띄지도 않고)
S MacCyber  
설명만 충분하다면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이제 재회님의 판단에 따라
수정을 해주시거나 혹시 문제가 있다면 다시 알려 주세요.
1 고운모래  
제 욕심대로라면 제일 좋은 것은, 맥사이버님 말씀대로 민감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수정자막"은 아예 없애고 "신규, 섭변환, 릴맞춤 및 기타" 이렇게 딱 3가지입니다. 그리고 주석은

* 신규제작 - 직접 제작이건 타인 제작이건 한글 번역물로서, 본 자료실에 최초 신작 게시되는 자막
  Sub변환 - DVD로부터 추출된 섭자막이 smi로 변환된 자막
  릴맞춤 및 기타 - 릴 맞춤 싱크 수정 후 재배포 자막, 네티즌 제작 영문, sub자막, 수정자막, 교정자막 (자막 전체에 걸친 맞춤법 수정, 두줄나누기, 색깔넣기 등의 서비스) 등등

그리고 아이콘은 신규제작과 섭변환에만 둡니다.

그럼 정말 깔끔하고 간편하죠.
S MacCyber  
맞습니다. 수정의 의미가 너무 포괄적이라 이전에 제목에 [수정] 쓰는 것으로도
문제가 많았는데 공식적인 분류(?)를 '수정자막'으로 해놓으면 논란의 여지가
더 있을 것 같습니다. 재회님 3분류로 하되 설명이 충분히 되도록 신경 좀
써주시면 되겠습니다. ^^
M 再會  
섭자막의 범위를 어디까지 잡아야 하나요...

srt 자막, sub 원본 포함한 상태인가요 아님

변환이 완료된 상태를 말하는 건가요..
1 고운모래  
주석에 쓰여진대로... 말 그대로

DVD로부터 추출된 섭자막이 smi로 변환된 자막

(물론 smi로 완료된 상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