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T

영화이야기

<코렐리의 만돌린> OST

39_p1s.jpg
음악 : Stephen Warbeck

Music 01 : Pelagia's Song
Music 02 : Reunion

▒▒▒ 만돌린 악기소개 ▒▒▒▒▒▒▒▒▒▒▒▒▒▒▒▒▒▒▒▒

‘작은 만돌라’라는 뜻으로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옛 악기 만돌라를
본떠 만든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오늘날 쓰이고 있는 것은
17세기 이탈리아에서 개발된 나폴리식과 밀라노식 중 전자를
19세기 후반에 개량한 것이다.
구조는 무화과를 반으로 짜갠 것 같은 불룩한 통이 특징이며,
울림판은 완전히 평평하지 않고 받침대에서 굽은 두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졌다. 반음정으로 금속 프렛이 나열된 지판(指板)이 네크에서
울림구멍까지 걸쳐 있고 네크 위쪽에는 줄감개가 있다.
현은 8개의 스틸현을 사용하는데, 복현(複絃)으로 되어 있으므로
음고적(音高的)으로는 4현이다. 조현은 미(제1현) ·라(제2현)
레(제3현) ·솔(제4현)로 되었고, 음역은 바이올린과 같으며
운지법도 비슷하다.
56038.jpg
합주용 저음악기로서는 만돌라 ·만돌첼로 ·만돌로네가 있다.
연주법은 의자에 앉아 다리를 포개거나 발받침을 사용하여
넓적다리에 악기를 얹어 안정시킨다. 발현은 픽을 사용하고
내리침과 올려침의 두 가지 주법을 쓴다.
그 중에서도 이 두 가지 주법을 연속시키는 트레몰로주법은
가장 효과적인 것이며 하모닉스주법도 있다.
음악사에서 황금시대라고 불리는 시기는 없었으나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 베르디의 《오텔로》《말러의제7교향곡》
등의 관현악 중에 산발적으로 쓰이고 있다. - 두산 엔싸이버 발췌 -

▒▒▒▒▒▒▒▒▒▒▒▒▒▒▒▒▒▒▒▒▒▒▒▒▒▒▒▒▒▒▒

왠 만돌린 소개냐구요?..
영화제목이 말해주듯이 영화속에 흐르는 음악들이 대체로
만돌린 악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돌린 특유의 트레몰로 주법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

이번 배역을 위하여 니콜라스 케이지는 만돌린 연주를
직접 배워 몇몇곡을 연주할 수 있을 정도로 작품의 열정을
보여줬다고 합니다..
OST는 총 23곡으로 구성되어 있군요..
전체적인 멜로디가 매우 아름답습니다.. 기타현을 좋아하시는 분들께
올가을 좋은 선물이 될 듯 하네요..
* 再會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4-27 10:47)
[이 게시물은 再會님에 의해 2009-04-30 15:29:56 추천 O.S.T에서 이동 됨]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2 Comments
1 묘연  
앗....한발 늦었당...^^;;...영화평이랑 상관없이 ..아름다운 사운드트랙이더군요..
1 김철수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방법 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