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빗 핀처 감독의 에 대한 조너선 로젠봄 평론가의 단평

영화이야기

데이빗 핀처 감독의 <맹크>에 대한 조너선 로젠봄 평론가의 단평

13 소서러 17 1648 0

735b7b682b298cd32baa4d5ef549c852_1611145587_0745.JPG



"허먼 맹키위츠는 의심할 여지 없이 크레딧 논란의 피해자이지만 문제의 도둑은  

오손 웰즈가 아니라 데이빗 핀처 감독이며 그는 영면하신 아버지 잭의 시나리오를
여봐란듯이 휘두르고 전달하기 식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 시나리오의 가장 좋은 대사들은 모두 허먼에게서 나온 것이지만
핀처 시니어는 단신으로 각본 크레딧을 할당받았다.
그렇게 도원경에서 (글쓰기가 아닌) 자본이 순환되고는 했으니....
하지만 우리는 맹크가 그 한창의 할리우드가 자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지
우연하게도 (가령 바보 같이 루이스 B. 메이어 (핀처도 마찬가지) 모든 사기를 받아들인) 우리 대중을
어떻게 생각해왔는지를 믿을 필요가 있다.
나는 영화에서 줄곧 행해지는 (잭과 허먼의) 재치있는 대사들의 계속됨에 빨리 지치고 말았다.
"누군가 단 한 번만이라도 반만이라도 평범하게 대사를 칠 수는 없는 건가?
영화를 보는 우리가 맛볼 수 있는 향신료는 비꼬는 버릇, 냉소주의 밖에 없는 건가?"
마신 백포도주를 물고기랑 같이 토해낸 후*에
내가 거의 유일하게 곱씹어볼 수 있었던 건 맹크의 쓰라린 끝이다.
잭 핀처가 결국에 작품의 동력을 움직이게 하는 절정의 대사 말이다.
마침내, 최종적으로, 쓰디쓴 막바지에서....

세상 저편으로 떠난 저 고인께 오스카 상을 수여하라."

* 게리 올드만이 장광설을 펼치다가 오바이트한 후 친 대사. 
<아스팔트 정글><검찰 측 증인><레드 갭의 러글스>아서 혼블로 주니어가 자신의 아내였던
머나 로이와 함께 서로의 이혼을 축하하고자 디너 파티를 열었는데 거기 참석했던
허먼이 과음했다가 테이블에 구토한 후 아서한테 "걱정하지 마"라고 한 후 저렇게 능글맞게 말했다고 한다.

735b7b682b298cd32baa4d5ef549c852_1611145921_931.jpg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