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생들이 보면 어이없을 사진

자유게시판

한국학생들이 보면 어이없을 사진

1 ┌─★─┘ 6 5663 0

20080301_476933549.jpg


20080301_1580806606.jpg


20080301_1026843373.jpg


 


네덜란드 교육부가 하루 8시간 1년 130일의무 출석에

1040시간을 무조건 학교에서 있어야 한다고 개정했는데

네덜란드 고딩들이 너무많다고 시위한답니다.



8시부터라고 치면 4시까지 학교에있는게

싫다고 시위하는거군요........

하지만 옆나라들을 보면 이해가됩니다.

(독일-1시 30분 하교/오스트리아 12시 30분하교)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6 Comments
10 사라만두  
그러면서도 상대적 효율이 떨어지지 않는걸 보면
우리네 교육계가 안타까울 뿐이네요.
지금의 아이들도..
1 WhiteWolf  
우리네 교육계는 교육계가 아니고 훈련소이자 사육장이죠.
혹시 닭공장 보신적있으세요?
층수별로 닭들을 꽉꽉눌러담아 머리만 빼꼼 내보내게 해서 모이를 먹게하죠.

왜 고등학생을 보면 그게떠오를까...

저 학생들이 '정상'이라 봅니다.
AM7시~PM10시까지 학교에 다니는 '한국 고등학생'은 ...

하하...  노동법에도 하루 15시간씩 일을 못하게 되어있는데...
영어 단어 중에서 work란 단어가 있죠.
일하다라는 뜻이지만 공부하다라는 뜻도 있습니다.
사람들은 17~19살 청춘때 15시간씩 work하는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데
차라리 물은 위로 흐르고 달이 태양보다 더 밝은것이 더 옳다 생각합니다.
뭐, 싫으면 그냥 집에 가면 되지 않겠느냐 말한다면 아마 10대 청소년이 바라보는 교편의 공포를 모르고 하는 소리겠죠...
1 나젠마  
배가 불러 터졌음..
1 마이아  
얼마전에 유럽의 학생들에 관한 다큐를 보니 저게 이해가 가긴 가네요...
우리나라 처럼 닭장에 모아놓고 대학가기 위한 학원같은 교육시스템이 아니죠...

저애들 수업끝나고 노는애들이 아니죠... 많은 학생들이 중딩정도의 나이에도 벌써
자신의 직업관들을 가지고 있더군요... 어느나라였는지 기억이 안나지만 지역에
각 업체들이 전문 장비들을 가지고 한자리에 모여서 미래의 기술자를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들이 정말 잘 갖추어지고 중학생정도의 나이에 벌써 그쪽에서 자신이
갈방향을 정하고 미리 공부를 시작합니다...

자신의 취미활동도 하고 돈을 벌기도 하고 미래의 직업에 대한 공부와 투자도 하고
말그대로 대학가서 학문할 사람은 알아서 공부를 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쓸대없는 시간 낭비 없이 다른쪽에 시간을 투자하란 소리죠...

우리처럼 무조건 닭장에 넣고 대학만을 가기 위한 공부나 하니 효율이 없죠...
대학질도 떠어질수 밖에 없고... 그렇다고 고등학교나 중학교때 일찍 마친다고 해도
그시간을 활용할수 있는 시스템도 전혀 갖추어지지도 않았고...
공부에 취미가 있던 없던 예전 지하철 푸쉬맨처럼 꾸역꾸역 무조건 밀어 넣기식 교육이니

배부른 소리라기 보다 저친구들은 자신의 생존에 관한 문제일듯 합니다..
S MacCyber  
흠... 너무들 진지하게 분석하시는 분위기군요... ㅎ
이 사진을 보면서 그들의 실상을 알자거나 비판하자는 것이 아니고, 우리의 느낌이나
우리 현실에 대한 상대적인 자괴감의 표현으로 '배가 불렀다'라고 하는 것은 어찌보면
가장 간단하면서 정확한 언급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사진이 국내에 배포된 이유도 바로 그런 것일테구요.
1 고운모래  
저 위의 사진과는 별도로 리플들에서 느끼는 한국 교육의 문제점:

1. 애들이 자기의 진로와 미래에 대하여 생각할 틈을 안 줌.

2. 초중고 시절에 가장 중요한 것은, 이것 저것 다양하게 경험해보아 자기의 장점과 적성을 찾아야 하는 탐색 과정임. 그래야 대학에 갈지 말지도 결정하고 일찌감치 전문가의 길을 갈 수가 있음. 크게 지식이 필요하지 않은 일이면 대학 4년은 어찌보면 시간 낭비임. 따라서 선진국에서는 주입식 교육보다는 exploration activity가 무척이나 중요함. 남들 입시 공부만 할 때 13살에 사업을 시작해 지금은 십대 이십대 CEO가 많이 나오는 이유도 그 때문임. 지금과 같은 교육 시스템으로는 창의적 발전을 기대하기 힘듬. 가장 창의성과 상상력이 풍부하고 재능을 무궁무진하게 살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가진 10대에 모두가 예외없이 입시 공부에만 매달리는 풍토를 만드니, 사실상 엄청난 인재와 국력 낭비임.

3. ROI (투자 대비 실질 효과, 또는 효율) 가 낮음. 매우 아까움.


이상은 한국과 외국 양쪽에서 초중고 시절을 모두 공부해보고 말해본 고3의 이야기를 참조해 정리한 것이니, 어느 정도 신빙성이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