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 영화를 다시 보고 있습니다.

자유게시판

최근에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 영화를 다시 보고 있습니다.

15 하스미시계있고 13 834 1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 그렇듯이 처음 본 구로사와 아키라 영화는 <라쇼몽>(50)이었습니다. 일본 영화 보기가 힘든 시절이었서 낡은 비디오 테이프로 대학 동아리방에서 봤던 기억이 납니다.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는 처음부터 싫었습니다. 주제가 너무 부각되어서 영화가 웅변이나 선언문 같았고 시대와 맞지 않는 서구 음악(<라쇼몽>에선 라벨의 볼레로)에 실소가 나왔습니다.

<라쇼몽>에서 다루는 인식의 상대성이라는 것도 두 차례 세계 대전을 겪고 난 후 서구 지식인들이 좋아할만한 철학적 주제를 다루는 것으로 여겨졌고 무엇보다 그런 상대적 관점이 전범국으로서 일본의 모호한 입장을 위장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입니다.

아마 거기에는 우리가 6.25 동란을 겪고 있을 시기에 저런 영화로 베니스 영화제 대상을 받았구나하는 식민지 영화광이 가지는 묘한 질투심도 작용했던 것 같습니다.


그 후로 구로사와 아키라의 주요 작품들을 띄엄 띄엄 봤지만, 이미 내 마음 한구석엔 미조구치 겐지, 오즈 야스지로, 야마나카 사다오, 나루세 미키오, 시미즈 히로시 같은 위대한 감독들이 자리를 잡고 있어서 아키라 감독에 대해 마음이 열리지 않았지요.

비디오로만 보던 <7인의 사무라이>(54)를 시네마테크에서 처음으로 스크린으로 봤습니다. 여러번 봤던 이 영화가 그제서야 시네마스코프 화면비율이 아니었다는 것을 문득 깨달았습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영화사적 지식을 갖춘 분이라면 당연히 최초의 시네마스코프 영화는 미국 영화 <성의>라는 것을 알 것입니다. 이 영화가 개봉된게 1953년도입니다. 일본 최초의 시네마스코프 와이드 스크린 영화는 <지구 방위군>이라는 특수 촬영 영화로 1957년도 작품입니다. 토호 영화사 영화지요. 토호 영화사 소속이었던 구로사와 아키라도 재빨리 이 화면 비율에 맞는 영화를 만듭니다. 그의 경력 중 최초의 시네마스코프 영화는 1958년작 <숨은 요새의 세 악인>입니다.


그러니 1954년작 <7인의 사무라이>가 2.35대 1의 시네마스코프 화면이 아니라 1.33대 1의 TV 화면 비율이라는 건 상식적인 수준의 문제입니다.

<7인의 사무라이>가 와이드 스크린의 영화라고 생각한데에는 구로사와 아키라의 시대극(= 지다이케키)은 당연히 2.35대 1 사이즈로 찍었을 거라는 선입견이 작용한 것이지요.

구로사와 아키라의 필모를 들추어보면 그가 만든 시네마스코프 영화는 58년부터 65년까지 만든 여섯 편에 집중됩니다(<숨은 요새의 세 악인>, <나쁜 놈이 더 잘잔다>, <요짐보>, <츠바키 산쥬로>, <천국과 지옥>, <붉은 수염>).


ea425ff50a5e60763cbed22278d8af9e_1622036264_766.jpg
 (좌) 1.33: 1의 화면비인 <7인의 사무라이>                           (우) 2.35: 1의 시네마스코프 와이드 스크린 화면비인 <요짐보>
 

ea425ff50a5e60763cbed22278d8af9e_1622036368_9288.jpg
세로 값을 1로 두었을 때 화면비의 차이. 보통 영화관에서 흔히 보는 화면비는 1.85:1이다.

일반적으로 한편의 영화는 동일한 화면비를 유지하나 <다크나이트>, <자객 섭은낭>, <그랜드 부타페스트 호텔> 같은 영화에서는 영화 중간에 화면비가 바뀌기도 한다.
 


1968년 이후 구로사와 아키라는 슬럼프에 빠집니다. 미국에서 찍으려던 <폭주 기관차>의 제작 무산, 할리우드와 합작으로 만들려고 했던 2차대전 영화 <도라! 도라! 도라!> 제작 과정에서 제작사와의 불화와 감독직 탈퇴, 최초의 컬러 영화 <도데스카덴>(70)의 흥행 실패, 구로사와 아키라의 개인 프로덕션의 부채 문제... 결국 구로사와 아키라는 면도칼로 손을 긋는 자살 시도까지 하게됩니다. 


이후 구소련과  합작을 한 재기작 <데루스 우잘라>(75)를 찍게 되는데 이 영화의 화면 비율이 2.20: 1입니다. 그 이후로 우리가 너무 나 잘알고 있는 <카게무샤>(80)나 <란>(85)도 일반 화면비인 1.85:1 사이즈로 찍었지요.


