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틀맨 리그 ' '

영화이야기

젠틀맨 리그 ' '

1 김아람 18 5376 1
쩝;캠으로 봤지만 오늘 영화관 가서 다시 봤네요..
솔직히 다시 볼만큼 재밌어서 본 건 아니고
친구들때문에.....억지로' ';
어쨌든 어디냐면......초중반(?)쯤에 노틸러스 호에 올라 탄 후에
태양전지 충전하러 수면위로 올라와 있던 때 있잖아요.....
그때 미나가 동그란거에서 돌출부쪽에 서있는데
도리안이 그쪽으로 다가가서 말 건네죠......그러자
미나는 잠수함속으로 들어가고 톰이 문 열어주는 씬 있잖아요.....
그때 미나 들어가고 도리안이 미나서있던 곳 옆에있는
의자 위의 과일 하나 집어먹으면서 들어가는데.....
좀 있다가 네모가 와서 다 충전됐다면서 들어가자고 한다음에
잠수 장면을 보여주는데.....그때 위에서 보여주는 씬에선
의자위의 과일바구니가 없네요 ' '
뭐...이건 좀 여지가 있는데......처음에 알란 쿼터메인 처단하려고
처단자들 왔을때.....건물 안에서 맨 마지막애를
코뿔소(?)뿔에 박아 죽이는데.....
그 처단자들...방탄복 입고있었죠....근데
등에 뿔에 박혀 죽네요.....
방탄복이 앞면만 있을리는 없을듯하고(물론 이렇게 우기면 할말없죠)
그렇다고 알란의 미는힘이 총알보다 셀리도 없고..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8 Comments
1 블루  
  총알보다 세요
1 김아람  
  - -;;
1 김기원  
  총알 하곤 다르죠 총알은 순간적으로 팅이고;; 사람이 밀때는 쭉 가기 때문에 밀려 들어가죠 푹 체중까지 실려 있기때문에
1 김아람  
  속도가 빠를수록 충격량이 클껄요' '?;그리고 힘을 주는 면이 죽을수록 가해지는 힘이 커지고..(주사바늘과 손으로 피부를 눌러보셈' ';어떤게 잘들어가는지;)..이렇게 말했지만...어떻게 될지는..;하지만 이 댓글에서 말한 말은 다 맞을듯' ';
1 윤주영  
  F=ma 총알은 속도가 빠르지만 질량이 작죠...만약 총알을 조금 길게하고 거기에 방탄복을 입은 사람을 밀면 찔리지 않을까요
1 김회득  
  제가알기론 총알은 회전력으로 그 파괴력을 낼수 있는것으로 압니다..그래서 흔히들 들어간구멍보다 나오는 구멍이 크다고 하죠...
1 김회득  
  근데 방탄복은 이런 총알에 원리를 이용해서 만든걸로 압니다.. 방탄복안에는 수많은 실같은것들이 있죠..아마 무엇으로 되있는지는 저두 잘 모르지만 말입니다 ㅡㅡㅋ
1 김회득  
  총알은 표적에 맞는 순간 날라온 스피드에 의하기보단 그 회전력으로 표적을 관통할수 있게되었답니다.
1 김회득  
  이렇게 회전하면서 돌아 들어오는 총알은 방탄복 안에 많은 실들에 의해 감기면서 상처를 극소화 시키죠.. 그래서 방탄복을 입어도 죽지 않을수 있는겁니다... 하지만 이런경우는 그냥 밀어서 꽃힌경우니까.. 방탄복을 그냥 뚫어버리게되죠 ㅎㅎ 
1 김회득  
  아마.. 자동차에 안전벨트와 같은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갑자기 당기게되면 마찰력이 극대화되서 몸을 잡아주는걸.. 서서히 당기면.. 주욱 늘어나죠 ㅎㅎㅎ    머 쓸데 없는 예길수도 있지만.. ^^;; 그럼 행복하세요..
1 김아람  
  저기요' ';실이라면 모르겠지만...;영화 중에서는 철판으로 나오거든요' '철판으로 앞뒤를 감싼 방탄복(말이 방탄복이지 갑옷이라는' ';)..뭐 이렇게 말하긴 했는데..모르겠네요' ';어떻게 될지
1 박지훈  
  그양 영화인데 넘 고민하신다,,,^<^;;
1 박용석  
  제가 봤을때는 앞에만 철판을 된것으로 봤거든요. 잘못 본건가요. 그래서 알런이 밀어서 뿔에 등이 찔러서 죽은걸로 봤는데....
1 갓파더  
  옥의티 맞는 것 같네요. 리쎌 웨폰에서 철갑탄 시험한다고 방탄복 뚫어보잖습니까? 그것 보니 철 조각을 박아서 만드는 것 같이 보이더군요. 젠틀맨 리그 보면서 참 어이가 없는게 탱크보고도 놀라는 시대에 태양열 잠수함이라니 전설속에서 튀어나온 네모선장인가 ㅋㅋㅋ
1 김지성  
  탄자의 회전과 충격/관통은 아무런 상관도 없습니다....!!  탄자의 회전은 각운동량, 원운동량 보존법칙에 의해 탄도를 안정시키기 위한 것일 뿐입니다. 강선에 의해 직선운동 에너지를 회전운동 에너지로 뺏기기 때문에 오히려 더 위력이 약해질수밖에는 없는 겁니다.  방탄복에는 케블러같이 엄청난 인장강도를 가진 합성섬유를 사용하고, 총탄의 운동에너지가 섬유가 버틸수 있는 이상이거나, 막을 수 있더라도 충격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세라믹 판을 집어넣습니다....
1 김지성  
  그리고, 총알을 막을 수 있더라도 소의 뿔을 막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케블러 헬멧은 권총탄정도(500-800J)정도의 운동에너지를 지닌 탄자를 막아낼수 있지만, 못을 막으면 못이 박힙니다. 섬유이기때문에 순간적인 에너지만을 견뎌낼수 있을 뿐이죠. 방탄섬유와 방검섬유는 완전히 다릅니다.
1 김지성  
  총상에서 인입구보다 사출구가 더 큰 이유는, 탄자가 깨지기 때문입니다. 탄자는 전면부의 구리나 크롬 코팅을 제외하면 모두가 납입니다. 비중이 높아서 장거리에서 운동에너지가 잘 보존될뿐 아니라, 물러서 잘 깨지기 때문에 사용됩니다.
1 김연수  
  특수탄알-파라베럼 탄의 경우입니다.  탄두가 쪼개지는 탄알입니다. -
혹은 소설 재칼에 나왔던 터지는 탄알의 경우에 가능한 얘기입니다. - 탄두의 외피 안에 충진물로 납 대신 수은이나 글리세린을 채운 탄알 -
.
파라베럼 탄과 폭발 탄두는 살상력이 너무 커서 사용 금지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관통상에서 들어간 구멍보다 나온 구멍쪽이 상처가 크다는 것은 탄자의 분열로 구멍이 커진다는.. 보다는 역시 회전력이 걸린 총알이 근육이나 뼈를 뜷으면서 회전력에 간섭을 해서 회전반경이 커진다는 쪽이 맞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