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지 프리스트(Judge Priest, 1934)

자막자료실

저지 프리스트(Judge Priest, 1934)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1252886

하스미시계있고님이 언급하신 영화입니다. 

이 영화의 시퀄인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도 이 자료실에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시퀄이 좀 더 나은 느낌입니다.

저지 프리스트만 볼 땐 시퀄쪽이 더 방방 뜨는 느낌이고^^

이 34년판의 윌 로저스는 훨씬 은근짜하지요.

이 배우는 이 영화를 찍고 일년 후 비행기 사고로 죽었다니 안타깝습니다.


<태양은...>에서도 그렇지만

남부인이 남북전쟁을 보는 시각은 복잡합니다.

졌으니까요.^^

영화 배경이 1890년대니까 아직 상흔이 가시기 전입니다.

뭔가 인정하기 싫은 현실 속에서

졌지만 남군의 긍지를 잃지 않으려고 애쓰는 모습이

귀엽게(?) 묘사됩니다.


이야기 구조는 간단하지만

포드의 장기인 유머가 넘쳐서 매우 재미있습니다.

애초에 엘리 메이가 왜 수준 떨어지는 이발사와

데이트를 해서 말썽을 자초했는지는 전 의문입니다만....:)


원제가 Judge Priest인데 굳이 번역할 필요를 못느꼈습니다.

영화상에서 그냥 사람 이름처럼 부릅니다.

굳이 번역하자면 '프리스트 판사'가 되겠지요.


연출:존 포드


영화 시작 전에 설명이 나오는 부분은

감독 존 포드 이야기가 아니라 소설 원작자의 언급입니다.

자기 고향 이야기를 충실하게 재현하려 했다는 이야기죠.


응응링크


Judge Priest.avi 



"위 출처는 커뮤니티 '씨네스트'입니다. https://cineaste.co.kr 이곳에 오시면 다양한 피드백과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아울러 스크립트를 이용한 불펌을 금합니다.

그리고 타 사이트 업로더 여러분께도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저작권 문제로 삭제되더라도 가급적이면 퍼가시는 것보다는 링크로 연결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Comments

24 umma55
댓글내용 확인
40 백마
고맙습니다^^
39 범부
감사합니다.
37 보라™
수고하셨습니다^^
16 거상
수고하셨습니다~
S 컷과송
2020. 3, 30. 감상

단평 : 안과 밖, 그리고 오직 의식 !!


오프닝은 영화를 의식 意識한다. 이건 본편을 통해 존 포드가 만드는 의식 儀式과는 다르다.
두 서로 다른 의식을 통해 본편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한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두 의식들은 영화와 현실이 어떻게 조합해야하는가에 대한 성찰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존 포드는 자신이 전혀 개입되지 않았다는듯이 흔한 멜로물, 법정극 장르를 취한다.
실제로 오프닝에서 판사가 마치 극장 안에 들어선 관객을 향해 '정숙'하라고 지도하면서도
 정작 자신은 그것에 무심한듯이 신문이라는 당대의 시대감각을 읽는 자세와도 다르지 않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신문이라는 시대와 마주하면서도 그것 뒤로 은거하려는 태도랄까.

전작 <순례 여행>에 이어 다시 어머니는 아들의 결혼을 반대하는데, 여기에는 여전히 속칭
'계급'의 기준선이 작동한다. 하지만, 전작들에서 아들들의 죽음과는 달리 이제 아들은 더
 이상 어머니의 포궁과 아버지의 법 사이에서 희생되지 않고 유사 부친의 법 아래 귀환한다.
이제 중요한 것은 아들이 아니라, 아버지라는 존재의 정체성이고, 이에 존 포드는 30년대를
 진단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진술한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현재의 시각으로 판단할
 인종 차별 등이 아니라 그가 공동체를 어떻게 지속하고자 하는가에 대한 유머감각이다.

판사의 이름을 노골적으로 프리스트라 지칭할 때 그는 사실상 그 마을이자 영화 밖 현실에서
 존 포드의 대리자로서 공동체적 설법을 행하는 인물이 되는데, 거기서 그는 스스로를 가족이
 모두 죽은 단독자로 설정한다. 이는 곧 30년대의 사회적 시선과는 다른 의견의 진술자로서의
 포장이다. 판사가 흑인 여성들과 같이 노래부를 때의 벅찬 환희는 침을 뱉어 영화의 리듬을
 구성하는 남자의 행위만큼이나 고전적이다. 재판 결과를 보여주지 않고 곧바로 피의자 흑인
 남성과 긴 낚시대를 들고가는 뒷모습은 흑인 남성 캐릭터의 희화화라는 비난을 숙연케한다.

무엇보다 존 포드적 장소성이 드러나는 지점은 아버지의 법이 지배해야할 법정을 순식간에
 종교를 공동체에 복속시키고 그 공동체의 힘을 잔치화해서 증명함에 있는데, 이 지점에서
 영화는 흑인 남성들의 법정 밖 음악이 어떻게 법정 안을 요동시키는가를 연동함으로서
 영화적 공간과 영화 밖 현실을 모두 지시할 수 있는 존 포드의 자리를 과시함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여기서 아버지의 법은 상징계적인 것이 아니라, 카니발적인 상상계의 그것으로서
 오히려 검사-상원의원으로 통칭되는 인물의 아버지의 법은 퇴장된다. 역사 속 숨겨진 영웅은
 귀환하고 이 과정에서 공동체는 다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자랑스러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