이 이야기를 왜 길게하느냐면 '구로사와 아키라 = 시네마스코프'라는 것처럼 그의 영화에 대해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최근에 구로사와 아키라 영화들을 다시 보고 가지고 있는 자료들을 들추어보면서 흥미로운 점들을 많이 발견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갑자기 구로사와 아키라를 좋아하지는 않겠지만 그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연출 스타일을 새롭게 알게된 것이지요.

<카이에 뒤 시네마>의 편집장이었던 앙드레 바쟁은 구로사와 아키라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당시 카이에에서 글을 쓰던 프랑수아 트뤼포는 바쟁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아무리 봐도 미조구치 겐지가 구로사와 아키라보다 더 뛰어나 보였으니까요. 얼마 뒤 혈기왕성했던 카이에의 젊은 평론가들은 미조구치와 구로사와를 비교하는 지상논쟁을 실었습니다. 미조구치를 옹호한 그들이 구로사와를 사랑하는 바쟁에게 도전을 한 것이지요..

그때 바쟁이 트뤼포에게 편지로 쓴 유명한 글. "당신과 다시 한번 미조구치 영화를 보러 갈 수가 없어서 아쉽습니다. 나는 여러분만큼이나 미조구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훨씬 더 그를 좋아한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동전의 양면과 같은 입장에서 구로사와를 또한 좋아합니다. 밤을 알지 못하면서 어찌 낮을 알 수 있을까요? 만약 누군가 미조구치를 사랑하기 때문에 구로사와를 미워한다면 그의 이해력은 지극히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입니다. 구로사와와 미조구치를 비교해서 구로사와를 더 좋아한다면 그는 분명 장님입니다. 그러나 오직 미조구치만 좋아하는 사람도 외눈박이에 불과할 것입니다".

가지고 있던 개인적 선입견을 조금 들어내고자 <츠바키 산쥬로>와 <천국과 지옥>에 대한 글을 준비 중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13 Comments
20 암수  
허허..<천국과 지옥><츠바키 신주로> 비교 본편의 서론이었군요...본편 기대하고 있겠습니다...쉬엄쉬엄 해주세요~~
전범국으로서의 입장의 모호함은 그의 말년의 <8월의 광시곡>을 봐도 잘 드러나죠...
전범국으로서 수많은 만행에 대한 언급은 없고 원폭 피해국으로서의 아픔만 부각시킨것에 그의 내면에 흐르는 자의식을 엿볼 수 있는 듯도 합니다...
12 블랙헐  
제가 지식이 없어서 논문같아요~
죄송해요~~~
위에 화면비율에 대한 사진을 첨가하고 간단한 설명을 붙였습니다. 한번 알아두면 별로 어렵지 않은 내용입니다.
12 블랙헐  
아~ 익숙치 않은 감독들 이야기인지라 처음부터 어렵다는 생각을 했었던 거 같아요. 설명 감사드립니다. ^^*
1 kammci  
너무 어렵네요
위에 화면비율에 대한 사진을 첨가하고 간단한 설명을 붙였습니다. 익숙 안해서 그렇지 알고 보면 어렵지 않은 내용입니다.
S 푸른강산하  
하스미시계있고님 덕에 구로사와 감독에 대한 영화 외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10 finding  
영화사에 대해서 공부하시는 분들이 읽으시면 좋겠습니다.
어느 영화든 감독들 나름대로 깊은 뜻이 있었겠지만 일본영화는 그저 피튀기는 장면이 없으면 이상할 정도라고 늘 생각하고 킬링타임용으로만 보았습니다.
영화에는 문외한이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34 금과옥  
좋은 글 감사합니다 ^^~
40 백마  
에구 몸도 좋지 않으신데.. 건강부터 챙기시고 하나하나 하시지...
그러게.. 말입니다... ㅠㅠ
2 도토리쿵쿵쿵  
면도칼로 손을 긋기까지 했군요...
유명한 일화지요. 구로사와 집안이 일본 북부의 알아주는 사무라이 집안입니다. <도라, 도라, 도라>를 찍는 과정에서 편집권을 가지고 미국측과 다투었던거죠. 영화가 진주만 습격과 관련이 있다보니 일본측 장면 부분을 할리우드가 일본 감독에게 연출을 의뢰했고 최종 편집권은 미국측이 가지는 것으로 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전쟁 당시 일본측 장군을 악이나 머저리로 묘사할 수 있다고 해서 구로사와가 반대한 것입니다. 감독으로 보면 자기 작품에 대한 욕심으로 그럴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구로사와 아키라가 가지는 역사관의 한계이기도 합니다.
사무라이 집안 출신이니 (전쟁의 책임 보다) 군인의 명예를 중시했고 중도에 감독 해임이 되자 울분에 차서 사무라이가 할복하는 심정으로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보입니다.
어찌보면 똘끼가 충만하죠.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는 정치나 사회 문제 보다는 개인적 도덕성 또는 명예가 훨씬 부각됩니다. 사회 문제를 다루는 작품도 사실상 도덕성이라는 주제에 종속됩니다. 여전히 제가 그를 싫어하는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그는 칼 대신 카메라를 든 사무라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