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9점] 곡성(2016)

영화감상평

[리뷰: 9점] 곡성(2016)

28 godELSA 3 2595 1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녀>에 비견될 만한) 한국영화의 악마를 깨우는 나홍진의 작두.

평점 ★★★★☆

 

<곡성>. 올해 한국영화가 시들시들했던 것은 사실이다하지만 <곡성>은 파워풀하다탄탄한 서스펜스와 블랙코미디에다가 장소마저 하나의 유기적인 캐릭터로 보이게 만드는 촬영배우들의 묵직한 연기는 칭찬받아 마땅하다김기영 감독의 <하녀>(1960)에 비견될 만할 정도로 괴기스런 에너지를 가졌다가장 흥미로운 것은 <곡성>은 영화를 보고 나서 거대한 실타래를 풀어나가는 재미가 쏠쏠한 작품이기도 하다내가 영화를 본지 사흘이 지난 오늘 이 글을 쓰게 된 건 그 때문이기도 하다.

 

영화를 보고 든 느낌지금 인터넷에서 여러 해석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듯이 나도 헷갈렸다스토리가 이해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그건 맥락만 잘 따라가면 어느 정도 끼워맞출 수 있다다만영화에서 제시하는 모든 것을 맞추어보아도 끝끝내 의문이 남는다도대체 왜 일광(황정민)은 굳이 곡성(谷成)’에서 미끼를 드리웠을까겨우 살을 베는 굿으로 버는 1천만원 때문에 악마를 다루었다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이 되지 않는다.

 

일광 캐릭터는 불분명하기를 넘어서 아예 보이지 않는다단순히 홀연히 나타나서 굿을 하고 결말에 이르러서 사건을 떠나는 인물이다종구(곽도원)에게 처음으로 소개될 때도 구전으로 소개를 받을 뿐 한참 후에 직접적인 등장이 시작됨에 따라 동시에 역할을 수행하고역할이 끝나자 그 후의 등장은 대부분 존재감이 부재되고 있다나홍진 감독은 일광의 존재 자체를 미스터리하게 만든다왜 곡성에 오게 되었는지어떤 욕망을 가지고 있는지왜 주인공 주변에 서성이는 것인지 거의 알려주지 않는다종구에게 닥친 사연이 일광에게 비쳐져 정의로운 현인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것일 뿐이른바 선도 악도 아니다.

 

그러고 보면 이 영화는 선과 악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순간들이 많다플롯들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캐릭터들의 성향이 아예 재구성되는 것처럼 보인다종구는 가족을 지키기 위해서 분노하고 살인을 저지르려고 마음 먹고외지인(쿠니무라 준)은 마을에 퍼진 괴소문의 대상인 동시에 종구 일당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고 눈물을 흘기며 쫓기기까지 한다무명(천우희)은 처음부터 끝까지 의도가 헷갈리는 미스터리한 인물이고선악에 대해서 경계를 분명하게 허무면서 인물들을 교집합에 배치하여 놓는다각각의 시선에 따라 선과 악으로 다르게 해석되고 비춰지는 인물들은 마치 관객에게 선악이 분명하게 제시될 수 있느냐고 되묻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나홍진 감독은 관객에게 무엇을 보게 하고 싶었는가분명한 것은 모호함이다이른바 본능의 나락에 점차 빠져 들어감에 따라 행동하는 원시성만이 자리잡고 있고 행동 자체에만 주목할 뿐이다. <곡성>에서 마을에서 일어하는 사건들이 정말로 마을 사람들의 말대로 초자연현상인지야생 독버섯에 의한 사태인지 절대로 알려주지 않는다, <곡성>은 사건들에 대해서 모든 합리적 판단이 불가능하게 만들어 버리는 동시에 모든 윤리적인 가치 판단을 관객에게 제시한다.


영화에서 보여지는 그러한 가치 판단의 근거는 바로 종교. <곡성>은 한국과 네팔의 토속신앙기독교적인 요소가 섞여있는 오컬트 장르의 영화다나홍진 감독은 인터뷰에서 [1]장르를 비틀기 위해서 가장 클리셰적인 종교가 필요했다고 말했다모든 종교에서는 생()과 사()가 분리되어 있다하지만 귀신은 무엇인가나홍진 감독도 그 많은 할리우드 영화에 등장하는 사람의 몸을 지닌 귀신은 무슨 존재인가라고 자문했다고 한다눈에 보이는데 실존하지 않는 존재역시 애매모호하다이것은 영화가 시작되자마자 인용되는 마태복음 24, 37~39절의 내용과 상통한다외지인의 정체가 불분명하기에 원흉의 정체도 불분명하다그렇다면 신은 있는 것인가역시나 불분명하다그렇게 종교는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것이 되어버린다그렇게 폭력의 피해자의 곡성(哭聲)만 이 영화에는 존재한다.

  

 

나홍진 감독은 이러한 모호함과 불분명함을 내세워 관객을 맥거핀으로 낚는다. (외지인이 낚시줄에 미끼를 꿰어 강에 던지는 첫 시퀀스가 그것을 암시하듯이.) 심지어 영화는 꿈과 현실의 경계를 허무기도 한다. 불에 탄 가택 현장에서 무명이 홀연히 사라지고 외지인이 위협적인 모습으로 종구를 습격하고, 종구가 악몽을 꾸다가 깨는 시퀀스로 연결되는 편집은 비현실적이다. 여기서 나홍진 감독은 현실과 꿈의 경계에서 게임을 걸어온다. 의도적인 헷갈림. 관객은 그 안에서 방황할 수 밖에 없고 거기서 혼란에 빠진다. 대신 그 혼란안에서 나홍진 감독은 선악의 근거를 인간의 본성으로 끌어온다. 마치 종구가 무명 앞에서 가족에게로 향할지 기다릴지 고민하는 것과 동굴 안의 외지인의 모습이 이삼(김도윤)의 의심에 따라 보이는 것처럼. 거기서 무엇이 꿈인지 사실인지, 진실인지 거짓인지, 선인지 악인지를 '믿고 합리화'하는 것은 오롯이 관객의 몫이다. 아니, 과연 이 영화 어디에서라도 선악과 진실, 거짓은 명확하게 이분될 수 있는 것인가? 모든 것이 불분명할 때 관념들은 각자의 믿음에 따라 달렸다. <곡성>은 믿음에 관한 영화다

.


movie_image (1).jpg

[1] 씨네21 No. 1054, p.55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신고
 
3 Comments
S 컷과송  
저는 나홍진 영화를 한 편도 보지 않았고, 본편도 보지 않을 생각입니다만...문득 님의 글을 읽으니 본편이 영화에 대한 영화일 가능성을 베재하지 않았던 지인의 평가가 다시 들리네요. 더불어, 전근대/근대의 논점보다는 이분법의 파훼라는 낡은 트랜스를 따르는 편리함도 느껴지네요. 어쩌면 선악을 허무는 것은 선악을 지키는 것보다 더욱 쉬울 수도 있을텐데요.
28 godELSA  
어떻게 보면 인물들이나 꿈, 현실을 구분하고 합리화하려는 관객에 대한 반항일 수도 있겠더군요. 야누스를 보이려는 것 같기도 하구요.
5 유투팬  
영화를 아직 못봐서 모르겠지만 확실히 작품적으로 이슈가 된 것만큼은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한 영화를 둘러싸고 이렇게 많은 이야기들이 오고 간 적이 있었나 싶네요.
내려가기 전에 얼른 봐야 할텐데 ... 글 감사합니다.