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각형 모양의 인구피라미드

자유게시판

5각형 모양의 인구피라미드

13 리시츠키 14 566 0

96f029d5c7b77fd7b8f46f6d8f3dbfe5_1686140149_3209.png
 







https://sgis.kostat.go.kr/jsp/pyramid/pyramid3.jsp
심심해서 통계지리정보 서비스 가서, 인구 통계를 내 보았습니다.

1997 IMF이후의 1998 인구추계와,
2008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의 2009년 인구추계와,
그리고 현재 2023년의 인구추계, 이렇게 세 년도를 검색 비교해 보았습니다
결론은 뭐, 앞으로도 합계출산율, 압도적 1위의 유지 및 갱신이 가능하겠네요.

1998년 0세인구는 남 339448 + 여 311011 = 650459이고,
2009년 0세인구는 남 234264 + 여 219945 = 454209이고,
2023년 0세인구는 남 124849 + 여 118634 = 243483이더군요.


------
재미난건 총인구수는 현재 대략 오천만 사이로 유지되지만(의료기술 덕분인가요?),
0세인구는 대략 10년 단위를 주기로 20만씩 줄어드는 패턴이네요.
현재 2023년의 10년 후인 2032년에 가면, 신생아 수는 마이너스 20만 이상은 충분히 가능할 거 같습니다.

지금의 자연재난과, 우/러 전쟁, 물가상승과 불황의 요인들이라면 (이것들은 장기화 될게 분명하고요) 너끈히 달성하고도 남겠죠.

더구나 올해 2023년 가장 많은 인구수인 62세 남 453258 +여 471479 = 924737와,
0세 남여인구 243483를 비교해보면,
그 차이가 무려 681254명이나 되는데,
이대로라면 고령화는 기본이고, 사오십년 뒤에는 총인구 반토막도 기정사실일거 같습니다.

외부요인도 물론 크게 작용하겠지만, 그렇다하더라도 한국처럼 이렇게 셰계신기록을 매년 갱신하는 나라는 없는거 같습니다.

정권이 수차례 바뀐들, 수백조의 예산을 쓴들, 아무 효과가 없다면, 결국 구조적인 문제라는 건데...... 참 다이나믹 코리아 입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4 Comments
9 섬진나루  
관심을 가져야할 사람들은 저걸 돈 벌이 수단으로 삼고, 관심을 가져도 방법이 없는 사람들만 걱정합니다.
13 리시츠키  
그러게 말입니다. 정작 걱정하고 대책을 세워야 될 사람들은 별로 개의치 않을거 같네요.
16 달새울음  
다둥이 아빠 개그맨 정성호가 뉴썰에 나와서 한 이야기가 생각나네요.
돈 없어서 아이를 안 낳는게 아니다.
13 리시츠키  
글죠. 낳고부터가 본게임 시작이죠~
S 푸른강산하  
분명 답은 있는데, 그 방향을 싫어하는 또 거부하는 사람(세력)들이 있는 거 아닐까 합니다만..
13 리시츠키  
그 거부하는 사람들이 기득권, 권력자니까, 그 답을 거부하는 것 같아요~
S 푸른강산하  
황금알을 더 갖겠다고 거위 배를 가르면 공멸한다는 건 지나 온 인간의 역사가 증명했는데
소수의 사람들이 그 순리를 앞서서 거부하고 무지몽매한 뭇사람들이 그 뒤를 따르니 더 문제인 듯합니다.
13 리시츠키  
역사가 증명해도, 역사는 돌고도니깐, 돌고돌아 제자리~ ㅋ
뭔 암튼, 기대난망 입니다.
35 하늘사탕  
갈수록 인구 절벽인데 미래가 암담합니다.....
13 리시츠키  
기후재난은 이제는 피해갈 수 없는 사실이고, 우/러 전쟁 역시 장기전이 될텐데, 물가상승은 기본이고 불황도 장기화 될거 같네요.
거기다가, 옆동네 일본은 오염수도 방류한다하고요 -0-
... 와 무슨 재난영화의 오프닝 같습니다~~
2 하얀다리  
사람을 개처럼 취급하는 사회인데, 당연한 귀결이죠.
13 리시츠키  
그러게 말입니다. 그러니 출산율이 저모양 이겠지요.
9 disterbed  
전형적인 후진국형 인구 구조가 되어 가고 있지요.

애 낳고 살아가기 빠듯한 세상이기도 하고
전반적으로 사회 전반적인 환경이 이런 결과를 초래하는 것 중 하나인 듯 합니다.
13 리시츠키  
맞습니다. 저렇게 위험신호가 눈에 보이는데도.... 앞으로도 바뀌는건 없을거 같네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