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공습, 예정된 죽음

영화감상평

보이지 않는 공습, 예정된 죽음 <Waterloo Bridge, 1931>

13 리시츠키 2 538 1

379ae574fb277a9525c3cb493ada1c74_1645879694_5664.jpg379ae574fb277a9525c3cb493ada1c74_1645879694_6691.jpg379ae574fb277a9525c3cb493ada1c74_1645879694_7682.jpg 





 




제임스 웨일, 감독



영화는 계급의 극적인 대비로서 시작한다. 짧은 스타덤 이후, 2년 뒤 바로, 거리의 매춘부로 전락한 마이라가 손님을 물색하려

극장 앞에서 두리번거리는 동안, 여왕은 귀족들의 경호를 받으며 극장 안으로 프레임-아웃 한다. 롱샷의 중앙에 있던 마이라는,

여왕이 프레임-인하자 카메라는 트랙-인하여 여왕을 프레임 가운데 놓고 마이라를 프레임 구석에 놓는다. 커팅없이 롱테이크로

프레이밍되는 이 숏을 통해, 마이라는 자신의 직장이었던 극장으로부터 배제되고, 프레임의 중앙으로부터도 배제된다. 이로서

빈자와 여왕의 계급은 극명하게 교차된다. 말하자면 본편의 메인 서사로서의 주제는 전쟁으로 인한 비극적 사랑이겠지만,

그 저류로서의 서브 텍스트는 계급을 위한 전쟁과 그 후과가 메인서사를 관통하는 주제로까지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영화는 매 씬 마다, 전쟁의 원인에 대한 비판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전쟁을 원한 것은, 마이라도 일반 시민들도 아니었다. 바로

여왕 및 지배계급의 이해관계를 위해서였다. 여왕이 극장으로 안전하게 입장하고, 남자를 후리기 위해 친구와 거리를 걷던

마이라는 이렇게 말한다 "아름다운 밤이지? ~중략~ 차라리 나한테 폭탄이 떨어졌으면 좋겠어" 농담같은 그녀의 말은 결말에서

실제 그렇게 수행된다. 전쟁으로 인한 물가상승과 집세, 일자리, 경제난은 그녀를 매춘부로 내몰았고, 지배계급 로이와의 순진한

사랑이 확인되는 순간, 그녀에게 폭탄이 떨어지는 것이다. 클라이막스이자 결말의 쇼트에서, 마이라와 로이의 마지막 키스 이후,

마치 기적처럼, 카메라는 그녀의 시선이 닿을 수 없는 가장 높은 곳의 앵글에서 폭탄을 떨어뜨린다. 폭탄은 말하자면 폭탄 그

자체가 아니라, 착취와 가난에 다름아니며 그녀는 그것에 의해 죽게되는 것이다.

공습 중임에도 아랑곧 않고 감자를 줍던 노파(Hag)는 "하늘엔 얼간이 같은 비행선에, 조명은 난리고...... 내 감자는 어딨수?"라며

항변하며, 로이와 함께 택시를 타고 그의 집을 향하는 널직한 도로 위에서 마이라는 "저기 버킹검 궁전이 있네요. 죠지 왕이

티 파티를 하나봐요"라고 말한다. 클라이막스에서, 로이와 헤어지기로 결심하고 생계를 위해 다시 워털루 다리를 배회하는 마이라,

그녀의 앞을 가로막는 거대한 사자 석상 밑에는 이렇게 쓰여있다 "전쟁 채권을 사시오" 이 앵글은 로이가 그녀를 찾는 장면에서

다시 한번 반복된다. 이후, 둘은 다시 만나고 순수한 사랑을 약속하지만, 그렇다해도 보이지 않는 폭격과 마이라의 죽음까지는

막을 수가 없는 것이다. 살상과 착취만을 위한 전쟁, 말하자면 전쟁의 원인은 과연 계급의 산물이었음을 반복해서 환기시키는

것이다. 반복되는 전쟁채권과 마이라의 죽음 사이, 감독의 이러한 편집의 내러티브는 달리 해석할 여지가 없는 사실일 수밖에 없다.
 

379ae574fb277a9525c3cb493ada1c74_1645879694_9578.jpg379ae574fb277a9525c3cb493ada1c74_1645879694_8582.jpg379ae574fb277a9525c3cb493ada1c74_1645879694_4689.jpg

30년대 제임스 웨일의 영화가 좋은 이유는, 인물이나 사건에 대해 과장하지 않는 카메라의 시선과 리드미컬한 카메라

스테이징에 있다. 또한 독자의 감정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스코어도 없고, 어설픈 리얼리티를 위한 상투적인

오버더숄더 숏(의 숏/리버스숏)이 전혀 없다는 것 역시 그러하다 (이 영화에는 출연하지 않았지만, 늘 괴상하고 코믹한

노파 역의 Una O'Connor의 연기는 그 중 최고로 훌룡하다)

마이라의 집에서의 첫 데이트 시퀀스는 그것을 잘 보여준다. 1분30여초에 달하는 마지막 쇼트의 마이라의 반응숏은,

웨일의 연출 스타일을 잘 보여준다. 심난한 표정으로 거울 앞에 앉은 마이라의 접사로부터 시작된 테이크는, 생계를

위해 외출하려는 그녀를 따라 카메라는 트랙-백하고, 가스등을 끄고 문밖으로 나가는 그녀를 따라 약간의 패닝과 함께

페이드아웃 한다. 서로에게 호감을 가졌지만, 로이의 선의를 거절하고 거짓말을 할 수 밖에 없던 마이라의 곤란함,

그럼에도 화장을 하고 밤거리를 나가야하는 먹고살기의 지난함은, 단 한마디의 대사 없이, 스코어 없이, 그녀의 표정과

행동을 쫓는 정직한 카메라의 움직임을 통해 가감없이 독자에게 전달된다. 그 속절없음의 감정들, 그것은 마이라가

불을 끄고 그곳을 나가고나서도 여전히 거기에 남아있다.
 


영화는 언뜻, 가난한 길거리 여자가 부자집 남자를 만나 행복한 결말을 맞는다는 <프리티 우먼, 90>류의 서사로

진행되는 듯 하지만, 결말에서 감독은 그것을 거부하고 전술했듯 우리 사는 세상의 삶의 조건과 사랑을 이야기한다.

그 세상은 매우 비관적이다. 그리고 전쟁은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 *LMDb 8.6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2 Comments
S 컷과송  
밀린 숙제를 하듯이 님의 글을 읽고 있습니다.
리메이크된 후작과는 전혀 달리 계급성을 명시한 자세가 기억에 남는 영화였습니다.
13 리시츠키  
글죠. 전쟁으로 인한 물가 폭등과 경제적 혼란이 지금의 세계적 상황과도 많이 겹치는거 같습니다. 물론 웨일 감독 아주 훌룡하구요.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